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_1$

검색결과 50,231건 처리시간 0.069초

어유, 비타민 E 및 C의 급여가 닭고기의 DHA 축적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ish Oil, Vitamin E and C Supplementation on DHA Deposition and Shelf-Life in Broiler Chickens)

  • 강환구;김상호;김지혁;강근호;유동조;나재천;김동욱;서옥석;김겸헌;박병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9-269
    • /
    • 2007
  • 본 연구는 브로일러 후기 2주($21{\sim}35$일령) 동안 실험 사료를 섭취한 닭고기에서 DHA 축적 효과 및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로스종 1일령 병아리 수컷 210수를 7개의 처리구로 구분하여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우지를 함유하는 대조구, 어유 1.00% 첨가구(T1), 어유 2.00% 첨가구(T2), 어유 2.00% + 비타민 E 200 ppm + 비타민 C 200 ppm 첨가구(T3), 어유 2.00% + 비타민 C 200 ppm 첨가구(T4), 어유 2.00% + 비타민 E 200 ppm 첨가구(T5) 그리고 어유 3.00% 첨가구(T6)로 구분하였다. 닭고기 내 DHA 축적량은 모든 부위에서 T6가 가장 높았고, 다리살(닭 껍질포함)과 가슴살 근육에서 T1이 $T2{\sim}T5$ 보다 약간 높았으나, 생통닭과 날개(닭 피부 포함)에서 $T2{\sim}T5$는 T1 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은 축적율을 나타냈다. 저장 일수에 따른 닭고기의 DHA 조성은 T1, T2 및 T6가 42.30%, 49.38%, 48.51% 감소하였으며, 이들은 T3, T4, T5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감소를 나타냈다(p<0.05). 특히 TBARS의 값이 가장 낮은 T3와 T5에서 가장 낮은 DHA 감소율을 나타냈다. TBARS는 저장 일수가 지남에 따라서 T6, T2, T1 순서로 증가하였고, T3, T5, T4 순서로 낮았으며, 각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활성효모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ve Yeast(Saaccharomyces cerevisia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유종석;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9-191
    • /
    • 1990
  • 활성효모의 첨가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5개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과 2는 하절기에 실시하였는데 시험 1에서는 37주령의 Dekalb-Delta 산란계, 시험 2에서는 100주령의 환우계 Nick-Chick Brown 산란계를 공시하였다. 각 시험에 있어서 240수를 2처리 6반복으로 반복당 20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요는 대조구($T_1$)와 괄기효모 첨가수준이 0.05%인 첨가구($T_2$)로 하여 시험 1은 4주간, 시험 2는 3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3개의 시험은 동절기에 실시하였는데 시험 3과 4는 각각 54영 및 52주령의 Hy-Line산란계, 시험 5는 36주령의 육용종계를 공시하였다. 시험은 각각 540수를 3처리 6반복으로 반복당 30수적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T_1$), 활성순모 0.05% 첨가구($T_2$) 및 0. 1 % 첨가구($T_3$)로 하여 시험 3과 4는 6주간 및 9주간 그리고 시험 5는 4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시험 4는 시험사료를 3주마다 회전시켰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라틴 방각으로 배치하였다. 시험계는 일반농가에서 사육되었으며, 시험사료는 일반시중사료를 사용하였다. 시험 1에서 산란율은$T_2$가 높았으며(P<0.05), 4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2주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지만(P<0.01), 4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난중과 연ㆍ파난율 및 사망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2에서 산란율은 $T_2$가 높았으며(P<0.05), 사요악률은 2주와 3주에서 $T_2$가 유의하게(P<0.05, P<0.01)좋았으나 3주간의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연난발생률은 $T_2$가 높았지만(P<0.05) 1외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3에서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고(P<0.05), $T_3$$T_2$보다 그리고 $T_2$$T_1$보다 높았다. $T_1$$T_2$의 난중은 $T_3$보다 무거웠고(P<0.05), $T_2$와 의 사료섭취양은$T_1$에 비해 6주에서 높았지만 (P<0.05), 전 기간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연난발생율은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P<0.01). $T_1$$T_3$보다 높았고, $T_3$$T_2$보다 높았다. 사료효율, 연난발생률. 사망율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4에서 산란율은 활성효모 첨가수준을 증가시킬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그외 다른 조사항목에서도 유의차는 없었다. 시험 5에서 육용종계의 산란율은 $T_3$$T_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사료섭취양은 3주에서는 $T_3$$T_1$ $T_2$보다 높았지만(P<0.05) 전 기간 평균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수정률 및 부화율은 대조구보다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 PDF

