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F_6$ by-produc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Anatomical Proportions and Chemical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Common Shrimp Species in Central Vietnam

  • Ngoan, L.D.;Lindberg, J.E.;Ogle, B.;Thomke,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0호
    • /
    • pp.1422-1428
    • /
    • 2000
  •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hrimp flesh (SF) and shrimp by-product (SB) of the most abundant shrimp species (Metapenaeus affinis, Penaeus semisulcatus and Penaeus monodon) caught in Central Vietnam, with the emphasis on yield, gross and amino acid (AA) composition and effect of heat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edible SF and SB (head and shells with tail) yields of the three shrimp species averaged 56.7 and 43.3%, respectively, of the total wet body weight, with the M. affinis generating the highest by-product yield (45.7%) and P. semisulcatus (40.6%) the low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ash content were found between SF and SB. The DM content of SF (21.5%) was lower than of SB (24.9%) and the ash content (on a DM basis) of the SB in all shrimp species was more than three times that of the SF (p<0.05), whereas the CP content was almost twice as high in the SF as compared with the SB (p<0.05). The SB of the three species contained (on a DM basis) between 44.0 and 49.8% CP (p<0.05) and between 13.5 and 18.1% chitin (p<0.05). The Ca content of SB differed also between species (p<0.05). On average, the sum of AA in SB corresponded to 89.3% of the CP and essential AA accounted for about 50% of the total AA. The most abundant AA were arginine, aspartic and glutamic acids, which accounted for 33% of the total AA. Minor, b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AA concentrations of SB between species were observed (p<0.05). With the exception of the DM and ether extract content, all other chemical constituents of entire shrimp, SF and SB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heat treatment (p>0.05).

고분자 분리막을 이용한 혼합가스($SF_6/N_2/O_2/CF_4$)로부터 $SF_6$의 회수 (Recovery of $SF_6$ gas from Gaseous Mixture ($SF_6/N_2/O_2/CF_4$) through Polymeric Membranes)

  • 이현정;이민우;이현경;최호상;이상협
    • 멤브레인
    • /
    • 제21권1호
    • /
    • pp.22-29
    • /
    • 2011
  • 중전기의 유지 보수 및 교체 과정에서 절연체로 사용된 $SF_6$ 가스는 교체 충전과 정제과정에서 유입되는 공기와의 아크 방전에 의해 많은 종류의 부산물($N_2$, $O_2$, $CF_4$, $SO_2$, $H_2O$, HF, $SOF_2$, $CuF_2$, $WO_3$ 등)이 발생된다. 부산물 중에서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N_2$, $O_2$, $CF_4$이며, $SF_6$가스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효과적으로 분리 회수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주요 부산물인 $N_2$, $O_2$, $CF_4$와의 분리 효율 측면에서 분리막법은 기존의 흡착, 심냉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전기 산업에서 발생되는 $SF_6$ 가스 함유 농도 90 vol% 이상의 가스에 대하여 분리막법을 적용하여 $N_2$, $O_2$, $CF_4$$SF_6$ 가스의 온도와 배출유량의 변화에 따른 분리 회수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PSF와 PC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하여 고농도 $SF_6$에 대한 분리 회수 실험 결과, PSF 분리막의 최대 회수율은 압력 0.3 MPa, 온도 $25^{\circ}C$, 배출유량 150 cc/min에서 92.7%를 나타내었으며, PC 분리막에서는 압력 0.3 MPa, 온도 $45^{\circ}C$, 배출유량 150 cc/min 일 때 74.8%의 최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된 두 가지 분리막과 운전 조건에서 주요 부산물인 $N_2$, $O_2$, $CF_4$의 최대 제거율은 각각 약 80%, 74%, 그리고 58.9%가 관찰되었다. 이로부터 분리막 공정은 고농도 폐 $SF_6$ 가스에서 주요 부산물로부터 $SF_6$의 효과적인 분리 및 회수가 가능한 공정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Effects of Dietary Fermented Seaweed and Seaweed Fusiforme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Parameters and Immunoglobulin Concentration in Broiler Chicks

