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hia$ $stipiti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3초

볏짚의 Nafion 가수분해물에 대한 Pichia stipitis CBS 5776의 에탄올 발효 (Ethanol Fermentation of Nafion-Catalyzed Hydrolyzates of Rice Straw by Pichia stipitis CBS 5776)

  • 정인식;전재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15-319
    • /
    • 1994
  • Pichia stipitis CBS 5776을 이용하여 볏짚 가수분해물의 fermentability를 조사하고 가수분해시 고체 강력산인 Nafion과 재래식 황산에 의한 가수분해물을 비교 검토하였다. 볏짚의 Nafion 가수분해물은 산 가수분해물보다 세포 증식 및 발효에 대한 저해 수준이 낮았으며 3.2 g/l 이상의 Pichia stipitis inoculum을 사용하면 Nafion 가수분해물의 발효에서 에탄올 생산이 가능하였다.

  • PDF

Pichia stipitis에 의한 Glucose, Xylose 및 Cellobiose의 발효 (Fermentation of Glucose, Xylose and Cellobiose by Pichia stipitis)

  • 이유석;권윤중;변유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95
    • /
    • 1992
  • Xylose와 cellobiose를 모두 발효할 수 있는 효모를 선발한 결과 Pichia stipitis CBS 5775와 5776이 가장 우수하였다. P.stipitis CBS 5776은 glucose, xylose 및 cellobiose에서 각각 0.4, 0.36 및 0.23g/g substrate의 에탄올 수율을 나타내었다. 혼합당에서의 발효 결과 glucose는 xylose와 cellobiose 이용에 대하여 catabolite regulation을 일으켜서 glucose가 다 소비된 후에 다른 기질이 소비되었다. 그러나 xylose와 cellobiose는 동시에 소비되었다. 혼합기질에서의 에탄올 수율은 단일기질에서의 각각의 수율의 합과 거의 유사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lcohol Fermentation and Segregation of Protoplast Fusa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Pichia stipitis

  • YOON, GEE-SUN;TAE-SIK LEE;CHUL KIM;JIN-HO SEO;YEON-WOO R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86-291
    • /
    • 1996
  •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gregation and alcohol fermentation of intergeneric fusants. The protoplast fusion of both Pichia stipitis CBS 5776 and Saccharomycess cerevisiae STV 89 was carried out. The fusion frequency was $5\times10^{-8}$ and among fusants selected, a fusant F5 showed the best results in ethanol production by sucrose and xylose fermentations. The performance of xylose fermentation by this fusant was better than that of P. stipitis CBS 5776 and fusant F5 exhibited sucrose fermentation patterns intermediate to the two parent strains. The fusant F5 was segregated into a pair of parental strains during the several culture passages. In the average, 91$%$ of colonies had a similar characteristics of P. stipitis while 7$%$ of colonies resembled S. cerevisiae. Only 2$%$ of colonies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fusants. At the sixth passage, all segregants resembled P. stipiti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led to an integration of S. cerevisiae genes, rather than whole chromosomes, within the entire genome of P. stipitis.

  • PDF

Pichia stipitis에 의한 Xylose 발효의 최적조건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Xylose Fermentation by Pichia stipitis)

  • 권순효;유연우서진호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52-456
    • /
    • 1993
  • Pichia stipitis CBS 5776에 의한 xylose의 최적 알코올 발효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적 세포성장 및 최대 ethanol 생성은 초가 pH가 5.0인 100 g/l 의 xylose배지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0.05VVM으로 통기하고 300rpm으로 교반하는 발효 조건에셔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최적 발효조건 서의 최대 비성장속도와 최대 세포농도는 각각 $0.14hr^{-1}$$1.3\times109$ cells/ml이였다. 또한 최대 etha­n nol 농도는 72시간 발효시에 100 g/l 의 xylose 중 에셔 96%을 이용하여 40.2 g/l 을 얻었으며, 이때 의 단위부피당 ethanol 생산성은 0.56 g/l-hr이고 ethanol 수율은 0.42g-ethanol/g-xylose로서 이론수율의 82%였다.

  • PDF

적응진화를 활용한 cellobiose와 xylose 동시발효 Pichia stipitis의 개발 (Development of Pichia stipitis Co-fermenting Cellobiose and Xylose Through Adaptive Evolution)

  • 김대환;이원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65-573
    • /
    • 2019
  •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연료 등과 같은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하는 혼합당을 효과적으로 대사할 수 있는 균주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xylose를 대사가 가능한 효모인 P. stipitis를 적응진화하여 cellobiose 대사효율이 향상되고 cellobiose와 xylose를 동시에 대사할 수 있는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총 10회의 계대배양을 통해 얻어진 진화된 P. stipitis 돌연변이 균주는 모균주에 비해 6배 이상 증가된 cellobiose 대사속도를 나타내었으며 ethanol 생산수율을 0에서 0.4 (g ethanol/g cellobiose)로 향상시켰다. 아울러 본 실험에서 개발한 돌연변이 균주는 cellobiose와 xylose 혼합당 조건에서 모균주에 비해 2배 가까이 향상된 ethanol 생산 및 생산속도를 나타내었다.

Hollow Fiber 막에 의한 Pichia stipitis의 Cross Flow여과 (Cross Flow Filtration of Pichia stipitis by a Hollow Fiber Membrane)

  • 김홍;정인식
    • KSBB Journal
    • /
    • 제4권1호
    • /
    • pp.57-61
    • /
    • 1989
  • 발효액에서 hollow fiber membrane에 의한 Pichia sti-pitis의 분리 공정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Permeateflux는 cell의 농도, pH, antifoam agent의 농도, 여과 압력, 그리고 recircultion rate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온도는 flux의 감소와 별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microcomputer에 조절되어 membrane을 backflush하는 것이 memnrane의 fouling 문제를 경감 시켜서 발효액에서 P. stipitis를 분리하는 공저의 연장된 조업을 가능케 함을 확인 하였다.