Efficacy of Cyanobacterial Biofertilizer (CBB) on Leaf Yield and Quality of Mulberry and its Impact on Silkworm Cocoon Characters

  • Dasappa D.M. Ram Rao;Ramaswamy S.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3권1호
    • /
    • pp.15-22
    • /
    • 200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iciency of cyanobacterial biofertilizer (CBB) with chemical (NPK) fertilizer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s of mulberry variety Kanva-2. Their influences on silkworm growth and cocoon characters were also studied. Ten different CBB and NPK fertilizer treatments were given to 5000 plants of established mulberry garden. Treatments were of four types viz., (i) T1 to T7: single and combination dose of CBB+50% NPK (ii) T8: combination dose of CBB + 25%NPK, (iii) T9: CBB only and (iv) T10: control-l00% NPK. Soil pH decreased and nutrients status increased in CBB (T1- T9) treated plots. Average of ten crops data on quantitative traits revealed that T7 (CBB [N. muscorum (1.0 g), A. variahilis (1.0) and S. millei (1.0 g)] + 50% NPK)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growth parameters. Leaf yield was also found high in treatment T7 (32.12 tons/ha/yr.) followed by T10 (31.17 tons/ha/yr.) and T8 (27.67 tons/ha/yr.). Leaf quality characters were found high in T7 and low in T9. Most of the quality traits in T7 are on par with control no. The results revealed that reduction in the dose of chemical fertilizers in T7 did not affect the leaf yield and leaf quality traits of mulberry.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efficiency of CBB (T7) provides nitrogen, increases essential nutrients available in soil, maintain soil pH and supply growth substance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leaf yield and leaf quality of mulberry. Bioassay study also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lkworm growth and cocoon characters between treatments T7 and T10. Economics calculated revealed that T7 is highly economical and beneficial over T10 by gaining an amount of Rs. 660/-/acre/crop. Thus, treatment T7 containing N. muscorum (1.0 g), A. variahilis (1.0 g) and S. millei (1.0 g) + 50% NPK fertilizers can be recommended to sericulturists mainly to reduce the use of NPK fertilizers, by saving 50% of its cost and to improve soil fertility conditions, which in turn improves leaf yield and quality of mulberry.

STRONG CONVERGENCE THEOREMS FOR LOCALLY PSEUDO-CONTRACTIVE MAPPINGS IN BANACH SPACES

  • Jung, Jong-So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37-51
    • /
    • 2002
  • Let X be a reflexive Banach space with a uniformly Gateaux differentiable norm, C a nonempty bounded open subset of X, and T a continuous mapping from the closure of C into X which is locally pseudo-contractive mapping on C. We show that if the closed unit ball of X has the fixed point property for nonexpansive self-mappings and 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there exists z $\in$ C such that ∥z-T(z)∥<∥x-T(x)∥ for all x on the boundary of C, then the trajectory tlongrightarrowz$_{t}$$\in$C, t$\in$[0, 1) defined by the equation z$_{t}$ = tT(z$_{t}$)+(1-t)z is continuous and strongly converges to a fixed point of T as t longrightarrow 1 ̄.ow 1 ̄.

