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1}$

검색결과 25,214건 처리시간 0.046초

A Study on the Statu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Serum Lipids in Korean Adults

  • Jang, Hyun-Suk;An, Kyung-Choon;Kwon, Chong-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1호
    • /
    • pp.62-69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whether there are sex-related differences in serum levels of lipids, retinol , $\alpha$-tocopherol and ascorbic acid in Korean adults. Serum levels of antioxidant vitamins and lipids were determined algon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 53 healthy male subjects with mean age 42.7$\pm$12.2 years and 44 female subjects with mean age 46.7$\pm$10.3 years. from Taegu in Korea. BMI and W/H ration of the men were 22.66$\pm$2.47, 0.88$\pm$0.04 and those fo thewomen were 23.36$\pm$3.44, 0.84$\pm$0.05 respectively.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were 121.67$\pm$14.8, 79.3$\pm$12.4 in the men and 123.1 $\pm$17.5 , 78.8$\pm$10.9 in the women respectively. Average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and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165.8$\pm$36.4, 102.6$\pm$31.2, 41.1$\pm$10.5 and 110.2$\pm$57.8mg/dl in the and 169.1$\pm$39.1, 113.7$\pm$36.2, 38.1 $\pm$8.6, and 85.2$\pm$37.7mg/dl in the women respectively. Thirteen percent of menans thirtyeight percent of women had LDL-cholesterol over 130mg/dl. Serum levels of retinol, $\alpha$tocopherol, ad ascorbic acid were 43.25 $\pm$15.51, 17.93$\pm$7.07, 115.24$\pm$63.25ug/dl in the men and 31.80$\pm$15.39, 17.41$\pm$6.12, an d144.99$\pm$89.87ug/dl in the women respectively. Serum vitamin 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 PDF

Removal Potential of Particulate Matter of 12 Woody Plant Species for Landscape Planting

  • Kwon, Kei-Jung;Urrintuya, Odsuren;Kim, Sang-Yong;Yang, Jong-Cheol;Sung, Jung-Won;Park, Bong-J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47-65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Particulate matter (PM) is one of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reatens human health. Plants can clean the air by removing PM from the atmosphe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M removal efficiency of 12 species of woody plants. Methods: Actinidia arguta, Dendropanax morbiferus, Fraxinus rhynchophyll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ittosporum tobira, Rhaphiolepis indica, Rhapis, Salix integra, Salix koreensis, Schisandra chinensis,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and Vitis coignetiae were used as plant material. Six 15 cm (D) pots were placed in an acrylic chamber of 800 (D) × 800 (W) × 1000 (H) mm. The LED panel was used as a light source. The reduction of PM10, PM2.5, and PM1 for 30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of PM was automatically measured. Results: The leaf area and the amount of PM in the chambe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12 species of plants were compared by dividing the plants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vines, trees, and shrubs and small trees. In the vine plant group, the averages of PM10, PM2.5, and PM1 were 7.917%, 8.796%, and 30.275%, respectively. In the shrubs and small trees group, the average of PM10, PM2.5, and PM1 were 10.142%, 11.133%, and 36.448%, respectively. In the trees group, the average of PM10, PM2.5, and PM1 were 11.475%, 12.892%, and 40.421%, respectively.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100%, PM10, PM2.5, and PM1 of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with the largest leaf area were 5.6%, 6.3%, and 21.0% after 5 hours, respectively, the best results among 12 species of plants. Conclusion: The vine plant group was more effective in removing PM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tree groups, the fact that the leaf development was relatively inactive at a plant height of 30 cm was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OPU(Ovum Pick-Up) 채란기간이 난자 및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U (Ovum Pick-Up) Duration on the Rate of Collected Ova and In Vitro Produced Blastocyst Formation)

