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_{50},\

검색결과 8,117건 처리시간 0.031초

Assessing interfacial fracture in orthotropic materials: Implementing the RIS concept with considering the T-stress term under mixed-mode I/II

  • Zahra Khaji;Mahdi Fakoor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50권2호
    • /
    • pp.237-247
    • /
    • 2024
  • Research on interfacial crack formation in orthotropic bi-materials has experienced a notable increase in recent years, driven by growing concerns about structural integrity and reliability. The existence of a crack at the interface of bi-materials has a substantial impact on mechanical strength and can ultimately lead to fractu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 comprehensive analytical model and establish stress relationships for investigating interfacial crack between two non-identical orthotropic materials with desired crack-fiber angl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application of the Interfacial Maximum Tangential Stress (IMTS) criterion, in combination with the Reinforcement Isotropic Solid (RIS) model,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interfacial cracks in orthotropic bi-materials under mixed-mode I/II loading conditions. We analytically characterize the stress state at the interfacial crack tip using both Stress Intensity Factors (SIFs) and the T-stress term. Orthotropic materials, due to their anisotropic nature, can exhibit complex crack tip stress fields, making it challenging to predict crack initiation behavior. The second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loy the IMTS criterion to predict the crack initiation angle and explore the notable impact of the T-stress term on fracture behavior. Furthermore, we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in evaluating Fracture Limit Curves (FLCs) for interfacial cracks in orthotropic bi-materials by comparing our FLCs with relevant experimental data from existing literature.

밀리미터파 응용을 위한 우수한 성능의 50 nm Metamorphic HEMTs (High Performance 50 nm Metamorphic HEMTs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s)

  • 류근관;김성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6-1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응용에 사용 가능한 우수한 성능의 50 nm InGaAs/InAlAs/GaAs metamorphic HEMT를 구현하였다. 게이트 길이가 50 nm이며 단위 게이트 폭이 30 ${\mu}m$인 2개의 게이트를 가지고 있는 MHEMT의 측정결과, 740 mA/mm의 드레인 포화 전류밀도와 1.02 S/mm의 상호전달 전도도를 얻었으며 전류이득차단주파수와 최대공진주파수는 각각 430 GHz와 406 GHz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유기 셀레늄 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기간이 쇠고기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Period of Organic Selenuim Supplementation on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박범영;김진형;황인호;하경희;이성훈;조수현;김동훈;이종문;김완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0-435
    • /
    • 2005
  • 유기 셀레늄 강화 폐배지를 첨가한 실험사료는 셀레늄 농도를 건물 기준으로 0.9ppm이 되도록 첨가하여 무급여(C), 2개월(T1), 4개월(T2), 6개월(T3) 급여한 한우 거세우 채끝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수분함량은 $63\%$에서 $66\%$로 급여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내 지방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방함량도 처리구별로 약 $11.7\%$에서 $16.4\%$정도의 분포를 보였으나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단백질은 T3구가$20.8\%$로 가장 높았고, T2구가 $19.2\%$로 가장 낮은 조성을 보였다. 따라서 유기 셀레늄을 사료로서 첨가 급여할 경우 일반조성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가열 감량은 $20\~21\%$, 전단력은 $3.6\~4.4kg/inch^2$의 범위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후 24시간 pH는 대조구와 T1구가 각각 5.52, 5.57, T2와 T3는 5.50으로 급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보수력은 대조구 $59.5\%$에 비하여 시험구 T1, T2, T3가 각각 63.8, 64.4, $64.2\%$로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p<0.05), 급여기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관능 특성을비교한 결과로서 다즙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도는 T1구와 T2구가 각각 5.30, 5.28점으로서 T3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향미에서는 T2구가 다른 처리구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유기셀레늄 급여기간이 쇠고기의 육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기 셀레늄 급여에 의한 항산화 효과 등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ntitumor Activity of Arylacetylshikonin Analogues