  • Choi, Y.J.;Lee, S.R.;Oh, J.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6호
    • /
    • pp.862-870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by-product and seaweed fusiforme (Hizikia fusiformis) by-product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including serum immunoglobulin (Ig) in broilers. Fermentation of seaweeds was conducted by Bacillus subtilis and Aspergillus oryzae. In a 5-wk feeding trial, 750 one-d-old broiler chick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diet or experimental diets including control+0.5% brown seaweed (BS) by-product, control+0.5% seaweed fusiforme (SF) by-product, control+0.5% fermented brown seaweed (FBS) by-product, and control+0.5% fermented seaweed fusiforme (FSF) by-product. As a consequence, body weight gain (BWG) and gain:feed of seaweed by-product groups were clearly higher, whe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diet group from d 18 to 35 and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p<0.05). In mortality rate, seaweed by-produc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compared to control diet group during entire experimental period (p<0.05). However, Feed Intake of experimental diets group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Whereas, Feed Intake of fermented seaweed by-product groups was lower than that of non-fermented seaweed groups (p<0.05). Total organ weights, lipids, and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GOT) of all treatment group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However,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GPT) of all treatment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t d 17 (p<0.05). In case of serum Igs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IgA antibody in BS, SF, FSF treat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at d 35 (p<0.01). IgA concentration in FBS supplementation groups was negligibly decreas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gM concentration in the serums of all treat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p<0.05) and in fermented seaweed by-product groups were much higher than in non-fermented seaweed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IgG concentrations in all treatment groups were lower than in control group (p<0.05).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by-product dietary supplementation of BS, SF, FBS, and FSF in poultry may provide positive effects of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아크 플라즈마를 이용한 과불화합물 처리공정에서 반응가스에 의한 효과 (Effect of Reaction Gases on PFCs Treatment Using Arc Plasma Process)

  • 박현우;최수석;박동화
    • 청정기술
    • /
    • 제19권2호
    • /
    • pp.113-120
    • /
    • 2013
  • 화학적으로 안정한 과불화합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저전력 아크 플라즈마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분해대상은 $CF_4$, $SF_6$, $NF_3$가 플라즈마 토치로 직접 주입되었으며, 아크 플라즈마 토치의 열효율을 측정하여 실출력을 계산하였다. 실출력과 폐기체 유량 변화 그리고 추가적인 반응가스에 의한 분해효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역학적 평형조성 분석을 수행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토치의 열효율은 60~66%의 결과를 보였으며 폐가스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효율이 감소하였고 입력전력이 늘어남에 따라 분해효율이 상승되었다. 추가적인 반응 가스가 없이 $CF_4$, $SF_6$, $NF_3$의 분해효율은 입력전력이 3 kW, 폐가스 유량이 70 L/min인 조건에서 각각 4, 15, 90%를 보였다. 반응가스로 산소와 수소를 이용하여 분해효율을 급격하게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실험 결과 산소보다 수소를 사용하였을 경우가 분해효율 상승효과와 부산물 제어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소의 경우, 발생되는 부산물은 불화수소산이었으며 이는 일반적인 습식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처리가 용이한 물질이다. 수소를 이용한 화학반응에서 입력전력이 3 kW, 폐가스유량이 100 L/min인 조건에서 $CF_4$가 25%, $SF_6$가 39%, $NF_3$가 99%의 분해효율을 각각 나타냈다.

탄소나노튜브 가스센서의 SF6 분해생성물 검출 및 확산현상에 관한 연구 (Detection with a SWNT Gas Sensor and Diffusion of SF6 Decomposition Products by Corona Discharges)

