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 conjugated dienoic acid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7초

병포장 갓김치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Antioxidation Activities of Bottled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복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0-957
    • /
    • 2009
  • Mustard Leaf Kimchi (MLK) is a traditional fermented Korean vegetable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 vacuum treatment on MLK packed in a glass bottle during fermentation. There have been a few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MLK fermentation. However, the major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cuum treated MLK.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vacuum treated mustard leaf Kimchi (VM) and control mustard leaf Kimchi (CM) were examined. VM and CM were fermented at $5^{\circ}C$ for 8 weeks. A model system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rude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CCC)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The oxidative reaction of the linoleic acid mixture system at $30^{\circ}C$ in the dark was quantified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and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The effect of the CCC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in a rat liver homogenate was examined. Formation of lipid peroxides was estimated by the TBA value, and the CCC extracts were found to inhibit the TBA value.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s,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CCC extracts of Kimchi were isolated on a DEAE-sepharose CL-6B and Sepharose CL-6B column and TLC. The effects of chlorophyll a and b, caroteins on linoleic acid autoxidation were measured by determining the peroxide value.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free radical scavenging were investigated by DPPH. In this assay, chlorophyll a showed the greatest antioxidative activity followed by chlorophyll b, and carotenoids. MLK contains a sufficient content of chlorophyll a and b, and carotenoid which have strong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

가열산화 홍화유의 돌연변이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tagenicity of Thermally Oxidized Safflower Oil)

  • 안명수;이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0-127
    • /
    • 2000
  • Deep-fat frying is a common cooking practic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cern regarding the mutagen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of thermally oxidized oils. Studies on deep-fried foods so far have revealed not much on the mutagenicity of the oils in the food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utagenicity ofthe thermally oxidized safflower oil. Oil was heated in a home-fryer at a temperature of 180$\pm$3$^{\circ}C$ for 48 hours. Oil samples were taken at 0, 8, 16, 24, 32, 40 and 48 hours of heating,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used to study the changes in peroxide value (POV), acid value (AV), iodine value (IV), conjugated dienoic acid (CDA) content, %,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other series of samples were fractionated into non-polar and polar fractions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mutagenicity of the samples taken from the thermally oxidized oils, as well as the non-polar and polar fractions of the thermally oxidized oils, was investigated with the Ames test. The Ames test was carried out with and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Bacterial tester strain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the histidine auxotrophic strains of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A1535 and TA102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base pair mutations, and TA98 and TA1537 for frame shift mutations. Each series of samples was dissolved in tetraphydrofuran (inhibitor-free) and tested at doses ranging from 0.05 to 5 mg/plate. None of the oil samples taken during the 48 hour oxidation period showed any mugagenic activity. This was the case, even after the activaton with 59 mix. Also, none of the polar and non-polar fractions showed any mutagenic activity on all the strains tested.

  • PDF

들깨 및 들기름의 자외선 조사 중 지방질 산화와 산화방지제의 변화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and Perilla Oil Affected by UV Irradiation)

  • 왕선영;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13
    • /
    • 2012
  • 자외선 조사는 들깨와 들기름에서 지방질 산화를 유발하였으며 들기름에 비해 들깨의 산화안정성이, 볶은 들깨에 비해 생 들깨의 유지 산화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자외선 조사 중 들깨와 들기름에 존재하는 토코페롤과 폴리페놀 화합물은 분해되었으며 분해 속도는 들기름보다 들깨에서, 볶은 들깨보다 생 들깨에서 높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중 들깨에 비해 들기름이 산화방지제 농도에 더욱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토코페롤에 비해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깨 및 들기름의 산화방지에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기질 system의 유형에 따른 항산화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Efficiency of Antioxidants on Types of Substrate Systems)

