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_2$max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4초

최대산소섭취량 측정 시 측정간격에 따른 정체현상의 변화와 종료기준의 적용 (The Effect of Sampling Intervals on VO2 Plateau and Reinvestigation of Other Criteria During VO2max Test.)

  • 윤병곤;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55-125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incidence of $VO_2$ plateau by comparing data derived from different time averaging intervals during incremental cycling exercise to $VO_2max$. Seventeen subjects (age: $23.5{\pm}3.3$ years and $VO_2max$: $3.65{\pm}0.73$ L/min, respectively) completed $VO_2max$ tests on cycle ergometer which breath by breath gas ex-change data were obtained. These data were time-averaged into 11-breath, 15, 30 and 60 s sampling intervals. The incidence of plateau were 100, 35, 24 and 6% for the 11 breath, 15 s, 30 s and 60 s averaging, respectively. No correlation was between ${\Delta}$ $VO-2$ at $VO_2max$ and $VO_2max$ (r=0.008). 53% (maximal HR within 10 b/min) and 100% $(RER{\geq}1.15)$ of subjects met the criteria for attainment of $VO_2max$. This data indicate that shorter sampling intervals (11 breath) is the most suitable for de-tection of the $VO_2$ plateau and RER can be used for the criteria for attainment of $VO_2max$ but not maximal HR. Also, the incidence of a plateau is not related to training status or physical fitness of subjects.

젊은 정상성인의 비운동 VO2max 추정식 (Non-Exercise VO2max Estimation for Healthy Young Adults)

  • 이정아;조상현;이충휘;권오윤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4-8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the regression equation from non-exercise $VO_{2max}$ of healthy young adults and to develop a maximal oxygen consumption ($VO_{2max}$) regression model. This model was based on heart rate non-exercise predictor variables (rest heart rate, maximal heart rate/rest heart rate), as an extra addition to the general regression which can reflect an individual's inherent or acquired cardiorespiratory fitness. The subjects were 101 healthy young adults aged 19 to 35 years. Exercise testing was measured by using a Balke protocol for treadmill and indirect calorimetry. The prediction equation was analyzed b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The mean of $VO_{2max}$ was $39.02{\pm}6.72\;m{\ell}/kg/min$ (mean${\pm}$SD). The greatest variable correlated to $VO_{2max}$ was %fat. The predictor variable used in the non-exercise $VO_{2max}$ included %fat, gender,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HR_{max}/HR_{rest}$. The non-exercise $VO_{2max}$ estimation was as follows: $VO_{2max}$($m{\ell}/kg/min$)=55.58-.41(%fat)+.59(physical activity rating)-2.69($HR_{max}/HR_{rest}$)-5.36 (male=0, female=1); (R=.85, SEE=3.64, R2=.72: including heart rate variable); $VO_{2max}$($m{\ell}/kg/min$)=48.47-.41(%fat)+.45(physical activity rating)-5.12 (male=0, female=1); (R=.84, SEE=3.74, R2=.70: with the exception of heart rate variable). As an added heart rate variable, there was only a 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mproved.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eart rate variable correlation with a non-exercise regression model was very low. In conclusion, for healthy young korean adults, those variables that can affect non-exercise $VO_{2max}$ estimation turned out to be only % fat, gender, and physical activity. We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of predictor variables for non-exercise $VO_{2max}$ is necessary for different patient groups who cannot perform maximal exercise or submaximal exercise.

  • PDF

운동 강도별 동일 회복이 혈중 Cortisol과 Catecholamine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ame recovery with individual exercise intensity on the variation of Cortisol and Catecholamine in their blood)

  • 신원;최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232-2239
    • /
    • 2012
  • 본 논문은 개인별 $VO_2max$에 대한 운동 강도 $VO_2max$의 20%, 40%, 60% 운동 후 동일 휴식(30분)이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 하고자 하였다. 피험자 10명을 선발하여 사전 실험인 예비테스트와 본 실험으로 나누어 실험에 임하였다. 가스분석기로 얻은 $VO_2max$를 자료로 사용하여 각각의 개인별 $VO_2max$에 대한 운동 강도를 구하여 실험에 임하였다. 본 실험은 반복측정으로 3개 조로 구분하여 실험하였으며 채혈은 운동전, 운동 직후, 휴식 30분 후에 채혈 하였다. 1회 실험마다 개인당 총 3회 채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운동 강도별 코티솔 혈중 농도는 $VO_2max$ 20%, 40%의 두 운동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운동 강도 $VO_2max$ 60%에서는 유의 수준은 p=.0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운동 강도별 카테콜라민 혈중 농도는 $VO_2max$ 20%, 40%의 두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VO_2max$ 60%에서 유의 수준은 p=.00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측정 시기별 운동 강도간 운동 직 후와 휴식기에 혈중 코티솔 농도의 변화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측정 시기별 운동 강도간 운동 직 후와 휴식기에 혈중 카테콜라민 농도의 변화율에서는 운동 직후 p=.000과 휴식기에서는 p=.034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 강도별 운동 후 동일 휴식에 있어서 $VO_2max$ 60%의 운동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변화율에서도 $VO_2max$ 60%에서 코티솔과 카테콜라민의 변화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강도의 운동 후 휴식은 중등도 이상의 운동 강도에서만 휴식의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즉 휴식은 중등도 운동에서 큰 의미가 없다고 판단된다.

