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_{2Y}$ receptor

검색결과 1,283건 처리시간 0.038초

The Effects of Stress Related Genes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Pigs

  • Jin, H.J.;Park, B.Y.;Park, J.C.;Hwang, I.H.;Lee, S.S.;Yeon, S.H.;Kim, C.D.;Cho, C.Y.;Kim, Y.K.;Min, K.S.;Feng, S.T.;Li, Z.D.;Park, C.K.;Kim, C.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280-285
    • /
    • 2006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related gene and meat quality in pigs. A total number of 212 three-way cross bred (Landrace-$Yorkshire{\times}Duroc$) and 38 Duroc were sampled from the Korean pig industry to determine genotype frequency of porcine stress syndrome (PSS) and heat shock protein 70 kDa (HSP70) gen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arcass traits and longissimus meat quality. Screen of HSP70 was performed by the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technique. Based on the analysis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in ryanodine receptor 1 (RYR1) gene, genetic disorder of PSS was related to a mutation at $18,168^{th}$ (C to T) of exon 1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ltimate meat pH and backfat thickness between HSP70 K1-AA type and -BB type in pure Duroc breed. In Landrace-$Yorkshire{\times}Duroc$ (L-$Y{\times}D$) cross bred pig, our results indicated that HSP70 derivate type in Duroc had a limited effect on backfat thickness, but L-$Y{\times}D$ type had a noticeable linkage with HSP70 K1-AA and K3-AB. This tendency was also observed in hot carcass weight where HSP70 K1-AA and K3-AB resulted in heavier weight with 86.3 kg compared to HSP70 K1-AB and K3-BB of 74.3 kg. Results imply that stress related HSP70 genotype has a potential association with backfat thickness and carcass weight.

OLETF 쥐에서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The Effects of Several Halophytes on Insulin Resistance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 조정용;;박선영;박경희;배동근;김소영;김행란;함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0-10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인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OLETF쥐는 CCK-1 수용체의 결함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을 걸쳐 제 2형 당뇨병이 유발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진행되는 10주령부터 28주령이 될 때까지 칠면초와 세발나물을 18주 동안 섭취시켰다. 염생식물식이군들의 체중이나 공복혈당 변화는 식이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ral glucose tolerance test에서 염생식물 섭취가 당 내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그 혈당 변화를 면적으로 환산하였을 때 각 식이군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insulin 및 HbA1c 수치는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adiponectin 수치는 높고 leptin과 ghrelin 수치는 낮았으나 현저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발나물식이군의 혈중 중성지질과 총 cholesterol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혈중 지질산화물 함량은 각 식이군 간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염생식물식이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NF-${\kappa}B$ p65는 지방조직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량을 보였다. 또한 두 염생식물식이군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의 negative regulator인 $pIRS1^{Ser307}$의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칠면초와 세발나물은 생후 성장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OLETF쥐의 인슐린 저항성을 현저하게 줄여주지는 못하였으나 그 개선 효과는 있는 것으로 시사되며, 두 염생식물의 급여 기간을 늘려 제 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에 대한 섬세한 검토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갈색거저리 유충 에탄올 추출물이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Tenebrio molitor Larvae Ethanol Extract on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 서민철;백민희;이화정;신용표;이준하;김인우;김미애;황재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83-989
    • /
    • 2020
  • 파골세포에 의한 뼈의 재흡수와 조골세포에 의한 뼈 형성의 균형은 뼈 건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들의 불균형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및 골석화증과 같은 다양한 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파골세포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항진된 경우 골 파괴가 증가되어 골다공증이 야기되며 이런 현상은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염증성 질환의 골 소실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골 흡수 억제제는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천연물 소재를 기반으로한 새로운 골 흡수 억제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유충 에탄올 추출물이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작용기작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 에탄올 추출물이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에 RANKL을 단독 처리 및 추출물과 함께 5일간 처리한 후 TRAP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RANKL에 의해 증가한 파골세포 분화는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 2 mg/ml 농도까지 세포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이 TRAP, NFATc1 및 CtsK와 같은 파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한 결과, RANKL 처리에 의해 현저히 증가한 이들 유전자가 갈색거저리 추출물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작용기작을 확인한 결과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중 p38의 신호 전달 억제 기작을 통하여 파골세포 분화가 억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갈색거저리 유충 에탄올 추출물 및 그 생리활성 물질들은 골다공증과 같은 골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잠재적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에 대한 복신의 보호 효과 및 작용기전 연구 (Effect of Poria Cocos on the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 제갈경환;박성준;김창열;이찬;박종현;장정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8-23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mory enhancing effect of Poria cocos Wolf (Hoelen cum radix) against scopolamine-induced amnesia in Sprague-Dawley (SD) rats. To induce amnesia, scopolamine (0.75 mg/kg) was intraperitonically injected into SD rats 30 min before starting behavior tests. We have conducted Morris water-maze and Y-maze tests to monitor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Poria cocos effectively reversed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SD rats which was represented by an improvement of mean escape latency in water-maze test and spontaneous alterations in Y-maze test. To elucidate possible molecule mechanism, we have measured mRNA as well as protein expression of acetylcholine esterase (AchE),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AchR),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using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Poria cocos increased mRNA levels of ChAT and mAchR in rat hippocampus compared with those in the scopolamine-injected amnesic group. In addition, protein expression of ChAT and BDNF was also elevated by Poria cocos intake. Furthermore, as an upstrem regulator, the activation o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 was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thi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he phosphorylation of CREB (p-CREB) was reduced by scopolamine injection, which was restored back to control levels by administration of Poria coc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ria cocos may improve memory and cognitive deficit in amnesia and have therapeutic potentials through up-regulation of ChAT, mAchR, and BDNF, which seemed to be mediated by activation of CREB.

