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꼬마'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2초

좁은뿔꼬마새우(십각목, 생이하목, 꼬마새우과)의 제1조에아 유생과 좁은뿔꼬마새우속의 유생형질 (First Zoea of Heptacarpus rectirostris(Decapoda, Caridea, Hippolytidae) Hatched in the Laboratory, with Notes on the Larval Characters of Heptacarpus)

  • Yang, Hoi-Jeong;Ko, Hyun-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191-201
    • /
    • 2002
  • 좁은뿔꼬마새우의 제1조에아 유생기를 상세히 재기재·도시하였다. 좁은뿔꼬마새우의 제1조에아 유생은 갑각에 두개의 앞배작은가시와 앞옆모가시를 가져 북방좁은 뿔꼬마새우, 긴좁은뿔꼬마새우 및 H. geniculatus보다 절좁은뿔꼬마새우와 상당히 가깝지만 제4-5배마디에 뒤옆가시를 가지지 않아 절좁은뿔꼬마새우의 제1조에아 유생과 분명하게 구별되었다. 한국근해에 보고된 꼬마새우과 종의 유생기재목록과 좁은뿔꼬마새우속 종에 대한 제1조에아 유생검색표가 제시되었다

한국 미기록 동해좁은뿔꼬마새우 (갑각강, 십각목, 꼬마새우과)와 혹등좁은뿔꼬마새우의 재 기재 (New Record of Heptacarpus jordani (Crustacea: Decapoda: Hippolytidae) from Korea and Redescription of Heptacarpus geniculatus)

  • 양회정;김정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1호
    • /
    • pp.11-19
    • /
    • 2005
  • 꼬마새우류인 동해좁은뿔꼬마새우 (Heptacarpus jordani)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보고한다 혹등좁은뿔꼬마새우 (H. genicuiatus)는 재기재하였다. 한국산 좁은뿔꼬마새우속 6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현재 한국산 꼬마새우과는 9속 21종이다

한국미기록 꼬마새우류 (갑각강 : 십각목 : 생이하목) (New Records of Hippolytid Shrimps(Crustacea: Decapoda: Caridea) from Korea)

  • Yang, Hoi-Jeong;Kim, Jung-N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1호
    • /
    • pp.9-19
    • /
    • 2004
  • 한국 남부지역에서 채집된 꼬마새우류 2종, 꼬마새우(Hippolyte acuta) 와 날씬넓적뿔꼬마새우(Latreutes acicularis)가 한국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재기재하고 보고하였다 . 이미 보고된 넓적뿔꼬마새우속의 긴넓적뿔꼬마새우 (L. laminirostris)를 재기재하고 한국산 넓적뿔꼬마새우속 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보고된 한국산 꼬마새우과는 모두 9속 19종이 된다.

꼬마검정물땡땡이속(딱정벌레목: 물땡땡이과)의 국내 첫 보고 (The Genus Paracymus Thomson (Coleoptera: Hydrophilidae) new to Korea)

  • 이대현;안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03-107
    • /
    • 2016
  • 한국산 꼬마검정물땡땡이속(Paracymus Thomson)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꼬마검정물땡땡이속, 염전꼬마검정물땡땡이[P. aeneus (Germar)]와 꼬마검정물땡땡이(P. zaitzevi Shatrovskiy)를 한반도에서 처음 보고한다. 종에 대한 성충의 외형 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분포도, 식별 형질 및 검색표를 제시한다.

한국산 도꼬마리로부터 항암물질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tumor Agents from Xanthium strumarium L.)

  • 김현수;이인선;여수환;성림식;유대식
    • KSBB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24-328
    • /
    • 2003
  • 도꼬마리 추출물의 발암성의 유무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균 S.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변이원성 실험 결과, 추출물 XE-N과 XEA-N의 농도가 증가해도 TA 98 및 TA100 두 균주의 복귀변이 colony 수가 대조구에 비해 변화가 크지 않은 점을 미루어 보아 각 추출물은 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꼬마리 추출물 XEA-A, XEA-B 및 XE-A)의 $H_2O$$_2$로 유도된 세포 독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각각 58%, 53%, 63%로서 생존율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면역 증강 활성은 TNF의 경우 XE-N 추출물에서 2.7배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XEA-N 추출물에서도 2.3배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L-1$\beta$의 생성은 XE-B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IL-2의 생성에는 뚜렷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꼬마리 추출물 및 정제물을 이용하여 동물에 강력한 발암물질인 MNNG를 투여한 후 항산화 효소계를 측정한 결과, 조직의 해독물질인 glutathione (GSH)의 함량이 도꼬마리 정제물 0.2% 투여군에서 약 44.6%, 도꼬마리 추출물 투여군에서 약 41.5% 증가되었다. 또한 도꼬마리 추출물 및 정제물질은 암억제 유전자인 p53의 발현을 매우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도꼬마리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항산화능, 면역증강효과, 암 예방효과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각 기능에 따른 다양한 물질을 분리하여 신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큰 약제임이 확인되었다.

기계적으로 다른 환경에서 예쁜 꼬마선충의 기는 파형 변화 (Effects of Mechanically Different Environments on the Crawling Waveform of Caenorhabditis Elegans)

  • 김대연;변수영;김세호;신현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25-130
    • /
    • 2012
  • 예쁜 꼬마선충은 모델 생물로서 지금까지 행동과 이를 제어하는 신경세포들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의 강성이 다른 고체 환경에서 꼬마선충의 운동관련 적응 행동을 연구하였다. 꼬마선충은 고체 위에서 움직일 때 기는 파형을 조절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다른 환경에 적응을 한다. 즉, 외부환경이 더 단단해질수록 꼬마선충의 기는 파형의 진폭과 파장이 감소하게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기계적인 감각에 결함이 있는 돌연변이의 경우 정상 꼬마선충과는 다른 적응행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계적으로 다른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 기계적인 자극을 감지하고 반응하고 적응하는 기작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꼬마선충이 기계적으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신경회로 모델을 제안하였다.