사료내 쑥 첨가 수준이 돈육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Mugwort Level on Pork Quality)

  • 김병기;우선창;김영직;박창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0-315
    • /
    • 2002
  • 본 연구는 쑥 펠렛 사료를 첨가하여 그 급여수준 0(대조구), 3(T1), 5(T2), 7%(T3))에 따라 돈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육돈 40두를 공시하여 2개월간 실험하였다. 수분함령은 T1이, 조지방은 T1과 T2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낮았다(<0.05). 육색중 L값과 전단력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고 pH는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은 대조구가 연도와 육향은 처리구가 높았는데, 특히 T2, T3구에서 높았다(p<0.05).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을 보면 대조구는 1.54, T1은 1.65, T2는 1.68, T3는 1.68로서, 처리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T1 이완시간의 영상화 (Construction of T$_1$ Map Image)

  • 정은기;서진석;이종태;추성실;이삼현;권영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6권2호
    • /
    • pp.83-92
    • /
    • 1995
  • 인체내 구조물의 T$_1$ 영상화 (T$_1$ mapping)는 각각 다른 조직들사이 또는 정상/병변 조직들사이에 독특한 음영대조를 준다. 이 논문에서는 각각다른 TR의 몇 영상들로부터 비선형 curve-fitting을 이용하여 T$_1$을 만드는 방법을 기술하겠다. 일반적인 curve-fitting 알고리즘은 주어진 자료로부터 찾아내고자하는 변수들에 대한 초기시행치 (T$_{1}$$^{t}$ 와 M$_{0}$ $^{t}$ )를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초기시행치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세 가지를 다른 방법들을 제시하고 각각의 정확도와 계산 속도를 비교하였다. Curve-fitting을 위하여 SUN 윅스테이션에서 ANSI C를 이용하여 프로그램하고 실행하였다. Curve-fitting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몇가지 다른 농도의 Gd-DTPA/증류수는 혼합물 모형들을 만들었다. 이들 모형들을 이용한 MR 영상 하나를 이론적인 양성자 밀도영상으로 가정하고 T$_1$이 각각 250, 500, 1000msec인 영상들을 만들고, 각각의 군들에 대하여 1, 5, 10%의 임의잡음(random noise)을 첨가하였다. 이들 영상들을 이용하여 T$_1$ map을 계산하여 만들고, 계산되는 T$_1$ map에 자기공명영상 화시에 발생하는 잠음의 크기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 PDF

OSCILLATORY BEHAVIOR AND COMPARISON FOR HIGHER ORDER NONLINEAR DYNAMIC EQUATIONS ON TIME SCALES

  • Sun, Taixiang;Yu, Weiyong;Xi, Hongjia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0권1_2호
    • /
    • pp.289-304
    • /
    • 2012
  • In this paper, we study asymptotic behaviour of solutions of the following higher order nonlinear dynamic equations $$S_n^{\Delta}(t,x)+{\delta}p(t)f(x(g(t)))=0$$ and $$S_n^{\Delta}(t,x)+{\delta}p(t)f(x(h(t)))=0$$ on an arbitrary time scale $\mathbb{T}$ with sup $\mathbb{T}={\infty}$,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delta}=1$ or -1 and $$S_k(t,x)=\{\array x(t),\;if\;k=0,\\a_k(t)S_{{\kappa}-1}^{\Delta}(t),\;if\;1{\leq}k{\leq}n-1,\\a_n(t)[S_{{\kappa}-1}^{\Delta}(t)]^{\alpha},\;if\;k=n,$$ with ${\alpha}$ being a quotient of two odd positive integers and every $a_k$ ($1{\leq}k{\leq}n$) being positive rd-continuous function. We obtain some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equivalence of the oscillation of the above equations.

