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_{1/2}$

검색결과 34,672건 처리시간 0.057초

쑥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의 비육능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Powder on the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the Fattening Hanwoo)

  • 김병기;정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7-283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한우 32두(거세우 16두, 암소 16두)를 대상으로 (C-1구 거세우의 일반사료 : C-2구 암소의 일반사료 : T-1구 거세우에게 야생쑥 2%첨가 : T-2구 암소에게 쑥 2%첨가) 4개 처리구를 두고 14개월간(생후14개월-27개월) 비육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7개월 시험종료 체중에서 대조구인 C-1구, C-2구는 각각 648.6, 623.1kg이었고, 처리구인 T-1구, T-2구는 각각 663.3 kg 및 620.7 kg으로서 T-1구가 가장 높았고, 총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에서도 T-1구가 각각 342.4 kg과 0.88 kg으로 가장 높았다. 1일 두당 총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인 C-1구 및 C-2구와 처리구인 T-1구 및 T-2구가 각각 9.35, 9.09, 10.08 및 9.69 kg으로 T-1구가 가장 높았고, 사료요구율에서는 C-1구(11.28) > T-1구(11.48) > C-2구(11.52) > T-2(12.57)순으로 낮았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GOT, GPT, 글리코스 및 BUN은 대체로 시험개시전보다 시험개시후가 더 높은 경향이었고, 특히 시험개시후의 총 콜레스테롤, GOT 및 glucose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p<0.05). 도체중은 처리구(344.11-378.08 kg)가 대조구(342.71-369.70 kg)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등지방두께는 처리구(12.75-14.75 mm)가 대조구(15.76-16.00 mm) 보다 얇아진 반면에 배최장근 단면적은 처리구$(84.25-87.88cm^2)$가 대조구$(84.00-85.25cm^2)$보다 넓어졌다. 그 중에서 T-1구가 각각 14.75 mm와 $87.88cm^2$로 가장 좋았으며, 육량 및 육질등급은 처리구(각각, 2.02-2.50점, 2.85-3.05점)가 대조구(각각, 1.80점, 2.80-2.55점)보다 높았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거세한우에게 쑥첨가는 일당증체량 증가, 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육질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확장된 Interactive Hashing 프로토콜 (Extended Interactive Hashing Protocol)

  • 홍도원;장구영;류희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5-102
    • /
    • 2002
  • Interactive hashing은 Naor, Ostrovsky, Venkatesan, Yung〔1〕에 의해 소개된 프로토콜로 주어진 스트링 크기 t비트에 대해 t-1번의 라운드 복잡도(round complexity)와 $t^2$-1 비트의 전송 복잡도(communication complexity)를 가진다. 본 논문은 t를 나누는 m에 대해서 t/m-1번의 라운드 복잡도와 $t^2$/m - m 비트의 전송 복잡도를 갖는 NOVY 프로토콜보다 효율적으로 확장된 Interactive hashing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안전성을 증명한다.

사료내 쑥 첨가 수준이 돈육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Mugwort Level on Pork Quality)

  • 김병기;우선창;김영직;박창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0-315
    • /
    • 2002
  • 본 연구는 쑥 펠렛 사료를 첨가하여 그 급여수준 0(대조구), 3(T1), 5(T2), 7%(T3))에 따라 돈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육돈 40두를 공시하여 2개월간 실험하였다. 수분함령은 T1이, 조지방은 T1과 T2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낮았다(<0.05). 육색중 L값과 전단력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고 pH는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은 대조구가 연도와 육향은 처리구가 높았는데, 특히 T2, T3구에서 높았다(p<0.05).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을 보면 대조구는 1.54, T1은 1.65, T2는 1.68, T3는 1.68로서, 처리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제2기 위암에서 3 Subgroup간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Subgroups in Stage II Stomach Cancer)