만성폐질환자의 폐기능손상 및 장애 평가에 있어서 호흡곤란정도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Dyspnea Rating in Evaluation for Pulmonary Impairment/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Pulmonary Disease)

  • 박재민;이준구;김영삼;장윤수;안강현;조현명;김세규;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04-214
    • /
    • 1999
  • 연구배경: 만성폐질환자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호흡곤란정도, 안정상태에서 시행된 폐기능검사 및 심폐운동검사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안정시 폐기능검사와 심폐운동검사가 호흡곤란의 정도를 잘 반영하는지 등을 연구하고자 만성폐질환자에서 기초호흡곤란지수, 안정시 폐기능검사 및 심폐운동능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방법: 최근 2개월내에 악화되지 않은 만성폐질환자 50명을, 기존의 안정시 폐기능검사 및 증상 제한적 심폐운동검사결과를 이용하는 폐기능손상/장애 평가기준과 baseline dyspnea index의 초점점수에 따라 저자들이 임의로 정한 기준으로 비중증군과 중증군으로 분류후 각 군간의 안정시 폐기능검사, 심폐운동검사, 초점점수를 비교하였으며, 각 기준의 상호 민감도 및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안정시 폐기능검사치상 중증군에서 max WR(%), $VO_2$max, $VO_2$max(%) 및 초점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p<0.01), $VO_2$max으로 구분하였을 때는 중증군에서 안정시 폐기능검사치 중 $FEV_1$(%)만 유의하게 낮았다(p<0.05). Max WR, max WR(%) 및 초점 접수는 중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1) $VO_2$max(%)이 60% 미만인 경우를 중증군으로 하였을 때 $FEV_1$, $FEV_1$(%), MVV(%), max WR와 max WR(%), 초점 점수 등이 중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초점 점수의 중위수 혹은 5점보다 낮은 경우를 중증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중증군에서 안정시 폐기능치들은 비중증군과 차이가 없었으나(p>0.05), max WR와 max WR(%), $VO_2$max와 $VO_2$max(%)는 유의하게 낮았다(p<0.01). 초점점수와 $VO_2$max의 상관계수는 0.51(p<0.01), $VO_2$max(%)은 0.52(p<0.01)이었으며, 안정시 폐기능 검사치 중 $FEV_1$(%)은 0.41(p<0.01)였다. 초점 점수의 $VO_2$max에 대한 결정계수는 0.26(p=0.0002)였고, $VO_2$max(%)에 대한 결정계수는 0.06(p=0.0001)였다. $FEV_1$은 각각 0.08(p=0.01), 0.38(p=0.0189)였다. 안정시 폐기능검사치 $VO_2$max, $VO_2$max(%)를 기준으로 중증 폐기능손상을 구분하였을 때 선택기준에 따라 민감도와 특이도가 차이가 있었고, 초점 점수의 중위수 및 5점을 기준으로 중증 폐기능 손상을 분류했을 때의 민감도 및 특이도와 큰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이상과 같은 결과로 안정시 폐기능검사만으로는 $VO_2$max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들며,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는 한 안정시 폐기능검사상 정상 혹은 경미한 손상을 보이는 환자뿐만 아니라 중증손상을 보이는 환자에서도 심폐운동검사를 시행하여 폐기능 손상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여겨지며, 폐기능 손상평가의 기존 기준들에 호흡곤란정도를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readmill에서 운동에 따른 지질의 과산화와 항산화제 수준의 변화 (Antioxidant Levels and Lipid Peroxidation in Plasma and Erythrocyte Following Treadmill Running)