  • Kim, Seon-Hee;Song, Gyu-Yong;Jin, Guang-Zhu;Ahn, Byung-Z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416-422
    • /
    • 1996
  • Twenty one phenylacetylshikonin analogues were synthesized from various subsitituted phenyl acetic acids and their cytotoxicity values against A549, K562 and L1210 cell lines and antitumor action in mice bearing S-180 cells were measured. All of phenylacetylshikonin analogues expressed a potent cytotoxicity $(ED_{50}, 0.1-1.80{\mu}g/ml)$ against L1210 and K562 cells. L1210 cells were the most sensitive to shikonin analogues among these cells. Except 4-methosyphenylacetylshikonin $(0.098 {\mu}g/ml)$, and a-acetoxyphenylacetylshikonin $(0.10 {\mu}g/ml)$, all other shikonin derivatives sshowed higher $ED_{50}$ values than phenylacetylshikonin $(0.13{\mu}g/ml)$, in L1210. In K562 cell, a-substitution of phenylacetylshikonin $(0.1{\mu}g/ml)$, while other subsitutions increased it slightly; 4-methoxyphenylacetylshikonin $(0.033{\mu}g/ml)$ showed a exceptionally good cytotoxicity against K562 cell. 4-Halogenation tended to decrease the cytotoxic effect on L1210 cells, while it enhanced the effect on K562; 4-bromophenylacetyl $$[ED_{50};(L1210)=1.76{\mu}g/ml, ;ED_{50};(K 562)=0.32 {\mu}g/ml]$$ and 4-chlorophenylacetyl shikonin $$[ED_{50};(L1210)=1.64 {\mu}g/ml, ;ED_{50};(K562)=0.32 {\mu}g/ml]$$. In contrast, A549 cells were much less sensitive to these shikonin analogues which showed $ED_{50}$ values of$1.5-1.35 {\mu}g/ml)$.Most of phenylacetylshikonin derivatives showed good antitumor activity in mice bearing S-180 cells. a-A-cetoxyphenylacetylshikonin and 4-dimethylaminophenylacetylshikonin showed highest T/C value (192-195%), implying that introduction of a-acetyl or of 4-dimethylamino group enhanced the antitumor activity as shown for 4-dimethylaminophenylacetylshikonin (T/C, 192%). It might be due to improvement of water solubility by dimethylamino group in the molecule.

  • PDF

이방성 대수층에서의 투수량계수텐서 해석 (Analysis of transmissivity tensor in an anisotropic aquifer)

  • 강철희;이대하;김구영;이철우;김용제;우남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2호
    • /
    • pp.53-6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5개의 시추공에 대한 수리시험을 실시하여 대수층의 수리학적 이방성과 지하수의 주 유동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수리시험을 통하여 각각의 공에 대한 최대 투수량계수(T(equation omitted))와 최소 투수량계수( $T_{ηη}$)값을 산출하고 주 텐서방향($\theta$)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대수층의 비균질성으로 인해 투수량계수텐서값을 원형좌표계에 도시하였을 때 BH-1, BH-4, BH-5공을 제외한 BH-2, BH-3호공의 경우 다른 공에 비해서 이방성타원체에서 많이 벗어남을 보였다. BH-2, BH-3호공을 제외한 3개의 공에서 대수층의 이방성을 분석한 결과, BH-1호공에서 양수시 T(equation omitted)는 $171.90\m^2$/day $T_{ηη}$$71.01\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l5.39^{\circ}$E로 나타났다. BH-4호공에서 양수시 T(equation omitted)는 $268.20\m^2$/day, $T_{ηη}$는 28.75$\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55^{\circ}$E이며, BH-5호공에서 양수시는 $168.40\m^2$/day. $T_{ηη}$$66.80\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6.59$^{\circ}$E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균열군의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공에서 실시한 초음파주사검층 결과인 N0$^{\circ}$~40$^{\circ}$E/$30^{\circ}$~$50^{\circ}$SE, 그리고 $N30^{\circ}$~$80^{\circ}$W/20$^{\circ}$~$50^{\circ}$NE 방향과 잘 일치하고 있다.