  • 서병선;김병식;김용호;육정환;오성태;김완수;박건춘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권1호
    • /
    • pp.32-37
    • /
    • 2001
  • Purpose: Three subgroups of stage II stomach cancer (T1N2M0, T2N1M0, T3N0M0) by UICC-TNM staging system show obvious survival difference to each other, which becomes the pitfall of the current staging system. We analyzed the survival and relapse pattern of stage II stomach cancer patients in three subgroups retrospectively to prove the need for change in staging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89 to December 1995, curative gastric resection was performed in 1,037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 and among them 268 patients ($26\%$) were in stage II. The number in each of subgroups (T1N2M0, T2N1M0, and T3N0M0) were 17, 139 and 112 respectively. Survival and relapse pattern were analyzed and median follow up period was 46 months. Results: The 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of T1N2M0, T2N1M0, and T3N0M0 were $50\%,\;80\%,\;and\;76\%$ respectively (p=0.001). And the 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of T1N2M0 was comparable to those of 2 subgroups of stage IIIa (T2N2M0, T3N1M0), $47\%\;and\;45\%$ (p>0.05). Peritoneal recurrence was the most frequent in T3N0M0. And hematogenous spread was more frequent in T2N1M0 while nodal spread was more frequent in T1N2M0. Ten out of 17 cases of T1N2M0 died of recurrence. Most of them showed submucosal tumor with depressed lesion and mean tumor size was 3.3 cm. Conclusions: Up-staging of T1N2M0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it has the lowest survival rate and the worst prognosis among the three subgroups of Stage II stomach cancer patients. In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high-risk factors (large tumor size, invasion into the submucosal layer, and lymphatic vessel involvement), lymph node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is recommended in an attempt to prevent recurrence in the form of lymph node metastasis.

  • PDF

3년간(1996~1998) 초등학생의 A군 연쇄구균 보균율과 혈청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Serial Survey on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al Carrier Rate and Serotyp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1996~1998)

  • 김지현;김주예;강현호;차성호;이영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143-151
    • /
    • 2000
  • 목 적 : A군 연쇄상구균은 소아영역에서 상기도 감염의 중요한 원인이며, 부적절한 치료시 류마티열 및 급성 신사구체염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세균이다. A군 연쇄상구균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T단백질의 항원성 분류는 연쇄구균감염의 역학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3년동안 우리나라 초등학생 연쇄구균 보균자에게서 분리된 A군 연쇄상구균의 T단백 분류를 통해 그 역학적 동태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3월부터 5월까지 울진, 서울, 오산, 군산의 정상 초등학생 1,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울진에서는 1996년, 1997년, 1998년 3년동안 배양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996년 오산에서는 같은 초등학교에서 3회에 걸쳐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아동으로부터 소독된 면봉으로 편도와 인두를 세게 문질러 검체를 획득하여, 면양혈액한천배지에 접종 후 희석하여 37.2도에서 하룻밤 배양 후 얻은 베타용혈균을 Streptex를 이용하여 grouping하였으며, 분리된 A군 연쇄상구균의 T혈청형 분류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996년 울진, 서울, 오산, 군산의 1,192명의 초등학생 중 15.0%인 179명에서 A군 연쇄상구균이 배양되었으며, 지역별 보균율은 울진 18.6%, 서울 2.7%, 오산 26.0%, 군산 12.3%였다. 1996년 보균자 179명중 T혈청형 분리율은 52.2%였으며, 지역별로는 울진 68.7%, 서울 83.3%, 오산 24.7%, 군산 83.8%였다. 1996년 지역별로 흔하게 분리된 T혈청형은, 울진에서는 NT, T1, T3순이었고, 서울은 T12, T25, 오산은 NT, T6, T28, 군산은 T25, T4, NT, T5순이었다. 울진의 연도별 보균율은 1996년 16.0%, 1997년 7.1%, 1998년 13.0%였으며, 분리된 T혈청형은 1996년에는 NT, T1, T3, T25순이었고, 1997년 NT, T1, T12, T25 순이었으며, 1998년에는 T12, NT, T4순이었다. 1996년 오산 지역에서 3회에 걸쳐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분리된 T혈청형은 1차에서는 NT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차에서는 T6, T1, T4 순이었고, 2차에서와 같은 대상을 2주간격을 두고 시행한 3차에서는 T8/25, T12, T1순이었다. 같은 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격으로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1차에서 23명의 소아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2차에서는 27명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이중 1, 2차에서 모두 양성이 나온 사람은 16명이었다. 이 16명중 T혈청형이 1, 2차에서 동일하게 나온 사람은 4명(25.0%)이었다. 결 론 : 배양된 균의 세포막 단백질의 분석을 통해 연쇄구균의 혈청학적 타입을 분석 및 이 균과 관련된 역학을 파악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근본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주기적으로 병원균에 대한 역학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ctivity of Chlorelaa vulgaris Associated by Escherichia coli W3110 on Removal of Total Organic Carbon in Continuous River Water Flow System

