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XA_2$ synthesi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식이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변화가 흰주의 연령에 따른 지방대사 및 항혈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 Varing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Conten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thrombosis in Different Aged Rats)

  • 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10호
    • /
    • pp.967-978
    • /
    • 1994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and dietary linolenic acid content and the linolenic acid/linoleic acid(LNA/LA) ratio on the lipid metabolism and formation of PGI2 and TXA2. The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6 different with 0.2, 0.4, 0.6 of LNA/LA ratio within either 8% LNA(high LNA) or 4% LNA(low LNA) of fatty acid content for different feeding period(1, 4, 12 month). The dietary fat used were sesame oil, perilla oil, soybean oil and beef tallow. The concentration of serum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HDL-C were increased with aging.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in 0.2 ratio of LNA/LA. The lipid content of liver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at of serum. The ratio of PGI2/TXA2 was increased in 1 month rats and antithrombotic effect was reduc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ge. The PGI2/TXA2 ratio was tended to be higher in diet of 0.2 and 0.4 LNA/LA ratio at high LNA level and in diet of 0.6 LNA/LA ratio at low LNA level. Especially PGI2/TXA2 ratio was increased linearly with rising LNA/LA ratio at low LNA level. It seemed that the LNA content and LNA/LA ratio had interaction to increase the antithrombotic effect bychanging TXA2 synthesis. And the dietary fatty acid related effect lowering the serum and liver lipid content, excepting triglyceride, was increased when dietary n3/n6 ratio was high(0.6) at both high and low n3 level. Therefore, it could not be recommended to consume large amount of n3 fatty acid or high ratio of n3/n6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etary fatty acid ratio of n3/n6 c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n-3 content of dietary fat to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 PDF

2-Bromo-3-(3,5-tert-butyl-4-hydroxylphenyl)-1,4-naphthalenedione (TPN2)의 항혈소판 작용 (Antiplatelet Actions of 2-Bromo-3-(.3,5-tert-butyl-4-hydroxylphenyl)-1,4-naphthaleneflione (TPN2))

  • 최소연;김민화;이수환;정이숙;백은주;유충규;문창현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3호
    • /
    • pp.227-233
    • /
    • 1999
  • The effects of 2-bromo-3-(3,5-tert-butyl-4-hydroxylphenyl)-1,4-naphthalenedione(TPN2), a synthetic vitamin K derivative, on platelet aggregation and its action mechanisms were investigated in rat platelet. TPN2 inhibited the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collagen($10\mu\textrm{g}$/ml), thrombin(0.1 U/ml), A23187($10\mu\textrm{M}$) and arachidonic acid($100\mu\textrm{M}$)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of 6.5$\pm$1.3, 59.3$\pm$4.5, 13.0$\pm$2.37 and 2.9$\pm$$1.0\mu\textrm{M}$, respectively. Collagen-induced serotonin releas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PN2. The elevation of intracellular free $Ca^{2+}$ concentration ([$Ca^{2+}$]i) by collagen stimulation was greatly decreased by the pretreatment of TPN2, which was due to the inhibition of calcium release from intracellular store and influx from outside of the cell. TPN2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thromboxane $A_2$($TXA_2$) form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collagen-induced arachidonic acid (AA) release in [$^3H$]-AA incorporated platelet, an indicative of the phospholipase $A_2$ activity, was decreased by TPN2 pretreatment. TPN2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ity of thromboxane synthase, but did not affect the cyclooxygenase activ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PN2 exert its antiplatelet activity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TXA_2$ synthesis.

  • PDF

2-(4-시아노페닐) 아미노 -1,4-나프탈렌디온-3-피리디니움 퍼클로레이트 (PQ5)의 항혈소판작용 (Antiplatelet Activity of 2-(4-Cyanophenyl) amino-1,4-naphthalenedione-3-pyridinium perchlorate (PQ5))