  • 이종철;정세훈;백승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6-72
    • /
    • 2009
  • 가스절연개폐장치 (Gas-insulated switchgear, GIS)의 내부에는 절연에 관한 이상 여부를 감시하고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부분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SF_6$ 분해생성물에 관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NT)가 지닌 우수한 검출기능 때문에 SWNT를 이용한 가스센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부분방전에 의해 발생된 분해생성물의 확산현상에 관한 해석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 데이터 및 상용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WNT 가스센서에 포획되는 분해생성물의 코로나 방전에 의한 발생 과정과 챔버 내부에서의 확산과정을 모델링하여 부분방전 발생 시 챔버 내부의 온도, 압력, 그리고 분해생성물의 농도 등을 수치계산하였다. 분해생성물의 시간당 질량생성율과 발생온도는 각각 $5.04{\times}10^{-10}$ [g/s]와 773 K이라 가정하였다. 농도방정식을 계산함에 있어 미지의 확산계수를 임의의 값으로 가정하여 직접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확산계수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Schmidt수의 값을 지정하여 확산계수가 $SF_6$ 가스의 물성치인 점성계수와 밀도의 함수로 계산되도록 하였다. 수치결과로부터 분해생성물의 농도구배가 확산을 일으키는데 주요 구동포텐셜 (Drive potential)이 됨을 확인하였다. 센서 설치위치가 부분방전 발생영역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분해생성물 농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고, 부분방전이 지속될수록 분해생성물의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센서를 챔버 내부에 설치하면 각 센서의 응답시간을 확인하여 PD 발생위치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GIS 진단 및 유지보수에 관한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Nanophase Iron Clusters Produced by CO₂Laser Multiphoton-Decomposition of $Fe(CO)_5$ : Their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 Lee, G. H.;Huh, S. H.;Jung, H. 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8호
    • /
    • pp.686-688
    • /
    • 1996
  • We have produced nanophase iron clusters inside a gas cell by decomposing iron pentacarbonyls from the mixture of ~20 Torr Fe(CO)5/~3 Torr SF6 with a pulsed CO2 laser. The product displayed a black tint. Its composition was identified to be mostly iron from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atomic emission spectrum. The X-ray diffraction (XRD) pattern indicates a body-centered cubic structure for the cluste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proves that their diameter ranges between 50 and 70 Å and their average diameter is 60 Å.

Lignocellulolytic Enzymes Production by Four Wild Filamentous Fungi for Olive Stones Valorization: Comparing Three Fermentation Regimens

  • Soukaina Arif;Hasna Nait M'Barek;Boris Bekaert;Mohamed Ben Aziz;Mohammed Diouri;Geert Haesaert;Hassan Hajjaj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1017-1028
    • /
    • 2024
  • Lignocellulolytic enzymes play a crucial role in efficiently converting lignocellulose into valuable platform molecules in various industries. However, they are limited by their production yields, costs, and stability. Consequently, their production by producers adapted to local environments and the choice of low-cost raw materials can address these limitations. Due to the large amounts of olive stones (OS) generated in Morocco which are still undervalued, Penicillium crustosum, Fusarium nygamai, Trichoderma capillare, and Aspergillus calidoustus, are cultivated under different fermentation techniques using this by-product as a local lignocellulosic substrate. Based on a multilevel factorial design, their potential to produce lignocellulolytic enzymes during 15 days of dark incubation was evalu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 crustosum expressed a maximum total cellulase activity of 10.9 IU/ml under sequential fermentation (SF) and 3.6 IU/ml of β-glucosidase activity under submerged fermentation (SmF). F. nygamai recorded the best laccase activity of 9 IU/ml under solid-state fermentation (SSF). Unlike T. capillare, SF was the inducive culture for the former activity with 7.6 IU/ml. A. calidoustus produced, respectively, 1,009 ㎍/ml of proteins and 11.5 IU/ml of endoglucanase activity as the best results achieved. Optimum cellulase production took place after the 5th day under SF, while ligninases occurred between the 9th and the 11th days under SSF. This study reports for the first time the lignocellulolytic activities of F. nygamai and A. calidoustus. Furthermore, it underlines the potential of the four fungi as biomass decomposers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pplications, emphasizing the efficiency of OS as an inducing substrate for enzyme production.