  • 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8호
    • /
    • pp.870-876
    • /
    • 1999
  •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ntensity,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status has been studied in sixteen trained male athletes aged 20-25years. Subjects performed 30-40minutes of treadmill running at 65% of VO2 max(high intensity exercise). Blood samples were taken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wo exercise bouts for measurement of blood antioxidants, indices of lipid peroxidation and susceptibility of crythrocyte to peroxidation. Plasma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7.3%), vitamin C(7.5%) and uric acid(2.1%) were elevated a little after exercise at 65% of VO2 max(13.7%)were significantly high than before exercise(p<0.05). However, these exercise-induced changes could be partly due to significant decreases in plasma volume which occurred after both exercise bouts(p<0.05). Plasma volume decreased 5.85$\pm$2.06% and 11.25$\pm$2.87% with exercise at 65% and 85% of VO2 max, respectively. The erythrocyte susceptibility to peroxidation after exercise at 65% of VO2 max was unchanged compared with the value before exercise, whereas after exercise at 85% of VO2 max,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fter exercise at 65% and 85% of VO2 max as well as before exercise(p<0.05). A significant increase at 85% of VO2 max, it was significantly high than after exercise at 85% of VO2 max (29.10$\pm$4.76ug/g Hb)when compared with the level before exercise (24.61$\pm$3.45ug/g Hb)(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exercise-induced changes in plasma levels of lipid peroxide and antioxidant need to be evaluated, taking the shift in plasma volume into consideration. Also, exercise at high intensity corresponding to 85% of VO2 max alters the erythrocyte antioxidant status in relation to exercise-induced of oxidative stress.

  • PDF

20 m 점증 왕복달리기 검사를 이용한 여중생의 VO2max 추정식 개발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Equation for Estimating VO2max from the 20 m PSRT in Korean Middle-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 박동호;송정란;이상현;김창선
    • 운동과학
    • /
    • 제23권1호
    • /
    • pp.1-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20 m 점증왕복달리검사(20 m PSR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여중생의 VO2max를 추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추정식을 개발하는 데 있다. 총 194명의 여중생(13-15세) 중 127명은 타당도 검사를 위해 그리고 99명(나머지 67명+32명은 타당도 분석에도 참여함)은 신뢰도 검사를 위하여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127명의 참여자는 VO2max 추정식의 개발과 새로운 20 m PSRT 프로토콜의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트레드밀을 이용한 최대점증부하검사(고정식)와 이동식 가스분석기를 착용하고 20 m PSRT(이동식)를 실시하였다. 신뢰도분석을 위하여 99명의 참여자들은 새로운 20 m PSRT를 1주일 간격으로 1회 반복(총 2회) 실시하였다. 이동식 가스분석기를 착용하고 측정한 20 m PSRT VO2max 실측값(39.2±5.1 ml/kg/min)은 고정식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측정한 VO2max 실측값(37.7±5.7 ml/kg/min, p=.00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매우 좁은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었다(1.5 ml/kg/min). 또한 이동식과 고정식 가스분석기(20 m PSRT vs. 트레드밀)에서 얻은 VO2max의 상관계수는 .88(p<.001)이었다. 20 m PSRT의 신뢰도 검사와 관련하여 왕복달리기 횟수(r=.88, p<.001) & 최종속도(r= .85)의 상관계수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VO2max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새로운 추정식은 y = .231 × 왕복횟수 - .311×체중 + 46.201 이다(r=.74, SEE=4.29 ml/kg/ml). 결론적으로 첫째, 새로운 20 m PSRT 프로토콜은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검사이며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20 m PSRT 추정식은 한국 여중생(14-16세)에게 적합하고 타당성 있는 VO2max 추정값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Proposal of VO2max estimation formula for elderly men and women using func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 KWON, Young-Ae;LEE, Wan-Young;KIM, Jun-Su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8권1호
    • /
    • pp.21-30
    • /
    • 2022
  • This study proposed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for predicting VO2max of elderly men and women using functional performance variables required to conduct daily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 elderly men (72.4±5.9 yrs) and 117 elderly women (73.4±4.5 yrs) aged 65-90 who belong to the senior welfare center. The maximal graded exercise test using a cycle ergometer and functional performance representing muscle strength, endurance, static and dynamic flexibility, mobility, and agility were measur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α = .05. As a result, the VO2max estimation formula for the elderly was 0.419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a chair) + 0.199 (leg endurance against wall) + 5.383, and R2=0.406. In addition, the VO2max estimation formula for elderly women is - 0.737 (standing up from a supine position) - 0.144 (waking around two cones in a figure 8) - 0.135 (%body fat) + 0.042 (one leg balance with eyes open) + 29.395, R2=0.367 was calculated. The conclusion is that if the maximal graded exercise test is not available, it is considered that VO2max of the elderly can be predicted properly by using the estimation formula calculated based on the functional performance variable.