전산화단층촬영 주사시간(Scan Time)이 폐종양운동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the Planning CT Scan Time on the Reflection of the Lung Tumor Motion)

  • 김수산;하성환;최은경;이병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55-63
    • /
    • 2004
  • 목적 : 방사선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활영(computerized tomography, 이하 CT) 시 주사시간이 종양부피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공호흡기의 환기작용에 의해 세로방향의 왕복 운동을 하는 N자형 모형을 제작하였고, 호흡주기를 T로 하였을 때 주사시간을 상대적으로 각각 0.33, 0.50, 0.67, 0.75, 1.00, 1.33, 그리고 1.53 T로 설정하고 CT촬영을 시행하였다. 또한 2002년 3월 19일부터 2002년 5월 21일까지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정위방사선수술(stereotactic radiosurgery)을 시행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주사시간이 빠른 CT (LightSpeed, GE Medical Systems, 주사시간 0.8초)와 느린 CT (IQ Premier, Picker, 주사시간 2.0초)를 각각 $1\~4$회 시행하였다. 각각의 slice에서, N자형 모형의 왕복 운동이 CT 영상에 반영된 좌우방향 선분의 길이를 측정하여 치료계획용 CT 촬영이 모형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정위적 체부 고정틀을 이용하여, 빠른 CT 및 느린 CT의 종양을 하나의 CT 영상조합에서 재구성하여 종양의 체적과 장경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모형실험에서 주사시간에 비례하여, 세로방향 운동을 CT 촬영에서 반영하는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1.00 T 이상에서는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주사시간 1.00 T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준으로, 1.00 T 미만의 주사시간을 가지는 CT촬영에서 모형운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비율이 각각 $0.33\;T:\;30\%,\;0.50\;T:\;27\%,\;0.67\;T:\;20\%,\;0.75\;T:\;7.0\%$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시검사로 측정한 종양의 세로 방향 움직임이 각각 3 mm, 5 mm, 10 mm이었던 각각의 환자에서 느린 CT에서 얻어진 종양의 세로방향 장경이 빠른 CT에 비해 $5.3\%\;17\%,\;23\%$ 증가하였다. 결론 : 주사시간을 환자의 호흡주기 이상으로 하는 경우 setup margin만을 고려하여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정상 폐조직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줄여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성적 (Results of Radiation Therapy in Early Glottic Cancer)

  • 안성자;정웅기;남택근;나병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181-186
    • /
    • 1992
  • 1985년 1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2명의 초기 성문암환자($T_1N_0M_0$; 17명, $T_2N_0M_0$ ; 5명)를 대상으로 후향적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추적조사기 간의 중간값은 39개월이었다. T1,T2 병기환자의 3년 생존율은 각각 $81\%$, $80\%$였다. 이차성 악성종양의 동반율은 $13\%$(3/22)로 2명은 식도에서, 나머지 한명은 폐에서 발병하였으며 이들은 국소종양치유율의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방사선치료후 T1과 T2 병기의 국소종양치유율은 각각 $66\%$$50\%$였다. 방사선치료에 실패한 환자의 수술적구제율은 T1에서 $80\%$(4/5), T2에서 $100\%$(2/2)였으며 이에 따른 총 종양치유율은 각각 $93\%$, $75\%$였다. T1 병기군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성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을 분석하여 보았다. 표재성 및 외장성 병변은 괴양성 및 침윤성 병변보다 방사선에 의한 종양치유율이 높았으나 성대의 앞교차 연결부위의 침범으로 인한 치료성적의 저하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기간의 연장은 종양치유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보였다. 방사선치료로 종양이 치유된 11명 환자 모두 심각한 후유증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정상적인 목소리를 유지하였다.

  • PDF

Trichoderma viride 및 Trichoderma reesei 유래 Cellulase의 키토산 분해 특성 (Chitosanolytic Characteristics of Cellulases from Trichoderma viride and Trichoderma reesei)

