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d politic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좋은 삶'과 맹자(孟子)의 인정론(仁政論) ('Good life', 'good politics' and Mencius)

  • 안외순
    • 동양고전연구
    • /
    • 제37호
    • /
    • pp.441-471
    • /
    • 2009
  •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정치사상의 고전적인 질문은 '무엇이 진정으로 좋은 삶인가'에 대한 추구였다. 그만큼 '좋은 삶'과 '좋은 정치'는 필연적인 관계에 있다. 맹자(孟子: B.C.385 - 303/302) 역시 예외가 아니다. 그의 사상 전반이 담긴 "맹자(孟子)"는 좋은 삶과 정치에 대한 새로운 정의(定義)로 시작하여 그것이 왜 좋은 삶이고 옳은 것인지를 논증하는 것으로 책 전체를 할애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글은 맹자가 바라본 '좋은 삶'에 대하여 정치사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맹자의 사숙(私淑) 스승 공자(孔子)는 인간다운 인간의 길이야 말로 가장 좋은 삶으로서 문명적 삶인데, 그것은 '인(仁)'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라고 역설하면서 기존의 삶과 차별화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맹자는 이러한 공자의 주창에 대해 그것이 옳은 것이었으며, 나아가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특히 정치적 실천이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맹자에게 있어서 '좋은 삶'은 1) 지배자가 즐거움을 독점하는 삶이 아니라 백성과 함께하는 '여민동락(與民同樂)' 혹은 '여민해락(與民偕樂)'의 삶이고 2) 이를 토대로 각자 구성원들의 사회적 몫이 상호 보장되는 '오륜(五倫)'적 삶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좋은 삶의 실현을 위해, 맹자는 한편으로는 가능성 차원에서 '사단(四端)'으로 확인되는 '사덕(四德)'의 선한 인간본성을 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의 실천을 위해 '인정(仁政)'이라는 정치적 장치를 고안하였다. 나아가 좋은 정치인 인정의 일차적 조건으로 양민론(養民論)을, 최종적 조건으로 교민론(敎民論)을 역설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좋은 삶을 위한 공자의 노력을 맹자가 인정(仁政) 이론으로 계승했듯이, 맹자의 그것은 특히 150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이른바 주자학자들에 의해 '수기치인(修己治人)' 이론으로 계승되었다.

대전지역 청소년의 정치의식에 대한 인식조사 (Recognition reseach for politics consciousness of young people in Deajeon)

  • 최호택;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1-754
    • /
    • 2007
  • 본 연구는 곧 현실 정치에 참여하게 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정치현실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들의 우리나라의 정치상황을 평가는 60점 이하가 48.5%, 61점에서 70점 사이가 36.5%로 대체로 좋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정치인의 자질을 평가는 60점 이하가 압도적인 63.1%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한편, 청소년이 인식하는 우리나라의 정치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정치인이라는 응답이 73.1%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였다. 앞으로 우리나라 정치가 발전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마찬가지로 정치인의 자질 향상이라는 응답이 64.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정치문화의 변화가 11.2%를 차지하였으며, 국가제도의 개선이 9.5%, 유권자 의식 향상이 8%, 정치제도의 개선이 4.1% 등을 차지하여 대체로 정치인의 자질 향상을 가장 필요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도 청소년들의 정치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정당견학(26.7%), 정치교육(24.1%), 각종 모의 정치프로그램 운영(21.9%)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