  • 김도희;이수환;최소연;문창현;문창현;김대경;유충규
    • 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09-817
    • /
    • 1999
  • The effect of 2-(4-cyanophenyl)amino-1,4-naphthalenedione-3-pyridinium perchlorate (PQ5) on pla-telet aggregation and its action mechanisms were investigated with rat platelet. PQ5 inhibited the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collagen ($6{\;}{\mu\textrm{g}}/ml$), thrombin (0.4 U/ml) and A23187 ($3{\mu}M$)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of 5.50, 25.89 and $37.12{\;}{\mu}M$, respectively. PQ5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thromboxane $A_2$ (TXA2) formation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collagen-induced arachidonic acid (AA) release in [-3H]-AA incorporated platelet, an indication of the phospholipase $A_2$ activity, was decreased by PQ5 pretreatment PQ5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ity of thormboxane synthase only at high concentration ($100{\mu}M$), but did not affect the cyclooxygenase activity at all. Collagen-induced ATP releas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PQ5. Calcium-induced platelet aggregation experiment suggests that the elevation of intracellular free $Ca^{2+}$ concentration ($[Ca^{2+}]_i$) by collagen stimulation is decreased by the pretreatment of PQ5, which is due to the inhibition of calcium release from intracellular store and influx from outside of the cell. PQ5 did not showed the effect of anticoagulation as prothrombin time (PT) or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For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PQ5 exerts its antiplatelet activity through the inhibition of the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the decrease of the $TXA_2$ synthesis.

  • PDF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

  • Chang Gyu-Tae;Kim Jang-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391-1398
    • /
    • 2005
  • The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DJW, 大造丸) which consists of 11 kinds of herbs (indicated as ratio) of Rehmanniae Radix 24%, Hominis Placenta 5%, Testudinis Carapax 9%, Eucommiae Cortex 9%, Asparagi Radix 9%, Phellodendri Cortex 9%, Achyranthis Radix 7%, Liriopis Tuber 7%, Angelicae Sinensis Radix 7%, Ginseng Radix 5% and Schizandrae Fructus 3%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from DJW inhibited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DJW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fractionated by ethylacetate. A 70% methanol extract showed a strong inhibition against PAF-induced aggregati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have inhibitory effect on PAF-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ssay.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specially protected against the lethality of PAF, while verapamil did not afford any prot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extracts and alcoholic-fractions inhibit the action of PAF in vivo by an antagonistic effect on PAF, so that it may be useful in treating disorders caused by PAF, such as acute allergy, inflammation, asthma, gastrointestinal ulceration, toxic shock and so forth. DJW was investigated regarding its assumed anti-thrombic action on human platelets which was deduced from its ability to suppress Arachidonic acid(AA)-induced aggregation, exocytosis of ATP, an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COX) and Thromboxane synthase(TXS) activity. The latter two effects were estimated from the genera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and Thromboxane $A_2(TXA_2)$ respectively. Exogenously applied AA ($100{\mu}mol/{\ell}$) provoked a $89\%$ aggregation of platelets, the release of 14 pmol ATP, and the formation of either 225 pg $TXA_2$ or 45 pg $PGE_2$, each parameter being related to 106 platelets. An application of DJW 5 min before AA dose-dependently diminished aggregation, ATP-release and the synthesis of $TXA_2$ and $PGE_2$ with $IC_{50}$ values of 74, 108, 65, $72{\mu}g/m{\ell}$, respectively. The similarity of the $IC_{50}$ values suggest an inhibition of COX by DJW as primary target, thus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XA_2$ which induces aggregation of platelets and exocytosis of ATP by its binding on $TXA_2$-receptors.

간암세포 (HepG2 Cell)에서의 식이성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항동맥경화성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he Anti-Atherosclerotic actors in Human Hepatoma HepG2 Cells)

  • 오현희;문희정;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182-192
    • /
    • 2004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s the mixture of positional and geometric isomers of linoleic acid (LA), which is found abundantly in dairy products and mea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carcinogenic effect of CLA in HepG2 hepatoma cells. HepG2 cell were treated with LA and CLA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10, 20, 40, 80 uM each at different incubation times. After each incubation times, cell proliferation, fatty acids incorporation into cell, peroxidation and postaglandin E$_2$ (PGE$_2$) and thromboxane $A_2$ (TXA$_2$) for the eicosanoid metabolism were measured. LA treated HepG2 cells were increased cell growth 6 - 70% of control whereas CLA increased cell death the half of those in LA group (p 〈 0.001). LA and CLA were incorporated very well into the cellular membranes four times higher than in control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longer incubation times. Moreover, LA synthesized significantly arachidonic acids corresponding with LA concentration compared to CLA supplementation. The supplementation with LA increased intracellular lipid peroxides concentration corresponding with LA concentration and five times higher than those in CLA significantly at any incubation times (p 〈 0.001). PGE$_2$ and TXA$_2$ levels were three to twenty times lower in condition of CLA treatments than LA, respectively. Overall, the dietary CLA might change the HepG2 cell growth by the changes of cell composition, production of lipid peroxide. Since CLA have not changed the levels of arachidonic acid of cell membrane, which was sources of eicosanoids, eicosanoid synthesis was not increased in CLA compared to LA. Our results was suggest CLA has a possibility to protect the progress of atherosclerosis because CLA does not produce lipid production and endothelial contraction factors in liver.