  • PDF

모자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from Hydrolysate of Seaweed Sargassum sagamianum)

  • 연지현;서현범;오성호;최원석;강도형;이현용;정경환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83-288
    • /
    • 2010
  •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bioethanol production from hydrolysate of brown seaweed Sargassum sagamianum. Prior to bioethanol production using yeasts, six yeast strains were compared and the best ones in terms of the ethanol production levels were selected. Pichia stipitis ATCC 7126, Pichia stipitis ATCC 58784, and Pichia stipitis ATCC 58376 were superior to others in terms of ethanol production. These yeast strains were used for producing bioethanol by the shaking bottle culture and the fermentor culture. Out of approximately 30 g/L reducing sugar, about 3~6 g/L and 4~7 g/L bioethanol were produced in the bottle culture and the fermentor one, respectively.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around 12~28 g-bioethanol was produced from 1 kilogram of Sargassum sagamianum. Compared with those previously published, these data were almost three to eight times higher in value.

고정화 Pichia stipitis 를 이용한 글루코오스/자일로오스 혼합당으로부터 에탄올 생산 (Ethanol Production with Glucose/Xylose Mixture by Immobilized Pichia stipitis)

  • 신현석;강성우;이상준;장은지;서영웅;김승욱
    • KSBB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51-356
    • /
    • 2010
  • 리르노셀룰로오스로부터 생산된 글루코오스와 자일로 오스의 혼합당을 동시에 발효하여 에탄올 생산을 증가시키며, 또한 에탄올 생산에서의 세포고정화의 영향과 ICR (immobilized cell reactor)을 이용한 혼합당에서의 에탄올 연속생산을 수행하였다. 고정화 P. stipitis를 이용한 플라스크에서 에탄올을 생산에 대한 혼합당과 질소원의 영향으로부터 5% 혼합당 (글루코오스/자일로오스 = 3:1)과 1% 질소원이 최적으로 타나났으며, 이때 생산된 에탄올 농도는 약 19-20 g/L이었다. 고정화된 P. stipitis을 이용하여 반복적 유가식배양 (repeated fed-batch)으로 에탄올을 생산하였을 때는 모든 당 농도에서 글루코오스는 빠르게 소비되었지만, 혼합당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자일로오스의 소비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즉 혼합당 농도가 증가하면서 더불어 당 소비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ICR에서 1% 혼합당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에탄올을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에탄올 농도는 5.6 g/L이었고 에탄올 생산 속도는 0.13 g/$L{\cdot}h$이었다.

Effect of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on the Bioconversion of Rice Bran into Ethanol

  • Eyini, M.;Rajapandy, V.;Parani, K.;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2권4호
    • /
    • pp.170-172
    • /
    • 2004
  • The efficiency of acid, enzyme and microbial pretreatment of rice bran was compared based on the content of cellulose, hemicellulose, reducing sugars and xylose in the substrate. An isolate of Aspergillus niger or a strain of Trichoderma viride(MTCC 800) was employed for microbial pretreatment of rice bran in solid state. Acid pretreatment resulted in the highest amount of reducing sugars followed by enzyme and microbial pretreatment. A. niger showed a higher rate of hydrolysis than T. viride. The rice bran hydrolysate obtained from the different methods was subsequently fermented to ethanol either by Zymomonas mobilis(NCIM 806) or by Pichia stipitis(NCIM 3497). P. stipitis fermentation resulted in higher ethanol(37% higher) and biomass production($76{\sim}83%$ higher) than those of Z. mobilis. Maximum ethanol production resulted at 12h in Zymomonas fermentation, while in Pichia fermentation, it was observed at 60h. Microbial pretreatment of rice bran by A. niger followed by fermentation employing P. stipitis was more efficient but slower than the other microbial pretreatment and fermentation.

Saccharomyces cerevisiae와 Pichia stipitis를 이용한 오탄당과 육탄당으로부터 에탄올 생산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Ethanol Production with Pentose and/or Hexos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or Pichia stipitis)

  • 김중곤;안정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5-340
    • /
    • 2011
  • 포도당과 자일로스는 자연계에서 가장 풍부한 물질이며 이들은 효모에 의해 에탄올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와 Pichia stipitis을 이용하여 분리배양, 공동배양 그리고 순차배양 등의 조합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발효의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분리배양에서 S. cerevisiae은 29.4 g/l의 포도당을 발효하여 14.5 g/l의 에탄올을 생산한 반면에 자일로스를 이용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P. stipitis은 포도당뿐만 아니라 자일로스도 분해하여 각각 포도당 29.4 g/l로부터 11.9 g/l의 에탄올을, 자일로스 29.0 g/l로부터 11.6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포도당과 자일로스 혼합배양에서, S. cerevisiae은 13.4 g/l의 에탄올을 생산한 반면에 P. stipitis은 21.1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공동배양과 순차배양에서, 공동배양이 18.6 g/l, 순차배양이 12.4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여 공동배양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효모의 생장에서 영양분의 효과를 보기 위해 yeast nitrogen base (YNB)을 S. cerevisiae가 포도당을 소모한 시점에 첨가하니 자일로스의 소비량과 미생물의 성장이 증가하였고 54.6 g/l의 당 혼합배양액에서 22.5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여 0.41 g/g의 수득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