  • 진종인;권태현;최병현;김성수;조현태;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OPU를 통한 체내 유래 난자를 이용한 수정란 생산 시 1개월에서 6개월까지의 연구 기간에 따른 난포 생성수, 난자 회수율, 난자 등급율, 배반포 생성률을 분석하여 공란우의 활용 기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1. 채란 기간에 따른 난포 생성수는 1개월에서 5개월까지의 난포 생성수는 $7.78{\pm}0.57$, $9{\pm}0.68$, $6.96{\pm}0.60$, $7.18{\pm}0.83$, $6.19{\pm}0.82$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6개월째에는$2.83{\pm}0.39$개로 급격하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2. 채란 기간에 따른 난자 회수개수는 1개월에서 3개월까지는 $6.0{\pm}0.5$, $6.2{\pm}0.7$, $5.2{\pm}0.6$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부터 6개월까지 $3.7{\pm}0.5$, $2.8{\pm}0.4$, $1.2{\pm}0.2$개로 유의적으로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난자 회수율 또한 1개월에서 3개월까지는 76.9%, 69.3%, 75.2%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에서 6개월까지는 51.1%, 44.6%, 41.2%로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채란 기간에 따른 난자 등급은 Grade 1, 2등급 출현율이 1개월부터 3개월까지 Grade 1은$1.8{\pm}0.3$, $2.2{\pm}0.3$, $1.9{\pm}0.3$, Grade 2는 $2.1{\pm}0.3$, $2.4{\pm}0.3$, $2.1{\pm}0.3$로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 5개월에는 Grade 1은 $1.73{\pm}0.27$, $1.14{\pm}0.33$, Grade 2는 $1.33{\pm}0.28$, $0.67{\pm}0.16$로 유의적으로 줄어들었으며, 6개월에는 Grade 1은 $0.3{\pm}0.1$, Grade 2는 $0.5{\pm}0.2$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Grade 3과 4의 출현율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4. 채란 기간에 따른 배반포 발달율은 1개월에서 3개월까지의 배반포 발달율은 37.2%, 40.4%, 44.6%로 높은 발달율을 보이며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째에는 24.8%, 5개월째에는 29.3%, 6개월째에는 28.6%로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회 채란 시 수정란의 생산 개수 또한 1개월에서 3개월까지는 $2.2{\pm}0.3$, $2.5{\pm}0.3$, $2.3{\pm}0.4$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4개월째부터 6개월까지는 $0.9{\pm}0.2$, $0.8{\pm}0.2$, $0.3{\pm}0.2$개로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약 3개월까지는 공란우의 활용이 효율적인 점과 4개월부터는 난자 회수와 그에 따른 1회 채란 시 배반포의 생성 수 또한 점차 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란우의 활용을 최대 3개월까지 활용하고, 교체한다면 3~4일 간격으로 1주일에 2회 OPU 방법으로 체내 난자를 채란 후 수정란을 생산하는 시스템은 1두에 3개월간 약 48개의 이식 가능한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고, 산술적으로 년간 1두당 약 200개의 이식 가능한 OPU 유래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공란우를 3개월 활용 후 교체를 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계란의 식품위행학적 조사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anitary Conditions of Eggs)

  • 이용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3
    • /
    • 1974
  •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freshness and bacterial contamiation of poultry farm eggs, the author collected 550 specimens from poultry farm,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2 through October 3, 1973. Eggs of poultry farm were stored at $4{\pm} 1{\circ}$(Relative humidity 67~86%), $18\pm 1\circ$(70~80%) and $25\pm 1\circ$(73~82%) during 20 day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gg weight was decreased $0.97\pm 0.27$ gm at $4\pm 1\circ$, $1.68\pm 0.25$ gm at $18\pm 1\circ$ and $2.76\pm 0.30$ gm at $25\pm 1\circ$ after 20 days. 2) Specific gravity of fresh eggs was found to average 1.0785. 3) Yolk index of fresh eggs was found to average 0.419. 4)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Yolk index and days was obtained y=0.417-0.001x (r=-0.481, p<0.05) at $4\pm 1\circ$, y=0.394-0.004 x (r=-0.738, p<0.01) at $18\pm 1\circ$ and y=0.391-0.011 x (r=-0.958, p<0.001) at $25\pm 1\circ$. 5)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Yolk index and NaCl concentration (specific gravity) was obtained y=-0.001+0.04 x (r=0.796, p<0.001). 6) pH of albumin was changed from 8.0 to 8.8, 9.2 and 9.3 at $4\pm 1\circ$, $18\pm 1\circ$ and $25\pm 1\circ$ after 20 days. 7) Total Viable Bacteria in air cell was increased slowly according to the stored period at each temperature.