  • Kong, Surk-Key;Nakajima Toshiuki
    • ALGAE
    • /
    • 제17권3호
    • /
    • pp.195-199
    • /
    • 2002
  •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Chlorella vulgaris and E. coli W9110 in removal of total organic carbon with the lab-scaled continuous river water flow system (CRWFS). Artificial wastewater was applied at two levels of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1,335 $mg{\cdot}l^{-1}$ in the treatment (T)-1 and 267 $mg{\cdot}l^{-1}$ in T-2. The highest densities of C. vulgaris were $8.3{\times10^6\;cells{\cdot}ml^{-1}$ in T-1 and $6.9{\times}10^6\;cells{\cdot}ml^{-1}$ in T-2. The maximum densities of E. coli W3110 were $2.0{\times}10^8$ clony forming unit (CFU)${\cdot}ml^{-1}$ in T-1 and $3.9{\times}10^8\;CFU{\cdot}ml^{-1}$ in T-2. The densities increased during the first 11 days in T-q and 4 days in T-2, and decreased rapidly till 35th day, then increased slightly afterwards. This trend was prominent in T-2. It was inplied that wider range of nutrients was required in the growth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T-2 than in T-1. The algal biomass should be increased effectively for the successful removal of organic carbon.

마쇄보리 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거세 한우의 도체 및 식육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etary Cracked Whole Barley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mposition in Hanwoo Steers)

  • 이상무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67-375
    • /
    • 2011
  • 본 연구는 마쇄보리 사료의 급여 수준이 비육 후기 한우 거세우의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육량, 육질, 일반성분, 무기물 및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급여 기준(배합사료 기준으로 0%, 10%, 20%, 30%, 40% 마쇄보리 첨가)을 5처리 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평균 사료섭취량은 T2 > T3 > T4 > T1 > C구 순으로, 일당 증체량은 T2 > T3 > T4 > T1 > C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등지방 두께, 육량 지수 및 등심단면적은 각각 C, T4 및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등지방두께는 마쇄 통보리 첨가구(T1, T2, T3 및 T4)가 C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근내지방도, 조직감 및 육질등급은 T1구가 가장 높았던 반면(P<0.01, 0.05) 성숙도, 지방색 및 육색은 상호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T1구가 17.59%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7.4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조회분 및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에너지가에 있어서는 마쇄보리 첨가구(T1, T2, T3, T4)구가 C구에 비하여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1). Ca, Cu, K, Mg, Mo, Na 및 Zn 함량은 모두 C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Co 함량은 T2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1). 명도($L^*$)는 C구에 비하여 마쇄보리 첨가구(T1, T2, T3, T4)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적색도($a^*$)는 T1구가 20.96으로 다른 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황색도 ($b^*$)는 C구에 비하여 마쇄보리 첨가구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두 마쇄보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마쇄 보리 첨가량이 10%인 T1구는 다른 구에 비하여 등심단면적, Marble score, 육질등급 및 명도가 다른 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lberry Leaves and Dandelion Extracts on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Chickens)