젊은 성인에서 두개척추각과 호흡순환기능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s between Craniovertebral Angle(CVA)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Young Adults)

  • 이명희;주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7-11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raniovertebral angle (CVA)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VO_2max$ and $VCO_2max$) in young adults. METHODS: For this study, the students of D college were questioned and 50 members of D college were participated in our research.. Side-view pictures of each subject were taken in standing positions, in order to assess forward head posture (FHP) by measuring the craniovertebral angle. The craniovertebral angle was measured as the angle between a horizontal line at C7 and a line from the tragus of the ear to the spinous process of C7. And $VO_2max$ and $VCO_2max$ were measured by Quark CPET (cosmed co, USA) while the subjects were performed the treadmill running task of a intensity to set with respiratory mask. Subjucts were The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aniovertebral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VO_2max$ and $VCO_2max$) using SPSS for window.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aniovertebral angle and $VO_2max$ during treadmill running task (r=0.528,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aniovertebral angle and $VO_2max$ during treadmill running task (r=0.566, p<0.05). CONCLUSION: Foreward head posture is related to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i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diorespiratory function.

흡기근육 훈련과 유산소운동의 동시적용이 심폐반응과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ncurrent inspiratory muscle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cardiopulmonary responses)

  • 정현진;이대택
    • 운동과학
    • /
    • 제21권3호
    • /
    • pp.373-384
    • /
    • 2012
  • 흡기근 훈련을 동반한 유산소운동이 흡기근력, 폐기능, 최대산소섭취량(maximal oxygen uptake; VO2max)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24명의 건강한 대학생이 3 그룹으로 나뉘어 6주간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호흡근육훈련(RTG; n=8), 유산소성달리기훈련(REG; n=8), 호흡근육 및 달리기훈련(BTG; n=8) 그룹으로 나뉘었다. 실험전과 후 폐기능, 최대흡기압력(maximal inspiratory pressure; PImax), VO2max가 평가되었다. RTG는 실험기간 동안 흡기근육훈련(inspiratory muscle training; IMT)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PImax 의 50 % 강도로, 하루 2회, 주당 4일, 회당 30회 훈련하였다. REG는 개인별 VO2max의 70-75 % 강도로, 하루 1회, 주당 4회, 회당 30분 달리기 훈련을 하였다. BTG는 같은 기간 동안 IMT와 달리기훈련 모두에 참여하였다. 실험기간 중 대상자들의 체격변인과 폐기능 변인은 변하지 않았다. VO2max는 RTG, REG, BTG에서 각각 6.1±3.3 %, 5.9±6.6 %, 10.0±8.3 % 증가하였고(p< .05), PImax 또한 RTG, REG, BTG에서 각각 21.7±14.3 %, 19.7±12.0 %, 27.0±12.1 % 증가하였으나(p< .05),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그룹에서 향상이 관찰되었으며, 흡기근 훈련과 유산소운동을 동반한 그룹에서 VO2max와 PImax의 가장 큰 향상을 보였다.

18~34 남성의 최대산소 섭취량 추정 (Prediction of Maximal Oxygen Uptake Ages 18~34 Years)

  • 전유정;임재형;이병근;김창환;김병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3호
    • /
    • pp.373-38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변인과 최대하 대사반응을 이용하여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추정하는 데 있다. 18~34세 남성 250명을 대상으로 추정집단(n=179)과 타당도 검증집단(n=71)으로 나누어 최대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으며 3분인 1단계와 6분인 2단계 종료 시점의 대사반응을 측정하였다. 추정 집단을 대상으로 단계선택법(stepwise method)으로 다중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단계별분석법으로 분석한 모형 1의 추정변인은 체중, 6분HR, 6분VO2이고 R은 0.64(p<.01)이었으며 SEE와 CV는 각각 4.74, 11.7%로 나타났고(p<.01), 추정식은 VO2max(ml/kg/min)= 72.256-0.340(Weight)-0.220(6분HR)+0.013(6분VO2)이며 다중공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모형 2의 추정변인은 체중, 6분HR, 6분VO2, 6분VCO2이고 R은 0.66(p<.01)이었으며 SEE와 CV는 각각 4.59, 11.3%로 나타났고(p<.01), 추정식은 VO2max(ml/kg/min)= 68.699-0.277(Weight) -0.206(6분HR)+0.020(6분VO2)-0.009(6분VCO2)이며, 역시 다중공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모형 1과 비교했을 때 모형 2는 상관이 더 높지만 다중공선성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하게 나타났다. 모형 1과 모형 2를 교차타당도 검증집단에 적용했을 때, 측정된 VO2max와 추정된 VO2Max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0.53, 0.56, P<.001). 타당도 검증을 통해 유용성과 간편성을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얻은 신체변인 및 최대하 대사반응을 이용한 추정모형들이 모두 사용가능하나 모형 2가 정확도 측면에서 다소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