  • PDF

중년여성대상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체구성 및 혈액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Obesity Degree and Blood Lipid Levels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 남정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0-78
    • /
    • 2006
  • 본 연구는 $35{\sim}55$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과 식사요법을 중심으로 12주간 체중 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상자들의 비만도 및 혈액 지질 개선 효과, 식습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주간의 체중 조절 프로그램 실시로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비만도 모두 유의성은 없었지만 감소되었다. 체중은 $67.4{\pm}10.8kg$에서 $65.1{\pm}9.2kg$으로, 체지방량은 $27.6{\pm}6.9kg$에서 $26.7{\pm}7.5kg$으로 프로그램 실시전과 비교하여 0.9 kg 정도 감소되었다. 체지방률(%)도 $40.6{\pm}5.2%$에서 $39.6{\pm}5.1%$로 감소되었으며 제지방량(FFM)도 $39.9{\pm}5.6kg$에서 $37.0{\pm}8.5kg$으로 감소를 보였다. 2. 대상자들의 비만도 (Obesity degree, %)와 체질량지수 (BMI)는 프로그램 실시 전 각각 $128.4{\pm}19.1%,\;27.8{\pm}3.9$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123.4{\pm}15.7%,\;26.8{\pm}3.0$로 감소하였다. 복부 비만도(WHR)도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각 $0.98{\pm}0.16$에서 $0.94{\pm}0.04$로 변화되었다. 3.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 전후 혈압, 공복시 포도당,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농도 모두 뚜렷한 변화는 없었지만 수축기 혈압이 $119.19{\pm}17.03mmHg$에서 $114.55{\pm}17.86mmHg$으로 감소되었고, 총 콜레스테롤은 $179.35{\pm}34.46mg/dL$에서 $173.45{\pm}38.88mg/dL$로, 중성지방은 $174.71{\pm}91.33mg/dL$에서 $167.44{\pm}47.31mg/dL$로 유의성은 없었지만 모두 감소한 반면, 동맥경화 억제요인인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43.06{\pm}14.05mg/dL$에서 $50.38{\pm}16.47mg/dL$로 증가되었다. 4. 대상자들의 식습관 분석 결과 영양교육 실시 전 18.7점에서 실시 후 20.8점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가장 점수가 낮았던 ${\ulcorner}$만복감${\lrcorner}$${\ulcorner}$식품의 배합${\lrcorner}$ 항목에서 개선되었고, 그외 ${\ulcorner}$음식의 간을 싱겁게${\lrcorner}$${\ulcorner}$채소섭취${\lrcorner}$ 항목도 영양교육 실시로 인해 크게 개선되었다. 5. 식사 일기 기록을 통한 영양소 섭취 분석 결과 1일 총 열량 섭취량은 $30{\sim}49$세 경우 프로그램 실시 전 $1,774.7{\pm}486.1kcal$에서 실시후 $1,189.1{\pm}310.5kcal$로 낮아졌으며, 50세 이상에서도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각 $1,549.4{\pm}327.1kcal,\;1,371.4{\pm}221.0kcal$로 감소하였다. 1일 단백질 섭취량을 비롯하여 지방, 칼슘, 철분, 비타민 C의 섭취량도 열량 섭취량 감소에 따라서 섭취 권장량 이하로 감소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도시지역 미세먼지 악화 시 기상요소 분석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when Fine Particulate Matters Deteriorate in Urban Area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신지환;조상만;박수국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1호
    • /
    • pp.36-5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관측이 시작된 2001년부터 2019년까지의 미세먼지 (PM10)와 초미세먼지 (PM2.5) 악화 빈도에 따른 기상 상황을 분석하였다. PM10과 PM2.5의 악화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봄>겨울>가을>여름철 순으로 나타났으며, 봄·여름철에는 주간에 가을·겨울철에는 야간에 더 많이 나타났으며, PM10보다 PM2.5의 피해가 더 심각하게 나타났다. PM10 악화 시의 기온과 풍속은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봄·겨울철에는 각각의 계절평균보다 높게 나왔으나, 여름·가을철에는 반대로 낮게 나왔다. 상대습도는 계절평균보다 모든 계절에 낮게 나타났다. PM2.5 악화 시 기온은 PM10 악화 시와 계절별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습도는 봄·여름철에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평균보다 높았으며, 겨울철에는 평균보다 낮았다. 