초법에 따른 당귀의 항산화 및 항혈전 효과 (The Effect of Angelicae gigantis radix according to Heat-process on Anti-Oxidant and Anti-Thrombotic)

  • 김민영;권오준;추병길;이가위;박은혜;김홍준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22
    • /
    • 2016
  • Objectives: Arachidonic acid is control the thromboxane A2 (TXA2) and prostacycline (PGI2) synthesis, TXA2 increase lead to thrombus produced by induces platelet aggregation and vasoconstriction. Angelicae gigantis radix (RAR) is mainly used blood deficiency and stagnation. In previous studies, RAR has been reported that a vasodilating and blood clotting delay effects. In this study, investigate that anti-oxidant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RAR by heat-process.Methods: The heated angelicae gigantis radix sample were made by 140, 180, and 220 ℃ and 4, 6, 9 and 12 min using water or 30% ethanol.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measured by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ing activation. Anti-thrombotic effect conducted in samples that are determined to be effective through the anti-oxidant experiment such as angelicae gigantis radix roasted 180℃, and 220℃ and angelicae gigantis radix roasted with 30% ethanol 180℃, and 220℃.Results: Anti-oxidant parameters were efficacious in high temperature roasted AR. Also AR and EAR increased a inhibitory activity of FXa compared with RAR. The blood coagulation time of administrat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 with control group. The TXB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R and EAR.Conclusions : We confirmed that whether AR and EAR administration has anti-oxidant and anti-thrombotic effect or not. As the results, AR and EAR were improved anti-oxidant effects and blood biochemistry compare with control group. This study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that AR and EAR are have an anti-oxidant effect and anti-thrombotic effect, it expect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식이성 Conjugated Linoleic Acid (CLA)가 유선암 세포(MCF-7)에서의 항암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carcinogenic Responses of MCF-7 Breast Cancer Cells to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 문희정;이순재;박수정;장유진;이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8-427
    • /
    • 2003
  • 본 연구는 식이성 CLA 투여에 따른 MCF-7 세포에서의 항암 효과를 기전적으로 규명하여 점차 증가하는 유방암 환자의 식이 지방질의 식생활 지침서 설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지방산 종류에 따른 증식율을 살펴보면, 48시간 배양시 LA투여군에 비하여 CLA 투여군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증식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LA군과 CLA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처치 농도별로 살펴보면 LA에 비하여 72시간 배양에서 CLA농도가 15$\mu$M에서 60$\mu$M로 증가할수록 LA투여군에 비하여 증식이 감소하였고 120$\mu$M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LA투여군은 배양시간이 길수록 농도에 따라 LA투여군보다 증식이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내 지방산 유입률은 대조군보다 LA와 CLA 투여군의 세포내 유입률이 각각 22~54%, 17~41%정도로 더 많이 유입되어 세포내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LA의 경우 고농도에서 세포내로의 유입이 잘 되지 않은 것은 세포내 항상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조군보다 LA과 CLA 지방산을 48시간 배양시 지질 과산화물 생성이 50~130%증가하였고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MDA의 생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그러나, 72시간 배양시 CLA 30 $\mu$M에서는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120 $\mu$M에서는 LA의 과산화물 생성이 CLA군보다 1.7배가량 증가하였다. 72시간 120$\mu$M CLA처치시 항산화 효소인 GPx, GR의 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배양시 간이 길어질수록 CLA에 대한 항산화효소 활성이 더 커지며 이는 LA군과도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CLA의 장기간 처치 경우에도 과산화물 생성이 LA군보다 적게 생성된 것은 항산화효소 활성의 역할이 있을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겠다. 또한, 유선암 세포에 CLA를 투여 할 경우 LA투여군에 비하여 PGE$_2$와 TXA$_2$ 생성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AA생성의 감소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CF-7 유선암세포에 LA군에 비하여 CLA투여에 따른 세포증식의 차이는 없었으나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CLA농도에 따른 세포증식률이 LA군보다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항산화효소의 증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삼소와 PGE$_2$및 TXA$_2$등의 유의적인 감소가 유선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지방산 투여 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과 항산화 시스템이 유선암 세포에서는 상호기전적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이는 농도와 배양시간에 따른 CLA의 항암효과가 in vivo 실험에서 재검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장시간의 세포배양 실험시 PGE$_2$는 반감기가 짧고 다른 대사물로 쉽게 전환되는 불안전한 물질이므로 새로운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더욱이 CLA에 의한 항암효과가 정확히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얻은 에이코사노이드 대사의 변화 등은 유선암 예방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f Mechanism Involved in Cadmium-induced Platelet Aggregation