한국산 꼬마앉은뱅이과(거미강: 앉은뱅이목)의 분류 (The Pseudoscorpion FamilyChthoniidae(Arachnida: Pseudoscorpionida) in Korea, with Two New Species from the Genus Tyrannochthonius)

  • Yong Hong;Kim, Tae-Heung;Lee, Won-K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2호
    • /
    • pp.173-184
    • /
    • 1996
  • 1991년 4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전국의 산림토양에서 채집된 앉은뱅이 중 꼬마 앉 은뱅이과는 8종이었다. 이중 Tyrannochthonius suppressalis n. sp.(가시꼬마앉은뱅이: 신칭), Tyrannochthonius spinatus n. sp.(가시어리꼬마앉은뱅이 : 신칭)는 신종으로 이를 기재한다. 따라서 동굴산 Pseudotyrannochthonius dentifer와 함께 한국산 꼬마앉은뱅이는 총 4속 9종 이 되며 이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 PDF

멸종위기종 꼬마잠자리 보전을 위한 묵논 서식처의 경관생태 및 환경 특성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bitat of 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 an Endangered Species for Conservation)

  • 조규태;김현우;김해란;정헌모;이경미;강대균;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67-674
    • /
    • 2012
  •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의 서식처에 대한 경관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09년 6월, 2010년 4월, 6월과 8월에 걸쳐 꼬마잠자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충남 공주, 경기도 광주와 경북 문경의 묵논 습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꼬마잠자리의 생태적 서식지 특성은 각 지역에서 꼬마잠자리가 서식하는 곳과 인접한 습지 중 꼬마잠자리가 서식하지 않는 곳에서의 우점식생, 면적, 수심, 수온, 식생높이와 식피율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점식생은 모든 지역에서 버드나무군락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수온, 식피율과 식생높이는 습지간 차이가 없었고, 수심은 2.5~9.5cm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개방수역은 꼬마잠자리가 있는 습지에서 1.7~6%의 비율로 나타났지만 꼬마잠자리가 없는 습지의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꼬마잠자리 서식처의 지속적인 보전과 복원을 위해서는 묵논과 같은 습지의 경관구조, 식생 및 물리적 환경특성을 반영한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칼라꼬마감자와 일반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mall Colored Potatoes and Small Regular Potatoes)

  • 박성진;권민수;신경이;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0-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칼라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등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고, 항산화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칼라꼬마감자 100 g(wet weight basis)중에는 수분 79.7%, 탄수화물 17.9%, 조단백질 1.0%, 조지방 0.1%, 조회분 1.3%가 함유되어 있으며, 탄수화물 중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11.45%이었다. 총 식이섬유의 함량은 4.0%로 나타났다. 또한 칼라꼬마감자 100 g의 총 열량은 337.3 kcal로 분석되었다. 칼라꼬마감자의 구성아미노산 중 asparagine (1,514.3 mg/100g)과 glutamic acid(1,240.3 mg/100g)함량이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질 함량은 칼륨이 약 1,454.7 m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인(245.3 mg), 마그네슘(82.8 mg), 칼슘(62.1 mg)순이었다. 미량영양소인 철분(28.1 mg), 망간(28.1 mg), 구리(3.4 mg) 및 아연(2.5 mg)이 함유되어 있었다. 칼라꼬마감자 추출물의 페놀 함량은 chlorogenic acid가 $3,730.60{\pm}0.62mg/100g$로서 가장 많은 양이 함유 되어 있었고 catechin, caffeic acid, gall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p-coumaric acid, ferulic acid는 확인되지 않았다. 칼라꼬마감자의 우수한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및 그 활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칼라꼬마감자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에 대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로 보아 칼라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천연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칼라영양성분 및 항산화감자 추출물 제조시 기능성 향상을 위한 추출공정의 개선 및 최적화 등의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 특성 및 Helicobacto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Characterization and Anti-Helicobactor pylori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 Extract on Lactic acid Fermentation)

  • 강동희;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44-250
    • /
    • 2010
  • 약용식물인 도꼬마리 추출물을 사용하여 유산균을 이용한 단일 및 복합배양을 통하여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생산을 검토하였다.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 시 단일배양 결과에서 유산생산을 통해 대체로 잘 증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H. pylori의 항균 활성은 단일배양보다 복합배양 시 항균활성이 아주 우수하였다. 항균성 물질의 분리는 $C_{18}$ Seppak cartridge에 흡착시켜 30% methanol 용출획분에서 항균성물질이 확인되었으며, TLC로 분석한 결과 $R_f$ 0.46의 위치에서 항균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도꼬마리 유산발효액의 항산화활성은 총 polyphenol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미발효시에 비해 도꼬마리 추출물의 저농도에서 단일배양의 경우 2~4배 증가하였으며,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과 Lactobacillus helveticus KCTC 3545를 복합배양한 경우 1 mg/mL 첨가농도에서 polypheno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adical 소거능은 도꼬마리 추출물을 0.1 및 0.5 mg/mL로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30~40%의 scavenging이 확인되어 발효를 하지않았을 때 (25%)보다 발효를 하였을 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의 경우 0.1 mg/mL의 농도에서 70%의 scavenging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는 미발효시에 비해 Helicobacto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물질의 생산과 기능성물질인 항산화물질의 생산성이 우수하다고 사료되었으며 천연한약재의 발효를 통한 천연물 신약 등 신기능물질의 생산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