풍속은 두 도시 동일하게 평균보다 낮게 나왔다. PM2.5 악화 시가 PM10 악화 시보다 봄·겨울철에 기온과 풍속이 더 낮을 때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M10과 PM2.5 악화 시 풍향은 주간에는 북풍과 서풍이, 야간에는 계절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PM10에 비해 PM2.5 악화 시 풍속이 낮게 나타나 한라산에서 발생하는 산곡풍의 영향으로 제주시는 남풍이 서귀포시는 북풍이 야간에 자주 발생하였다. 풍속등급별 PM10 악화 빈도수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주·야간 1.6 - 3.4 ms-1에서 가장 높았고, 여름철 야간에만 0.3 - 1.6 ms-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PM2.5 악화 빈도수는 제주시에서는 1.6 - 3.4 ms-1에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으나, 서귀포시에서는 0.3 - 1.6 ms-1에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PM10과 PM2.5 악화 시 3.4 ms-1이상의 바람이 0.3 ms-1이하의 바람보다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는 PM10과 PM2.5가 바람의 영향으로 도시지역 외부에서 유입된 것이 주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위 자료를 토대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계획 및 조경식재계획 방안을 마련한다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슬관절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진단에 있어서 KT-2000 기기의 유용성 (The Benefit of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r in Diagnosi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박재형;김형수;정광규;유정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2-88
    • /
    • 2004
  • 목적: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r를 이용하여 정상 슬관절의 전방 전위를 측정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며,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 슬관절의 전방 전위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상인의 전방전위 정도를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와 비교하여 이 기기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손상의 과거력이 없는 성인 남자 30명을 대상으로 2명의 검사자가 30lb의 힘으로 슬관절30$^{\circ}$굴곡에서 근육 이완 및 수축, 25$^{\circ}$내회전, 25$^{\circ}$외회전 자세로 전방 전위를 측정하여 두 검사자간의 전방 전위 및 좌우 차이를 비교하였고. 신체 조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차이에 따르는 전방 전위를 비교하였다 전방십자 인대 손상 환자 30명에서 슬관절을 이완시킨 상태로 3차례 이상 전방 전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검사자 1의 슬관절 전방 전위는 30$^{\circ}$굴곡 상태로 근육 완전 이완, 근육 수축 상태. 25$^{\circ}$내회전 25$^{\circ}$외회전위치에서 우측 슬관절은 6.5${\pm}$1.5 mm. 2.5${\pm}$0.9 mm, 4.8${\pm}$1.2 mm, 6.4${\pm}$1.3 mm였고 좌측 슬관절은 5.6${\pm}$1.3 mm, 2.1${\pm}$0.8 mm, 4.5${\pm}$1.2 mm, 5.2${\pm}$1.3 mm였으며. 검사자 2는 각각 6.9${\pm}$1.2 mm, 2.9${\pm}$1.1 mm,5.6${\pm}$1.6 mm, 6.9${\pm}$1.5 mm였고, 5.5${\pm}$1.7 mm, 1.9${\pm}$0.9 mm, 5.1${\pm}$1 9 mm, 5.7${\pm}$1.6 mm였으며, 검사자1의 전방 전위 좌우 차는 근육 이완 상태에서 0.9${\pm}$1.0 mm였다. 전방 십자 인대 손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방 전위는 평균 11${\pm}$2.93 mm쳐고,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6.5${\pm}$2.31 mm였다 좌우 슬관절의 비교에서 검사자 1과 2는 30${\pm}$굴곡, 근육 이완시 통계학적으로 좌우차는 있었으나 각각 25례(83%), 21례(70%)에서 좌우 차이가 2mm미만이었고 3 mm이상은 모두 1예에 불과하였으며 근육 이완시 정상인과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의 전방 전위 좌우차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0.05) 결론: KT-2000 Knee Ligament Arthrometed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슬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 슬관절의 굴곡 각도, 경골의 회전. 전위력의 강도, 적용시점, 그리고 키, 체중등의 신체적 요인 등이 있으나 능숙한 기계사용과 정확한 슬관절 위치에서 검사할 때 전방 십자 인대 파열에 대한 진단에 유용한 기구이다.