  • 송철수;홍기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46
    • /
    • 1984
  • 카드뮴중독으로 혈소판응집이 항진되어 고혈압 또는 동맥경화증이 발생한다는 연구보고를 감안하여 가토와 흰쥐의 생체내 실험으로서 미세혈전의 형성, Malondialdehyde(MDA) 및 thromboxane $B_2(TXB_2)$치에 미치는 카드뮴의 효과를 검토하고, in vitro실험으로 카드뮴을 처치한 가토 대동맥절편이 혈소판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prostacyclin의 합성능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Cadmium chloride 2mg/kg을 매주 동물의 복강내에 주입하였을 때 미세혈전형성이 증가되었다. 2) 카드뮴 중독동물의 platelet-rich plasma (PRP)는 MDA와 $TXB_2$형성이 정상동물에서 보다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카드뮴을 중독시킨 가토의 platelet-poor plasma (PPP)에서의 lipid peroxide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4) In vitro 실험으로, 가토대동맥 절편에서의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카드뮴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고 이때 혈소판 응집률의 증가와 평행하였다. 5) 이상의 결과로서 카드뮴은 동맥내피세포에서 prostacyclin 합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혈소판에서 $TXA_2$합성을 촉진시켜 그 결과로 혈소판 응집률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취된 당뇨 흰쥐의 신혈류량 감소에 관여하는 기전 : 내인성 쓰롬복산계의 무관성 (Blockade of Thromboxane Influences Does Not Affect Renal Blood Flow Deficit in Anesthetized Diabetic Rats)

  • 하헌주;얼웨인던함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1-232
    • /
    • 1988
  • 본 연구는 스트렙토조토신 투여에의해 유도된 인슐린 의존적 당뇨 흰쥐에서 관찰되는 신혈류량의 감소가 내인성 혈관 수축계의 하나인 쓰롬복산의 영향이 증가된 때문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펜토바비탈을 이용하여 마취를 유도한 후 주어진 시간동안 아무런 약리학적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신동맥의 헐류량 (ml $min^{-1}$ $gKw^{-1})$, 혈압 (mm Hg) 및 그때의 신동맥 저항 (혈압/신동맥의 혈류량)을 관찰하였다. 그 각각에 대응하는 값은 당뇨쥐에서는 $5.9{\pm}0.3$(P<0.01, 대조군과 비교), $115{\pm}3$$20.3{\pm}1.0$(P<0.01, 대조군과 비교)이었고, 연령 대조군에서는 각각 $8.4{\pm}0.4$, $123{\pm}3$$15.1{\pm}0.8$이었다.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한 고혈당 유도를 방지한다고 알려진 3-O-메칠 글루코즈로 진처리한 후에 스트렙토조토신을 투여한 흰쥐에서 관찰되는 혈압 및 신동맥의 혈류량은 연령 대조군의 값과 동일하였다. 신동맥이 확장될 수 있음이 확인된 상태에서, 쓰롬복산의 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용량의 OKY-1581(1 mg/kg, i.v.에 뒤이은 0.4mg/kg min 지속적 투여)는 대조군 (n=4)뿐 아니라 실험군(n=4) 흰쥐의 혈압, 신혈류량 및 신동맥의 저항을 변화시키지 많았다. 마찬가지로 쓰롬복산/프로스타글란딘 엔도펄옥사이드 효현제인 U46619에 의한 신동맥 수축을 저해할 수 있는 용량의 쓰롬복산 수용체에대한 길항제인 SQ29548(100 ng/m1 신혈류량)을 신동맥으로 투여했을 때에도, 관찰되는 신혈류역학에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n=8 각 군). OKY-1581 투여후에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인 인도메타신(2 mg/kg)을투여했을 때에도 관찰되는 신동맥의 저항은 대조군에서 뿐만 아니라 실험군인 당뇨쥐에서도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스트렙토조토신 투여후 관찰되는 신동맥의 저항 증가는 약물의 신장에대한 직접적인 독성이 아닌, 유도된 당뇨에 기인함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신동맥 저항 증가는 고조된 내인성 혈관 수축계의 하나인 쓰롬복산의 영향이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오메가 3계 지방산 강화 식품류의 연구개발 동향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n Omega-3 Fatty Acid Fortified Foodstuffs)