  • 김찬희;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60-56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s in the efficiency of various antioxidants for the three types of substrates such as corn oil in water (O/W) emulsion, water in com oil (W/O) emulsion, and bulky corn oil. ${\alpha}$-Tocopherol (${\alpha}$-Toc) at 0.01 or 0.02%, ascorbic acid (AsA), ascorbyl palmitate (AP), and BHT at 0.02% were added separately to the prepared O/W emulsion, W/O emulsion, and bulk oil,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s were compared. The mixture of ${\alpha}$-Toc ind AsA or AP at the level of 0.02% also was tested to observe any synergistic effect. Oxidation was made by storing at 42${\pm}$1$^{\circ}C$ for 25 days and the oxidative stability was determined by peroxide value and conjugated dienoic acid with time fluctuation of stor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O/W emulsion, the order of antioxidative effect was AP> ${\alpha}$-Toc+AP>${\alpha}$-Toc+AsA>AsA>BHT. 2. In case of W/O emulsion, the order of antioxidative effect was AsA>AP>${\alpha}$-Toc+AsA>BHT. ${\alpha}$-Toc+AP mixture showed the prooxidant effect rather than synergistic effect. 3. In case of bulk oil, the order of antioxidative effect was AsA>AP>${\alpha}$-Toc+AsA>${\alpha}$-Toc+AP\ulcornerBHT. Therefore, AsA, a hydrophilic antioxidant, was more effective in W/O emulsion system than in O/W emulsion system, while the opposite trend was found in AP, a lipophilic antioxidant. AsA, a hydrophilic antioxidant, was more efficient in bulk oil of anhydrous substrate. ${\alpha}$-Toc showed prooxidant effects in all substrates.

  • PDF

전통조리법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지방질과 색소 특성 (Characteristics on lipid and pigments of lotus root, dried laver, and perilla leaf bugak (Korean fried cuisine) made by Korean traditional recipe)

  • 정이진;송영옥;정라나;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05-814
    • /
    • 2013
  •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텍스쳐, 지방질 산화, 색소를 평가하고 튀김유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찹쌀풀과 생참기름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이 밀가루풀과 콩기름으로 제조한 부각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기름 흡수량은 다소 높았으나 공액이중산값과 아니시딘값으로 평가한 지방질 산화는 적었다. 부각 지방질의 산화 정도는 튀김유의 산화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부각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유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다. 김 부각과 깻잎 부각은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를 다량 함유하였으며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 등 제조 방법은 부각의 색소 함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찹쌀풀과 밀가루풀 등의 튀김옷은 김과 깻잎 색소가 기름으로 용출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해 주었다.

달걀 노른자에서 분리한 포스파티딜콜린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 카놀라유의 가열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from Egg Yolk on Thermal Oxidation of Canola Oil)

  • 김강현;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11-620
    • /
    • 2008
  • 달걀 노른자에 함유된 인지질 중 PC와 PE를 추출, 분리하고 이를 토코페롤을 제거한 TSCO에 0, 200, 500, 2,000 ppm의 농도로 단독으로, 또는 1,000 ppm씩 혼합하여 첨가한 후 $180^{\circ}C$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함유된 인지질의 함량변화와 TSCO의 갈색화 정도를 살펴보고, TSCO의 가열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지방산 조성, 공액이중산값, 아니시딘값으로 평가하였다. TSCO에 첨가된 인지질은 가열 시작 후 2-3시간 내에 매우 빠르게 소실되었고, 가열 중 PE의 분해속도가 PC에 비해 높았다. PC와 PE가함께 첨가된 TSCO를 가열할때 PE는 PC의 분해를 억제하였다. TSCO는 가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화가 증가하였고, PC와 PE는 갈색화를 촉진하였으며 PE가 PC보다 큰 영향을 주었다. 가열 중 TSCO의 P/L, P/Ln, 공액이중산값, 아니시딘값은 증가하였으며, PC의 첨가는 이들 값을 낮추어 가열 카놀라유의 산화방지제 역할을 하였으나 PE는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PC와 PE는 TSCO의 가열산화 억제에 있어서 antagonism이 관찰되었다.