  • 홍상필;김동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5-252
    • /
    • 1998
  • 키토산 올리고당 생산에 이용 가능한 경제성 있는 키토산 분해 효소를 탐색하였다. Cellulase, ${\beta}-1,4-glucosidase,\;protease$ 및 상업용 효소류를 대상으로 조제 키토산에 대한 분해력을 시험한 결과 Trichoderma viride, T. reesei 유래의 cellulase 및 상업용 효소인 Celluclast (T. reesei 유래 cellulase)가 우수한 키토산 분해능력을 나타내었다. 키토산에 대한 반응성은 T, reesei 유래 cellulase가 T. viride 유래 cellulase 보다 강하였으며 이들의 적정 키토산 분해조건은 pH 5.0이었고 적정 온도는 T. viride 유래 celluclast는 $45^{\circ}C$, T. reesei 유래 cellulase 및 Celluclast는 $55^{\circ}C$로 나타났다. 또한 dose reponse시험에서 이들 효소 모두 enz./chitosan비=0.1이 적절하였으며 T. reesei 유래 효소 및 Celluclast는 키토산 농도가 3%일 때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상업용 효소인 Celluclast를 이용한 키토산 올리고당의 생산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3% 키토산 용액(310cp)에 Celluclast를 1% 첨가하고 $pH\;5.0,\;55^{\circ}C$에서 시간별로 반응시켰을 때, 점도는 초기30분경에 5.51cp로 98% 이상 감소하였으며 50% ethanol 가용물의 수율은 분해 15시간에 70%로 최대를 보였다. 총환원당의 함량은 분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반응 2시간부터 13.5% 내외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올리고당의 조성은 15시간 분해물에서 균일한 분포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항종 양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6량체 키토산 올리고당의 생성량은 기존의 산 분해방법의 약 4배에 해당되는 8.0%로 나타났다. 따라서 T. viride 및 T. ressei 유래의 cellulase는 99% 이상의 탈아세틸화도를 가지는 키토산에 대하여 분해활성을 나타내고 특히 T. reesei유래의 상업용효소는 지금까지 효소가격이 너무 높아 활용되지 못한 chitosanase를 대신하여 키토산 올리고당을 경제성 높게 생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Effects of Tillage and Cultivation Methods on Carbon Accumulation and Formation of Water-stable Aggregates at Different Soil Layer in Rice Paddy

  • Kim, Sukjin;Choi, Jong-Seo;Kang, Shingu;Park, Jeong-Hwa;Hong, Sunha;Kim, Tae-su;Yang, Woo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34-643
    • /
    • 2017
  • No-tillage is an effective practice to save labor input and reduce methane emission from the paddy. Effects of tillage and cultivation methods on carbon accumulation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s of tillage-transplanting (T-T), tillage-wet hill seeding (T-WS), minimum tillage-dry seeding (MT-S) and no-tillage dry seeding (NT-S) of rice. Soil carbon was higher in NT-S and MT-S, compared to T-T and T-WS. In NT-S and MT-S, soil carbon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top soil (5 cm depth) and decreased with soil depth. In T-T and T-WS, however soil carbon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up to soil depth of 15 cm from the top. Carbon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soil particle size under $106{\mu}m$ and decreased as the soil particle size increased. Contents of water-stable aggregates in NT-S and M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T and T-WS. In NT-S and MT-S, contents of water-stable aggregates were the highest in the top soil a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oil depth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up to the soil depth of 15 cm in T-T and T-WS. Available $SiO_2$ contents in the top soil were the highest in NT-S and MT-S while the lowest in T-T and T-WS. It is concluded that minimum or no disturbance of soil in rice cultivation can increase carbon accumulation in the soil, especially in the top layer, and subsequentl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water-stable soil aggregates.

木瓜片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Texture 특성 (Texture Characteristics of Mokwa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 이지연;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6-393
    • /
    • 1994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ost favorable recipe for Mokwapyun. The ingredients were changed in a variety aspects. The kind and amount of sugar and starch are following: white sugar, brown sugar, honey(4T, 5T); white sugar and honey, brown sugar and honey(2T+2T, 3T+1T, 3T+2T). There are potato starch and mungbean starch. In this, the amount of starch to water are 4t to 3t and 5t to 3t. The moisture content of Mokwa was 76.2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41~50%, and the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38~47%. The pH of Mokwa juice was 3.15~3.43. The brix of Mokwa juice was 5.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43.1~45.9%, and the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was 40.1~46.5%. Mokwapyun tasted the best when it was made of potato starch(starch to water=4t to 3t) mixed white sugar(3T) and honey(1) than that of made of one kind of sugar, and was higer evaluated the tex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