  • 이희애;유익종;이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1-174
    • /
    • 1997
  • 오메가 3계 지방산의 섭취가 동맥경화, 고혈압 및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을 비롯하여 당뇨병, 류마티즘 등의 성인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슴이 여러 가지 역학조사 결과 밝혀지면서 의 학계를 위시한 여러 생명과학 분야에서 관심을 모으는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omega$3계 지방산은 인체내에서 생성이 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 지방산으로서 이러한 필수성은 식이로부터 섭취 부족시 생겨나는 결핍증의 치료효과에 기인 한다기 보다는 합성과정에 필요한 적당한 desaturase가 존재하지 않거나 효소활성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필수성이 강조되는 물질로서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더 많이 요구된다. 또한 $\omega$3계 지방산이 필수지방산 이므로 심혈관질환의 치료 및 예방과 관련, 어느 정도 섭취 해야 하며 부족시 인체에 나쁜 영향을 막기에 충분한 양은 얼마인지에 대한 구체적 자료가 제시되어 있지는 않은 실정이라 이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어야겠다. $\omega$3계 지방산이 심혈관질환 등에 유익한 효과를 보여주는 기전은 혈액지방 분획에 바람직한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으로 혈액 중성지 방, 초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초저밀도지단백-중성지방 등의 감소나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의 상승을 초래하므로써 얻어 지는 효과로 보이며 이에 대한 결과가 항상 일관되게 만 보고되고 있지는 않다. 또한 $\omega$3계 지방산은 AA로부터 대사되는 혈소판 응집반응 촉진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며 항혈전생성물질의 합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omega$6/$\omega$3계 지방산의 적정한 섭취비율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omega$3계 지방산의 식이급원으로는 LNA가 풍부한 식물성유나 장쇄 불포화지방산인 EPA, DHA 등의 급원으로 생선 및 어유가 있다. LNA는 EPA와 DHA로의 전환이 일어나나 사람에서는 전환율이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르며 제한적이다. 생선의 경우 비록 EPA, DHA가 타식품에 비해 풍부한 편이나 생선종류나 동일한 생선내에서도 부위별로 그 함량이 다르므로 $\omega$3계 지방산 급원으로 섭취 할 때에는 이점을 잘 고려해야 하겠다. $\omega$3계 지방산 강화식품의 연구 개발 동향은 $\omega$3계 지방산의 인체에 대한 유익한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에 힘입어 이루어진 것으로 여러 가지 식품에 정제 혹은 농축된 $\omega$3계 지방산을 첨가하는 경우와 사료에 $\omega$3계 지방산 급원을 첨가, 동물에게 이행시켜 $\omega$3계 지방산 강화식품을 제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전자는 통조림, 과자, 건강보조식품류에 다용되며 후자는 다양한 기능성 축산식품에 활용되고 있다. $\omega$3계 지방산 강화 축산식품에는 돼지고기, 우유, 치이즈, 계란, 분유, 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식품 개발에 더욱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법을 이용해 생산, 시판된 제품의 현황조사에 따르면 식품별로 함량표시가 없는 제품이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에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관리면에서도 이러한 미비점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비자 입장에서도 $\omega$3계 지방산이 강화된 식품의 개발로 다양하면서도 차별화된 식품을 선택, 소비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강화식품이 아닌 $\omega$3계 지방산이 풍부한 천연식품을 일상의 식탁에서 섭취하는 대신 가공된 제품을 무차별적으로 소비하거나 첨가된 $\omega$3계 지방산 함량이 일반식품에 비해 그다지 높지 않은 경우 이들 식품의 소비가 더 이상 장점이 되지 못하므로 이들 식품 소비에만 의존하는 식생활은 지양되어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