분무건조법을 이용한 참취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미세캡슐화 (Microencapsulation of Aster scaber and Aster glehni by Spyay Drying)

  • 강윤창;최경구;김공환;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2-220
    • /
    • 2002
  • 미세캡슐화 기술을 이용하여 산채류 추출물의 저장성의 향상과 식품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산채류에 적절한 캡슐물질은 gum arabic에 dextrin과soluble starch를 각각 3 : 1 비율의 혼합물로 나타났으며, 분무건조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투입 공기온도가 21$0^{\circ}C$, 시료공급속도 10 $m\ell$/min이었을 때 가장 높은 건조 효율성을 보였다. 미세캡슐화는 추출물의 색도 변화를 2~6배 감소시켰다. 대조구(대두 경화유)에 첨가한 참취와 미역취 추출물은각각 16, 48%의 산화 억제율을 나타냈고, 캡슐 분말은 각각46~58%, 72~88%의 산화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것은 산채류 추출물이 유지의 유리 지방산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유지의 자동산화를 방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산채류 추출물을 미세캡슐화하면, 산소 및 온도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아 저장성이 향상된다. 또한 gum과 같은 점질물을 많이 함유하여 점도가 높아 식품에 적용하기 힘든 단점을 분무 건조하여 분말화 함으로서 산채류를 이용한 음료 및 식용유지산업에서의 천연 항산화제 등 여러 가지 식품분야에 효과적인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조간장에서 분리한 멜라노이딘 관련물질의 항산화 작용 특성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 최홍식;이정수;이창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70-575
    • /
    • 1993
  • 양조간장 분말을 Sephadex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획한 후, 가장 갈색도가 높은 melanoidin 관련 물질의 획분인 melanoidin related products(MRPs)을 모아 동결 건조시킨 다음, 이의 free redical scavenger 기능, 항산화 효력상승제의 기능과 금속 킬레이터로서의 기능,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 그리고 저장안전성 등에 대한 항산화 특성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MRPs는 첨가농도(혹은 갈색도)의 증가에 따라 과산화물의 생성을 저해하였으며, 그 항산화력은 ${\alpha}-토코페롤$ 보다는 낮았다. 그리고 free redical scavenger로서의 능력을 가지고 있어 리놀레산 혼합물의 산호를 지연 시켰으며, 염화제일철에 의하여 촉매된 산화반응에서 synergistic antioxidative effect를 나타내었다. 또한 양조간장 MRPs는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conjugated dienoic acid 생성량을 감소시켰다. 한편, 이 MRPs는 저장 안전성이 상당히 있어, $50^{\circ}C$에서 15일간 저장되어 있어도 항산화 효과의 상실이 거의 없음이 관찰되었다.

  • PDF

들깨의 발아가 들깨유의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Oil Oxidation and Tocopherol Stability of Perilla Oil)

  • 황현숙;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5-2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발아들깨와 12, 36, 48시간 발아시킨 들깨로 부터 유지를 추출한 후 $60^{\circ}C$의 빛이 차단된 상태 또는 빛의 존재 하에 4일 동안 저장하면서 가속조건에서의 유지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들깨유의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 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발아 들깨유에 비해 발아들깨유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빛이 차단된 조건에 비해 빛 존재 하에서 들깨유의 산화와 토코페롤 분해가 더 많이, 더 빨리 진행되었다. 들깨유 중 12시간 발아시킨 들깨로부터 추출한 들깨유는 유의하게 낮은 공액이중산값과 토코페롤의 낮은 분해속도 등에 기인하여 가장 높은 자동산화, 광산화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광산화 과정 중 천연산화방지성분의 변화 (Changes in Natural Antioxidants in Oils Extracted from the Bran and Germ of Keumkang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s During Photo-oxidation)

  • 최현기;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20
    • /
    • 2010
  •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제분 중 발생하는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기름(WBG oil)을 $5^{\circ}C$, 1700 Lux로 12일 동안 광산화시킬때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이들과 WBG oil의 광산화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은 WBG oil의 광산화 중 분해되었으며 DNS밀 WBG oil이 금강밀 WBG oil에서보다 토코페롤의 분해가 빨랐으나,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 분해 속도는 느렸다. WBG oil의 광산화 정도와 산화방지성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으며 인지질이 WBG oil의 광산화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금강밀 WBG oil에 비해 리놀레산 함량이 낮고 올레산 함량이 높았던 DNS밀 WBG oil은 지방산 조성은 물론 인지질의 높은 함량과 낮은 분해 속도에 기인하여 높은 광산화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빛의 존재하에서 DNS밀 WBG oil보다는 금강밀 WBG oil이 토코페롤 source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