Bovine Mesenchymal Stem Cell의 지방분화를 이용한 지방대사관련 후보 유전자의 발현분석 (Gene Expression of Candidate Genes Involved in Fat Metabolism During In vitro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Bovine Mesenchymal Stem Cell)

  • 김성곤;김남국;윤두학;김태헌;양부근;이현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4호
    • /
    • pp.265-270
    • /
    • 2010
  • 본 실험은 지방대사에 영향을 주는 후보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bovine mesenchymal stem cell을 이용하여 체외에서 지방분화를 유도하였고, 지방분화 경과에 따른 지방관련 후보유전자의 발현양상을 분석 하였다. Oil red-O 염색법을 이용하여 지방 분화양상을 조사한 결과, 지방 분화 단계별(0, 2, 4 및 6일)로 붉게 염색된 지방적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지방대사의 indicator인 PPAR$\gamma$와 FABP4 유전자는 지방분화 0일과 비교하여 6일에는 각각 3.11배와 3.11배가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대사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되는 ICER, NOV, HSPB1 및 SDH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지방분화 동안 ICER 유전자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6일은 0일에 비해 4.12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보인 반면, NOV, HSPB1 및 SDH 유전자의 발현양은 0일 이후 계속적으로 감소하여, 6일에서 각각 2.89배, 3.18배 및 2.36배의 감소를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 등심조직에서 근내지방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던 ICER, NOV, HSPB1 및 SDH 유전자를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세포에서 지방분화를 통해 연관성을 조사했을 때, 지방분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유전자로 추정된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귀 조직에 대한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Holmes)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Grateloupia elliptica Holmes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and Mice Ears)

  • 배난영;김민지;김꽃봉우리;안나경;최연욱;박지혜;박선희;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28-11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GEHEE)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염증매개인자들의 발현량과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귀 부종 및 조직학적 관찰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 물질인 NO 및 사이토카인[interleukin(IL)-6, $IL-1{\beta}$ 및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lpha}$]의 분비량이 GEHEE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 또한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kappa}B$의 활성과 인산화효소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p38, JNK 및 ERK)의 발현량이 억제됨을 확인함에 따라 염증작용 기전에서 이들의 활성 억제가 NO 및 사이토카인 분비량 조절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croton oil로 부종을 유발한 마우스 귀 조직에 GEHEE를 처리하였을 때 항염증제인 prednisolone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경피 및 진피의 두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직 내 침윤되는 mast cell의 수도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참도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을 가진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조현병 환자에서 아미설프라이드의 치료반응과 도파민 D3 수용체 유전자다형성의 연관성 (Association Study between Treatment Response of Amisulpride and Dopamine D3 Receptor Gene Polymorphisms)