EXISTENCE AND ITERATION OF POSITIVE SOLUTION FOR A THREE-POINT BOUNDARY VALUE PROBLEM WITH A p-LAPLACIAN OPERATOR

  • Ma, De-Xia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5권1_2호
    • /
    • pp.329-337
    • /
    • 2007
  • In the paper, we obtain the existence of positive solutions and establish a corresponding iterative scheme for BVPs $$\{^{\;(\phi_p(u'))'\;+\;q(t)f(t,u)=0,\;0\;<\;t\;<\;1,}_{\;u(0)\;-\;B(u'({\eta}))\;=\;0,\;u'(1)\;=\;0}$$ and $$\{^{\;(\phi_p(u'))'\;+\;q(t)f(t,u)=0,\;0\;<\;t\;<\;1,}_{\;u'(0)\;=\;0,\;u(1)+B(u'(\eta))\;=\;0.}$$. The main tool is the monotone iterative technique. Here, the coefficient q(t) may be singular at t = 0, 1.

다양한 사육밀도에서 대형 육계 수컷의 생산성과 도체수율 (Performance and Carcass Ratio of Large-type Female Broiler at Different Stocking Densities)

  • 나재천;황보종;김지혁;강환구;김민지;김동욱;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5-310
    • /
    • 2012
  • 본 시험은 세 가지 다른 사육밀도가 대형 육계 수컷의 생산성과 도체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사육밀도에 따라 T1(9.1수/$m^2$), T2(10.3수/$m^2$) 및 T3(11.5수/$m^2$)로 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Arbor Acre종 육계 수컷 408수를 선별하여 처리구당 4반복씩, 반복당 각각 30, 34 및 38수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육계초기(0~1주), 전기(1~3주) 및 후기(3~6주)로 나누어 총 6주 동안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생존율,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생산지수 및 도체수율을 조사하였다. 6주 동안의 육성률은 세 처리구 모두 8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1주령의 체중은 T2에서 가장 높았으며, T3에서 가장 낮았다(P<0.05). 0~1주령의 증체량은 T2에서 가장 높았으며, T3에서 가장 낮았다(P<0.05). 그러나 1~2주령의 증체량은 T3에서 가장 높았으며, T1에서 가장 낮았다(P<0.05). 0~6주령까지의 전체 증체량은 T2처리구가 3,031 g으로 가장 높았다(P<0.05). 사료 섭취량은 3~4주령에 T1, T2 및 T3에서 각각 1,417 g, 1,265 g 및 1,355 g으로 T1에서 가장 높았다(P<0.05). 2주령부터 6주령까지의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1~2주령, 3~4주령 및 0~6주령에 T1에서 가장 높았다(P<0.05). T1, T2 및 T3의 생산지수는 각각 363.5, 388.3, 358.3으로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4주령 육계의 도체수율과 대부분의 부분육(다리, 가슴, 등, 목) 비율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날개 부위의 비율은 T1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P<0.05). 5주령 육계의 도체수율과 부분육(날개, 다리, 가슴, 등, 목) 비율은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6주령 육계의 도체수율은 목 부분의 비율이 T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T1과 T3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은 대형 육계를 위한 다양한 사육밀도를 기초 자료로 제공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식이 오일과 토코페롤 급여가 돈육의 지방산, 아미노산, TBARS, VBN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ils and Tocopherol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Amino acid, TBARS, VB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 진상근;김일석;송영민;하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97-308
    • /
    • 2003
  •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함량 중 2%를 들깨유로 대체 급여한 돈육(T1), 들깨유 2%에 비타민 E를 250ppm 첨가한 돈육(T2),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오징어유 2%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CLA를 2%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육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오일간에는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에 비하여 SFA와 EFA는 높은 반면 UFA, MUFA, UFA/SFA MUFA/SFA는 낮았다. 총아미노산 함량은 오일간에는 T3가 다른 세 처리구들 (C, T1, T5)보다 높았으며, 동일한 오일에서는 비타민 첨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TBARS의 경우 오일간에는 C와 T1에 비하여 T3와 T5가 높았고, VBN은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