정상노인의 삼킴관련 삶의 질(SWAL-QOL)이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WAL-QOL on Overall Quality of Life in Normal Elderly People: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 김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8-297
    • /
    • 2014
  • 본 연구는 정상 노인들의 삼킴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 삼킴관련 삶의 질이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전라북도 지역의 만 60세 이상 노인 140명을 대상으로 SWAL-QOL, SF-36, GQOL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F=7.76, p<.01)과 사레 유무(t=-4.44, p<.01)는 집단간 삼킴관련 삶의 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사레유무만이 삼킴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SWAL-QOL은 SF-36(r=.39, p<.01)과 GQOL(r=.33, p<.01)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WAL-QOL은 SF-36(F=70.62, p<0.000)와 GQOL(F=46.44, p<0.000)에 각각 36%와 25% 정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삼킴관련 삶의 질과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rabinoxylo- and Arabino-Oligosaccharides-Specific α-ʟ-Arabinofuranosidase GH51 Isozymes from the Amylolytic Yeast Saccharomycopsis fibuligera

  • Park, Tae Hyeon;Choi, Chang-Yun;Kim, Hyeon Jin;Song, Jeong-Rok;Park, Damee;Kang, Hyun Ah;Kim, Tae-Ji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272-279
    • /
    • 2021
  • Two genes encoding probable α-ʟ-arabinofuranosidase (E.C. 3.2.1.55) isozymes (ABFs) with 92.3%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ABF51A and ABF51B, were found from chromosomes 3 and 5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KJJ81, an amylolytic yeast isolated from Korean wheat-based nuruk, respectively. Each open reading frame consists of 1,551 nucleotides and encodes a protein of 517 amino acids with the molecular mass of approximately 59 kDa. These isozymes share approximately 49%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with eukaryotic ABFs from filamentous fungi. The corresponding genes were cloned, functionally expressed, and purified from Escherichia coli. SfABF51A and SfABF51B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on p-nitrophenyl arabinofuranoside at 40~45℃ and pH 7.0 in sodium phosphate buffer and at 50℃ and pH 6.0 in sodium acetate buffer, respectively. These exoacting enzymes belonging to the glycoside hydrolase (GH) family 51 could hydrolyze arabinoxylo-oligosaccharides (AXOS) and arabino-oligosaccharides (AOS) to produce only ʟ-arabinose, whereas they could hardly degrade any polymeric substrates including arabinans and arabinoxylans. The detailed product analyses revealed that both SfABF51 isozymes can catalyze the versatile hydrolysis of α-(1,2)- and α-(1,3)-ʟ-arabinofuranosidic linkages of AXOS, and α-(1,2)-, α-(1,3)-, and α-(1,5)-linkages of linear and branched AOS. On the contrary, they have much lower activity against the α-(1,2)- and α-(1,3)-double-substituted substrates than the single-substituted ones. These hydrolases could potentiall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egradation and utilization of hemicellulosic biomass by S. fibuligera.

우리밀을 이용한 한국형 사워빵 제조에 관한 연구

  • 채동진;이광석;안해령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5
    • /
    • 2005
  •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우리밀을 이용하여 한국형 사워종을 제조하며, 동시에 각각의 글루텐 함량, pH, TTA, 발효율과 mixograph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그 중 가장 우수한 sourdough starter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 starter를 이용한 sourdough bread를 제조하였을 때 나타나는 제품의 특성을 CrumbScan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여 우리밀을 이용한 한국형 사워빵의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글루텐 함량분석 결과 강력밀가루와 우리밀 중에서는 KWF 5와 KWF 6이 제빵에 적합한 글루텐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sourdough starter의 pH 범위는 $4.0{\sim}4.5$ 사이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였고, TTA값은 대조구와 비교해 봤을 때, 비슷하거나 높게 나타났다. 발효율은 24시간 후 가장 많이 팽창한 것은 KWF 5와 KWF 6이었고 48시간 후에는 반죽의 산성화로 인하여 오히려 감소하는 것이라 사료되었다. mixogram의 분석결과는 강력밀가루가 제빵적성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우리밀의 경우는 반죽내구성이 낮고 단백질함량이 적어 빵을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CrumbScan을 통한 영상분석의 결과 강력밀가루와 우리밀 7가지 중에서 기공의 조밀도가 크고 찌그러짐이 적은 KWF 5와 KWF 6이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