  • 강승걸;이헌정;이승재;최태영;우정민;김지현;정성원;구본훈;이광헌;김정란;지익성;이종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3호
    • /
    • pp.91-96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s6280 and rs905568 genetic polymorphism of DRD3 gene and the treatment response of amisulpride. Methods After six weeks treatment of amisulpride, 125 schizophrenia patients were interviewed base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The genotyping for rs6280 and rs905568 was performed using TaqMa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ing assa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genotype and allele of rs6280 between the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ased on the total, positive, and general score of PANSS and CGI-S scor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is SNP and treatment response in the negative score of PANSS (${\chi}^2=5.23$, p = 0.022).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rs905568 and the response in 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total PANSS score and CGI-S score.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positive association study between DRD3 gene and the treatment response of negative symptoms to amisulpride in Korean schizophrenia patients. A larger scale research on more SNP of the DRD3 gene will make a progress in the study of pharmacogenetics on the treatment response of the amisulpride.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알러지 관련 SNP 탐색고 분석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Allergy-related SNPs for Allergy Affected Students in a high school.)

  • 김경원;이호경;김현근;김수영;안정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47-854
    • /
    • 2004
  • 알러지는 복합적인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이다. 선진국에서 알러지 질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알러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유전적인 원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알러지에는 천식, 아토피, 비염을 포함한 알러지에 관련된 유전자와 염색체 부위가 밝혀지고 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평가 및 확인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상황이다. 본 연구팀은 알러지를 일으키는 유전적인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과학영재학교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 중 약 30%가 천식, 아토피, 비염과 같은 알러지 질환을 앓고 있었다. 본 연구팀은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알러지에 관련된 유전자를 찾았으며 그중 알러지를 일으키는데 관여하는 IL-4와 IL-4Ra를 후보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지금까지 발표된 보고들은 SNP의 발견과 그리고 하나 혹은 두개의 SNP에 초점을 맞추어 발표한 반면, 본 연구팀은 알러지와 관련하여 발표된 IL-4와 IL-4Ra의 SNP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과학영재학교 학생들 96명을 머리카락 샘플을 확보하고 이 것으로 9개 의 SNP를 선정 하여 염기서열 분석 및 MALDI-TOF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SNP에 대해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 그룹과 정상 그룹간의 약간의 차이들은 있었지만 이것이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정상인과의 구분을 시켜줄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유전자 검사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파프리카 추출물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Hepatoma Cells by Paprika (Capsicum annuum L.))

  • 유미희;이효정;임효권;이승욱;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07-711
    • /
    • 2006
  •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 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Hepa1c1c7 세포주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암예방 효소인 quinone reduct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 QR 유도활성이 가장 높았던 EtOAc 분획물은 $10-5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QR 활성이 약 3.3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프리카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P^rcl$ 세포주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QR 유도활성을 보여 파프리카의 EtOAc 분획물의 항암성분은 monofunctional inducer인 것으로 생각된다.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Eucommiae Cortex and Psoraleae Semen Alone and in Combination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 Park, Jin Soo;Park, Ga Young;Choi, Han Gyul;Kim, Seong Joung;Kim, June Hyun;park, Min Cheol;Kim, Yun Kyung;Han, Sang Yong;Jo, Eun Heui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18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Eucommiae cortex (EC), Psoraleae semen (PS), and their combination on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Methods : We assay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cytoplasmic 1 (NFATc1), c-Fo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beta}-actin$ in cell lysates using western blotting. Similarly, mRNA expression levels of NFATc1, c-Fos,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e (TRAP), and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spermatogeni (GAPDHS) from bone marrow macrophages (BMMs) were analyz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Furthermore, we determined the anti-osteoporot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EC, PS, and their combination in a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bone-loss mouse model. Results : The in vitro data revealed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EC and PS extract showed a more remarkable inhibi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an each herb did alone. The combination downregulated the induction of c-Fos, NFATc1, and TRAP by suppressing the phosphorylation of p38 and c-Jun N-terminal kinases (JNKs) and inhibiting 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kappa}B$). Lastly, the in vivo data showed that PS reduced the LPS-induced bone erosion.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EC and PS could be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bone loss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