  • 박창일;손중천;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3-180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을 각각 1%와 2%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가열 감량, 육즙 손실 및 혈액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 뽕잎 추출물 1% 급여구는 T1, 뽕잎 추출물 2% 급여구는 T2, 민들레 추출물 1% 급여구는 T3 그리고 민들레 추출물 2% 급여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4주간 냉장 온도($4{\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육계의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은 T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가열 감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고, 처리구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육즙 손실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의 급여는 육즙 손실이 감소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혈액 조성 중 GOT, GPT, 총콜레스테롤은 뽕잎과 민들레 추출물 급여구에서 낮아지고, 특히 민들레 추출물 2% 급여구에서(T4)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HDL-cholesterol은 대조구보다 T1, T2, T3 및 T4에서 증가하고, 특히 T3와 T4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LDL-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중성지방은 대조구와 T1 및 T3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T2와 T4에서 유의성 있게 낮아졌다(P<0.05). 결론적으로 민들레 추출물 2% 급여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cholesterol을 증가 시킴으로 혈액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림프절의 자기공명영상의 특징: 가토에서 T1과 T2 강조영상의 비교 (Magnetic resonance imaging characteristic of lymph nodes: Comparison of T1 and T2 weighted image in normal rabbits)

  • 이기창;최민철;최호정;윤정희;최승홍;문우경;정진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11-315
    • /
    • 2004
  • The detection of lymph node metastasis is an important step in tumor staging and is significant for therapy planning. It has been challenged to yield an appropriate image with diagnostic methods such as Magnetic Resonance (MR) and Computed Tomography (CT). Though CT has been used widely and accessed easily to show internal organs, it can hardly provide difference between lymph node and adjacent vessel or fat tissue. It has been well established that MR can reveal the subtle discrepancy within soft tissu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itability of MR lymph node imaging without contrast enhancement by comparison of T1-weighted image (T1WI) and T2- weighted image (T2WI) in ten normal rabbits. According to the pulse sequence optimized from preliminary study, T1-weighted spin-echo (repetition time/echo time=400/12 ms) and T-2 weighted fast spin-echo (repetition time/echo time=3500/84 ms) images covering the hind limbs and pelvic region were acquired at 1.5 T. Two radiologists scrupulously evaluated the MR images in consensus. And signal intensity of lymph nodes was compared with that of adjacent fat.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1-weighted coronal image visualized the lymph nodes (iliac, superficial inguinal and popliteal lymph nodes) quickly and consistently rather than T2-weighted one. Conclusively, T1WI for evaluation of lymph nodes is moderately better than T2WI and appears to have potential for quick and sufficient mapping of the lymph nodes. In addition, this normal MR image of lymph nodes could be applied to further study for the evaluation of lymphatic system in abscess and tumor bearing animal model.

T1-T2 성문암의 방사선 치료 성적 (Local Control after Radiation Therapy for T1-T2 Glottic Carcinoma)

  • 권병현;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31-336
    • /
    • 1994
  • Purpose :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the primary radiation therapy and salvage surgery in a series of patients affected by T1-T2NO glottic cancers treated from 1985 to 1991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 From 8/85 to 12/91,34 patients affected by early glottic carcinoma histologically proven were treated with curative radiation therapy, Distribution of patients according to T stage was 30 for T1 and 4 for T2. Male to female ratio was 33:1. Age of patients ranged from 31 to 73 with mean age of 58 years. All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radical radiation with total tumor dose of 63-75. 3Gy(median 68.2Gy), of 5 weekly fractions of 1.8-2Gy and with 6MV photon beams through two laterally opposed fields. Results : The overall 5-year local control rates were $74\%$(8/30) for Tl, and $25\%$(3/4) for T2. The main cause of failure was progression or recurrence in T(10/11). One failures were observed in T and N at the same time. Of these 11 patients, 9($81\%$) were salvaged with surgery, After surgical salvage of radiation failures, the 5-year survival rates were $96\%$ for T1 and $75\%$ for T2. Among the survivors, $73\%$ of T1 and $33\%$ of T2 were able to preserve the larynx. Conclusion : It can be concluded that radiotherapy is the first choice in the treatment of glottic T1 carcinom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