• 제목/요약/키워드: (-)-Menthol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4초

페파민트 세포의 현탁 배양시 생육 및 정유생성 특성 (Production of monoterpenoid flavor compounds by suspension culture of peppermint cells)

  • 김진환;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43-448
    • /
    • 1992
  • 현탁배양에 의한 박하 세포의 생장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박하 잎으로부터 캘러스를 유기하고 이 캘러스 중 쉽게 퇴화되지 않고 생육 속도가 빠른 우수 세포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된 세포주를 현탁 배양하였다. 현탁 배양중 배지의 조성, 식물 생장 호르몬, 배지의 pH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지로서 사용한 Lin-Staba 배지, B5 배지, MS 배지 중 에서는 Lin-Staba 배지에서 세포의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특히 이 배지에 100 mg/l yeast extract를 첨가했을 때 생육은 크게 저해되었다. 식물 생장 호르몬의 경우는 cytokinin류가 auxin류를 첨가했을 때보다 생장 속도가 더 빨라졌다. 배지의 초기 pH는 생장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PDF

The Vasodilator Effect of a Cream Containing 10% Menthol and 15% Methyl Salicylate on Random-Pattern Skin Flaps in Rats

  • Dolen, Utku Can;Sungur, Nezih;Koca, Gokhan;Ertunc, Onur;Bosi, Ayse Tulay Bagci;Kocer, Ugur;Korkmaz, Melih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695-703
    • /
    • 2015
  • Background It is still difficult to prevent partial or full-thickness flap necrosi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 cream containing menthol and methyl salicylate on the viability of random-pattern skin flaps were studied. Methods Forty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Caudally based dorsal random-pattern skin flaps were elevated, including the panniculus carnosus. In the study group, 1.5 mL of a cream containing menthol and methyl salicylate was applied to the skin of the flap, and saline solution (0.9%) was used in the control group. Upon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flap necrosis was analyzed with imaging software and radionuclide scintigraphy. Histopathological measurements were made of the percentage of viable flaps, the number of vessels, and the width of the panniculus carnosus muscle. Result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c analysis, the mean viable flap surface area in the study group was larg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004). According to the scintigrams, no change in radioactivity uptake was seen in the study group (P>0.05). However,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P=0.006).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viable flaps, the number of vessels, or the width of the panniculus carnosus muscle (P>0.05).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ertain that the cream did not reduce the viability of the flaps. Due to its vasodilatory effect, it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the dressing in reconstructive operations where skin perfusion is compromised.

Comparison with Threshold Limit Value (TLV) of Menthol Cigarettes between Expert and Consumer Panel

  • 이승용;이환우;김영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66
    • /
    • 2006
  • Threshold limit value (TLV) test between expert and consumer panel was conducted about absolute, recognition and difference threshold respectively. And we tried to suggest appropriate and minimum acceptable menthol concentration level by consumer panel. Determination of threshold value was based on ASTM E 679-79 method by forced-choice ascending concentration series. In addition, a semi-ascending paired difference method was referred to conduct test. The group threshold value was determined as the value of geometric mean individual threshold. The smokers were dividend by two groups, trained and consumer panel. Trained panel was selected according to sensitivity to menthol discrimination. Consumer panel wasrecruited in proportion as population ratios including female smokers. They were all over twenty years old volunteers and summed up thirty four persons. In terms of sensor evaluation, overall difference test with seven-category scale by both trained and consumer panelists were done. On judging correct or incorrect answer, two by three cut-off levels applied to. Every test was conducted with two sessions, before smoking and during smoking period. And, only two samples served each paneI per test with regard to sensory fatigue and reliable results. All tests were replicated, and in total 32 times per panelist. In conclusion, the recognition threshold about consumer and expert panel was 358 ppm/cig. and 276 ppm/cig. in separately. Besides, absolute and difference thresholds were obtained also. And, we conduct difference threshold test with two different ways, upward and downward. And, The results of each method were 246, 195 ppm/cig., 1414, 1336 ppm/cig. and 1047, 972 ppm/cig.