미국 장애연극에 나타난 다양성의 정치학 -장애, 인종, 민족성의 교차 공연 (The Politics of Diversity in American Disability Theater: Performing the Intersection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 김영덕
    • 영어영문학
    • /
    • 제56권4호
    • /
    • pp.597-618
    • /
    • 2010
  • This paper discusses American disability theater's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identity and disability identity politics. Dramatists John Belluso and Lynn Manning, among others, present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e oppressions at multiple, interlocking levels of do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In Manning's Shoot, the black, blind hero iterates episodes in which h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insults in encounters with whites who used derogatory racist words or belittled him and with some school children who taunted him for just being blind. This play, as in Manning's solo performance, Weights, presents narratives of a blind person traversing multiple locations of oppression in "a long litany of losses" in a white-dominated and ableist society. Belluso's Gretty Good Time similarly weaves together stories of disabled women, Gretty and Hideko, who bond together to resist the dominant ideology that reduces them into titillating commodities of mass consumption. Hideko's story serves the two-fold function of both affirming the specificity of her individual experience as an ethnic other and espousing the communal experience of stigmatization she shares with other disabled women like Gretty. In these plays, the intersection of the identity categories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highlights the diversity of the body and the fluidity of boundaries, foregounding the specificity of disabled bodies, while at the same time overthrowing the hierarchical binarism between disabled and "normal" bodies.

책문(策文)의 정치적 활용성에 관한 시론 - 정조시대 이가환의 「소하대기미앙궁론(蕭何大起未央宮論)」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Discussion of Using Chaekmun in the Field of Politics)

  • 백진우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359-382
    • /
    • 2014
  • 본 논문은 책문(策文)의 정치적 활용성을 타진해 보고자 하는 일종의 시론(試論)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논의는 이가환(李家煥)(1742-1801)이 정조에게 제출한 답안인 "소하대기미앙궁론(蕭何大起未央宮論)"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진행하고자 한다. 책문은 오직 글을 짓는 솜씨만으로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는 없다. 책문의 주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 대한 식견이 없다면 결코 좋은 성적을 거둘 수가 없었다. 따라서 책문을 출제하는 데에는 군왕이 신하들의 글 솜씨와 함께 여러 분야에 대한 식견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이 함께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책문의 정치적 활용성에 중심을 두고 정조가 "소하가 미앙궁을 크게 지은 일"을 책제로 출제한 배경과 이에 대한 이가환의 답안 "소하대기미앙궁론"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이유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군왕이 직접 출제하는 책문(策問)에 군왕의 관심사가 자연스럽게 반영되기 마련이며, 군왕의 관심사 역시 당대의 정세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책제에 대한 답변 역시 논리와 수사 등 문장 내적인 성취와 함께, 군왕의 출제 의도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가 더욱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이가환의 "소하대기미앙궁론"은 다른 시기의 작품들과는 차별되는 관점이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시기에도 소하의 미앙궁 건설에 대해서는 여러 방향에서의 가치 판단이 있어왔는데, 이가환은 기존의 논의와 상당히 다른 층위에서 접근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배경에는 정조의 출제 의도를 정확하게 읽어낸 이가환의 안목이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외식업 종사원의 조직정치지각이 조직침묵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식음·조리부서의 조절적 역할 탐색 (The Effects of Employe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Moderating Role of Food & Beverage and Kitchen Departments)

  • 권영국;김영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3-136
    • /
    • 2017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employe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POP) on organizational silence (OS) and turnover intention (TI)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departments (food & beverage and kitchen)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OP, OS, and TI. Based on a total of 313 useful samples obtained for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2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for the data, $x^2=349.889$ (p<0.001), df=100, CMIN/DF=3.499, GFI=0.882, NFI=0.880, CFI=0.911, RMSEA=0.089. The model's fit, as indicated by these indexes,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results of SEM showed that foodservice employees' POP had positive impacts on the defensive silence (DS) and acquiescent silence (AS). In addition, DS and A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I. The department (food & beverage and kitche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 OS, and TI.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 조사 (Perceptions of High-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STS))