  • PDF

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모니터링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ruits in Korea)

  • 이진하;서지우;안은숙;국주희;박지원;배민석;박상욱;유명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0-234
    • /
    • 2011
  • 국내에는 과일류 중 중금속의 기준규격은 없으나, Codex에서는 과일류 중 납 함량 규격을 0.1 mg/kg으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함량 규격을 설정하고자 일일 섭취량이 많은 과일 8종(오렌지, 사과, 바나나, 배, 감귤, 감, 망고, 키위), 927건을 수거하여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 함량을 수은분석기 및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용액첨가법에 의한 회수율은 납 86.0-110.4%, 카드뮴 81.0-104.0%, 비소 82.0-104.7%를 얻었으며, 수은분석기를 이용한 수은의 회수율은 106.5%이었다. 조사결과 국내유통 중인 과일류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납 8.3, 카드뮴 0.7 비소 1.4, 수은 $0.3{\mu}g/kg$으로 조사되었다. 중금속의 주간섭취량을 FAO/WHO에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설정한 PTWI와 비교한 결과, 납, 카드뮴, 수은이 각각 0.17, 0.013 및 0.006%로 그 수준이 매우 낮아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이들 과일로부터 섭취하는 중금은 매우 미미하여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지하철 객차내에서의 미세먼지 농도 평가 (A Study of PM levels in Subway Passenger Cabi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노영만;박화미;이철민;김윤신;박동선;김석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20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of PM($PM_{10}$, $PM_{2.5}$, $PM_{1}$) and it's affecting factors in the subway from line 1 to line 8 i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Sep. 1 to 30, 2005. PM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at the entrances and centers in subway passenger cabins by a light scattering equipment. And the affecting factors to PM were estimated based on the number of passenger, door open and close and running area etc. The geometric means of $PM_{10}$, $PM_{2.5}$ and $PM_{1}$ concentration in Seoul subway passenger cabins were $214{\mu}g/m^3$, $86.6{\mu}g/m^3$ and $27.0{\mu}g/m^3$, respectively. These mean concentrations in subway carriage were higher when it ran on an underground track than on a ground track. And running time(7AM-9AM, 11AM-13PM, 6PM-8PM)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concentrations of $PM_{10}$, $PM_{2.5}$ and $PM_{1}$. Daily profile of $PM_{10}$ and $PM_{2.5}$, $PM_{1}$ expressed as an 10 minutes average, showed similar variation pattern over day period. In correlation analysis, significant relations among $PM_{10}$, $PM_{2.5}$ and $PM_{1}$ were detected(p〈0.01). In particula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M_{10}$and $PM_{1}$ was highly significant(r=0.94).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ty the sources of PM in subway cabins and to compare pollutants concentration among subway lines.

하악제일대구치(下顎第一大臼齒)와 중절치(中切齒)의 하악골(下顎骨)에 대(對)한 위치적(位置的) 관계(關係)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Molars and Incisors of the Mandible Arch)

  • 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5-100
    • /
    • 1968
  • The author measur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 in molars and incisors of mandible arch by means of lateral roentgeno-cephalometric tracing. The subjects measured here were 244 healthy Korean male and female at the range of 5. 7. 10. 15 and 20 years old, respectivel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horizontal measurements of lower first molar to mandible arch were as follows; 5 years of male; $43.14{\pm}0.84mm$ 5 years of female; $40.66{\pm}0.91mm$ 20 years of male; $43.08{\pm}1.59mm$ 20 years of female; $39.88{\pm}1.35mm$ None of the significant changes with age showed. 2. The horizontal measurements of lower incisors to mandible arch were as follows; 5 years of male; $8.14{\pm}0.68mm$ 5 years of female; $7.90{\pm}0.64mm$ 20 years of male; $10.02{\pm}1.68mm$ 20 years of female; $7.38{\pm}1.27mm$ None of the significant changes with age showed. 3. The vertical measurements of lower first molar to mandible arch were as follows; 5 years of male; $24.92{\pm}1.17mm$ 5 years of female; $25.02{\pm}1.64mm$ 20 years of male; $39.04{\pm}1.66mm$ 20 years of female; $35.25{\pm}1.03mm$ The vertical height of lower first mol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ments. 4. The vertical measurements of lower incisors to mandible arch were as follows; 5 years of male; $27.54{\pm}1.52mm$ 5 years of female; $27.62{\pm}1.78mm$ 20 years of male; $48.73{\pm}1.51mm$ 20 years of female; $45.52{\pm}0.82mm$ The vertical height of incis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ments. 5.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ower first molars and incisors revealed significant increment rates vertically with age. 6. It semed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hanges in male were greater than those in fem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