C57BL/6 마우스에서 치약의 모발성장 촉진 효과: 유효 성분과 유전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of toothpaste in C57BL/6 mice: Active components and their effects on genomic expression)

  • 안승현;이정연;신유정;이진경;이설훈;박세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421-431
    • /
    • 2021
  • 예전부터 치약이 모발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제안되어 왔지만 발모효과에 대한 과학적 검증과 치약 내 주요 활성성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약을 이용하여 피부 각질세포의 성장 및 C57BL/6 마우스의 제모된 등쪽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하여 모발의 성장 촉진 여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약의 구성 성분으로서 문헌에서 발모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𝛼-tocopherol acetate와 l-menthol, stevioside 혼합액과, 이들을 제외한 치약 조성 성분들의 혼합액을 각각 두 그룹의 C57BL/6 마우스의 제모된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한 경우, 치약 성분의 혼합액은 발모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𝛼-tocopherol acetate과 l-menthol, stevioside 혼합액이 포함되었을 경우에는 마우스에서 발모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치약을 구성하는 보조성분들인 α-tocopherol acetate과 l-menthol, stevioside 혼합물은 in vivo에서의 모발성장에 있어 잠재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약을 처리한 그룹의 마우스와 발모 유효 성분으로 추정되는 𝛼-tocopherol acetate과 l-menthol, stevioside를 혼합 처리한 그룹의 마우스, 그리고 대조군의 마우스의 등쪽 표피를 취하여 전사체 분석을 진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각각의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발현된 유전자 패턴은 매우 유사함을 보였다. 또한 기능유전체적 분석을 하였을 때, 두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발모 조절 관련 기능의 유전자들이 매우 큰 비율의 변화를 보였다. 두 그룹에서 발현이 변화한 발모관련 유전자들로는 케라틴과 케라틴 관련 단백질, forkhead box, sonic hedgehog 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치약의 발모 효과는 𝛼-tocopherol acetate과 l-menthol, stevioside 혼합물의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 연구 (Study of a Hand Sanitizer Composed of Active Ingredients Geranial, Cineol, Menthol, and Chamaecyparis obtusa)

  • 김기현;최석찬;유연강;이수진;박운규;황석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3
    • /
    • 2016
  • 수장고 및 서고에서 곰팡이는 문화재와 기록물의 생물학적 열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또한, 독소를 생성하고 피부알레르기를 유발하여 유물과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호흡기질환과 피부질환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근무자의 피부 및 손에 접촉되어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손소독제는 일반세균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보이지만, 곰팡이에는 소독효과가 떨어져 이에 대한 대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손소독제 조성물로 친환경적인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Chamaecyparis obtusa)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손소독제를 연구 개발하여 박물관 및 기록관의 서고에서 조사된 곰팡이 10종(Alternaria citrimacularis, Alternaria consortiali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versicolor, Cladosporium sphaerospermum, Coniothyrium aleuritis, Penicillium brevicompactum, Penicillium corylophilum, Penicillium paneum, Penicillium polonicum)에 대하여 소독효과를 시험한 결과, 우수한 소독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Geranial, Cineol, Menthol과 편백의 유효성분을 조성물로 하는 손소독제의 개발로 문화재와 기록물 및 도서를 다루는 근무자의 피부질환과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halation toxicity study of H menthol (Nicotine free-tob acco free)herbal cigarettes