  • 강순자;조선향;여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1-460
    • /
    • 1997
  • Various modern social problems are also relat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orough understanding about Technology-Society(STS) interactions is required to take informed action about how to deal effectively with these problems. In this case, there is a need for S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Technology-Society interactions and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s. It is my hope that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future "General Science" class in Korea. We obtained the data by a survey of 414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General Science" courses in Seoul and 54 of their science teachers. The survey was made using 10 multiple-choice items selected from the VOS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item p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that science is exploring the unknown and discovering new things.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cience are somewhat stable, but about the technology various. 2.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nteract and complement each other. They also thought that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needs investments in both science and technology 3.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social facts as community, government, and politics influenced scientists and scientific research. They also had a good understanding about the eff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society. We can conclude from this that they had a Science-Technology-Society oriented viewpoint.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boys and girls in following categories (p<.05): Influence of Community or Government Agencies on Scientists Influence of Politics on Scientists Role of Scieoce/Technology in Resolving Social Problems 5.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following categories (p<.05): Definition of Science Influence of Politics on Scientists

  • PDF

유가에서 도덕(道德)과 이재(利財) (Confucianism 0n Morals(Human virtue:德) and Profit(利))

  • 임헌규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143-171
    • /
    • 2011
  • 이 논문은 주로 사서(四書)를 중심으로 유가에서 도덕(義)과 물질적 이재(利財)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의(義)와 리(利)의 원의를 살펴보고, 이 용어가 사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규명되고 있는 지를 살피면서 도덕과 물질적 리재에 대한 유가의 입장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유가는 도덕적 행위자를 군자(君子)로 규정한다. 그리고 유가는 행위의 준거에서 옮음과 이익을 대립시키면서, 군자는 항상 '옳음'에 따라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렇게 행위의 동기의 측면에서 대립되는 의와 리는 곧 의리지심(義理之心)과 이욕지심(利欲之心)의 대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리(利)'에는 소리(小利, 이욕(利欲))와 대리(大利, 공리(公利), 복리(福利))의 구별 및 '수확물로 삶을 윤택하게 함'과 '순조롭게 조화를 이룸(의지화자(義之和者))'이라는 또 다른 의미가 있다. 그래서 유가는 소리(小利, 사욕(私欲))의 추구는 비판하지만, 모든 백성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대리(大利)로서의 공리(公利, 복리(福利))를 지향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진정한 리(利)란 치자가 의(義)를 실천했을 때 공평하게 분배되어 조화로운 상태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유가는 치도(治道)의 방법을 제시할 때에는 '선부후교(先富後敎)' 즉 먼저 백성들의 의식주를 충족시켜 준 다음 학교를 통해 오륜(五倫)을 가르쳐 인간다운 삶과 도덕을 추구하도록 가르쳤다. 결론으로 우리는 도덕과 이재(利財)에 대한 유가의 입장을 정리하였다. 그것은 곧 유가는 1)인간적인 덕(德)과 이재를 본말관계(德本財末)로 파악하며, 2) 부의 편중을 비판하고, 신분에 따른 분업과 균등한 부의 분배를 강조하였으며, 3) 부당한 주군) 및 정부를 위해 일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는 것 등이다.

Importance of Lecturer's Role in Management Education

  • Viet Xuan TRINH;Duyen Thi Kim NGUYEN;Dat Ngoc NGUYEN;Loc Xuan TRAN;Huong Thi Lan PHAM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69-7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is undertaken from the standpoint of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theoretical paradigms that have developed in the business world and display conceptual affinities: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train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tilizing questionnaire surveys and multivariate data analysis are two research methodologies (CFA, SEM). Around 201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Vietnam provided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 importance of the faculty role in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The findings show that Ability to form a good relationship positively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Additionally, neither ability to develop a good relationship nor learning drive or knowledge acquisition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The growth of competencies is positively impacted by the suitability of teaching approaches. Knowledge acquisition is favorably impacted by learning motivation, and knowledge acquisition in turn is positively impacted by competence development. Conclusions: Research has shown the important role of lecturers in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From this result, some implications related to lecturers are also given to help improve students' ability to acquire knowledge. Building good relationships with students (ready to answer questions, positive relationships) and good expertise will help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ability to acquire knowledge as well as improve development for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