  • Jung, Ji-Won;Cho, Sung-Dae;Cho, Jong-Ho;Kim, Kyung-Bae;Lee, Ji-Hae;Ahn, Nam-Shik;Yang, Se-Ran;Park, Joon-Suk;Lee, Yong-Soon;Kang, Kyung-S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및 심포지움
    • /
    • pp.216-216
    • /
    • 2002
  • Generally, tobacco smoking has noxious effects such as DNA damage, lung cancer induction, coronary artery disease. Nowadays, as concerns on health and longevity increases, a huge variety of products that aim to assist to quit smoking or reduce addictive symptoms such as nicotine patches a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with safely evaluation, but the safety of the most recent products of interest which do not contain tobacco and nicotine, and shape cigarettes is not evaluated and guaranteed relatively. In this study, we used H-menthol(nicotine free-tobacco fine) which are widely consumed through the world to evaluate the single and repeated dose inhalation toxicity and genotoxicity of H menthol (Nicotine free-tobacco free) herbal cigarettes provided by Cigastop Ltd. in ICR mice.

  • PDF

탄소와 질소원이 박하정유와 정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the Essential Oil Production and Its Composition in Callus Culture of Mentha piperita L.)

  • 오병인;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8-6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탄소원, 질소원의 비율, inositol 및 비타민이 박하정유 생산과 멘톨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암모니아태질소와 초산태질소의 비율이 1:2일 때 사용한 배지에 관계없이 정유생산이 많았다. 멘톨 생합성이 높았던 경우는 LS배지에서는 암모니아태와 질산태질소의 비율이 1 : 3이었고 MS배지에서는 1 : 2이었다. Sucrose 대신 glucose를 사용하였을 때는 사용한 배지에 관계없이 정유생산과 멘톨 생합성이 모두 감소하였다. Inositol의 농도를 증가하였을 경우 세포의 생장량은 증가하였으나 멘톨 함량은 감소하였다. 비타민 농도를 기본배지의 두배로 하였을 때 LS배지에서는 정유함량이 증가하였으나 MS배지에서는 감소하였다. 멘톨 함량은 모두 감소하였다.

  • PDF

코아-쉘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기능성 샴푸의 제조 및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functionalized Shampoo with core-shell microcapsule)

  • 서미영;김은지;김인경;최성호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1권1호
    • /
    • pp.7-13
    • /
    • 2022
  • 본 연구는 3종의 기능성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고 이 기능성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하여 기능성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코아-멘톨, 쉘-멜라민 수지로 제조로 된 기능성 마이크로 캡슐, (2) 코아-멘톨, 쉘-레시틴, (3) 코아-시나몬 오일, 쉘-레시틴로 합성한 기능성 마이크로 캡슐이다. 제조한 기능성 마이크로 캡슐의 크기 및 형태 평가는 광학현미경, SEM 및 DLS를 통해 수행한 결과 0.1~0.2 ㎛의 크기와 원형형태의 마이크로 캡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조된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여 기능성 샴푸를 제조하고, 이 제조된 기능성 샴푸를 직접 사용하여 두피 온도를 측정한 결과, 두피 온도가 3~4 ℃ 떨어지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코아 물질이 휘발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예측된다. 추후, 기능성 샴푸의 인체 사용 시 두피의 모공 변화 등을 측정할 예정이다.

담배가루이에 대한 Wild Mint 오일의 기피효과 (Repellent Effect of Wild Mint Oil Against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 정진원;문상래;조선란;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3-439
    • /
    • 2010
  •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식물정유의 기피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종의 식물정유를 대상으로 담배가루이 성충의 기피반응을 검정한 결과, mint 오일만이 $5{\mu}{\ell}$의 약량처리에서 90% 이상의 높은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2, 1, 0.5, $0.1{\mu}{\ell}$ 약량처리에서는 77.8~65.7%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Wild mint 오일을 분석하고 생물검정을 수행한 결과, GC/MS 분석으로 wild 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이 menthol(56.5%), menthone(29.0%), menthyl acetate(14.5%)로 밝혀졌으며, 기피활성을 보인 주요구성성분은 원래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비율로 $10{\mu}{\ell}$ 오일을 처리하였을 때 menthol과 menthone이 각각 77.8과 75.8%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nthyl acctate는 유의성이 없었다. 주요 구성성분을 혼합하여 잠정한 결과, 단독검정시와 비교하여 기피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