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region

검색결과 4,730건 처리시간 0.034초

Human Papillomavirus Genotype Distribution and E6/E7 Oncogene Expression in Turkish Women with Cervical Cytological Findings

  • Tezcan, Seda;Ozgur, Didem;Ulger, Mahmut;Aslan, Gonul;Gurses, Iclal;Serin, Mehmet Sami;Giray, Burcu Gurer;Dilek, Saffet;Emekdas, Gur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3997-4003
    • /
    • 2014
  • Background: Infection with certain human papillomavirus (HPV) genotypes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related with cervical canc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PV infection, the distribution of HPV genotypes and HPV E6/E7 oncogene mRNA expression in Turkish women with different cervical cytological findings in Mersin province, Southern Turke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76 cytological samples belonging to women with normal and abnormal cervical Pap smea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For the detection and genotyping assay, a PCR/direct cycle sequencing approach was used. E6/E7 mRNA expression of HPV-16, 18, 31, 33, and 45 was determined by type-specific real-time NASBA assay (NucliSENS EasyQ$^{(R)}$HPV v1.1). Results: Of the 476 samples, 106 (22.3%)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HPV DNA by PCR. The presence of HPV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p<0.001) in HSIL (6/8, 75%) when compared with LSIL (6/14, 42.9%), ASC-US (22/74, 29.7%) and normal cytology (72/380, 18.9%). The most prevalent genotypes were,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HPV genotype 66 (22.6%), 16 (20.8%), 6 (14.2%), 31 (11.3%), 53 (5.7%), and 83 (4.7%). HPV E6/E7 oncogene mRNA positivity (12/476, 2.5%) was lower than DNA positivity (38/476, 7.9%). Conclusions: Our data present a wide distribution of HPV genotypes in the analyzed population. HPV genotypes 66, 16, 6, 31, 53 and 83 were the predominant types and most of them were potential carcinogenic types.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HPV E6/E7 mRNA and DNA positiv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test the role of mRNA testing in the triage of women with abnormal cervical cytology or follow up of HPV DNA positive and cytology negative. These epidemiological data will be important to determine the future impact of vaccination on HPV infected women in our region.

습지식물의 적정 서식 환경 : I. 줄과 애기부들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 I. Ziza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 권기진;이보아;변채호;남종민;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2-88
    • /
    • 2006
  •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of the establishment phase for the distribution of Ziza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was determined to develop a set of basic data and criteria of planting substrate for the restora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s. The study was carried at 17 wetlands in the Kyunggi-do and Gyeongsangnam-do region where inland wetlands place intensively in June, 2005. Total 127 quadrats were sets in growing areas of Ziza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NO_3-N$, K, Ca, Mg and Na in the water variables and soil texture, LOI (loss on ignition), soil pH and soil conductivity in the soil variables were analyzed. The optimal range of water depth for the distribution of Zizania latifolia was -5~39cm, $NO_3-N$ content of water was <0.01~0.19ppm, K content of water was 0.1~5.9ppm, Ca content of water 0.5~44.9ppm, Mg content of water was 1.2~11.9ppm, Na content of water 3.4~29.9ppm, water conductivity was 48~450${\mu}S$/cm, respectively. The optimal range of LOI for the distribution of Zizania latifolia was 1.7~11.9%, soil conductivity was 25.5~149.9${\mu}S$/cm, respectively. The optimal range of water depth for the distribution of Typha angustifolia was -20~24cm, $NO_3-N$ content of water was <0.01~0.19ppm, K content of water was 0.2~2.9ppm, Ca content of water 0.6~19.9ppm, Mg content of water was 0.2~5.9ppm, Na content of water 3.5~19.9ppm, water conductivity was 96~450${\mu}S$/cm, respectively. The optimal range of LOI for the distribution of Typha angustifolia was 2.4~15.9%, soil conductivity was 17.6~149.9${\mu}S$/cm, respectively. The optimal soil texture were loam, silt loam and sandy loam in both species. The lower water depth (-20~40cm) is appropriate to increase biodiversity in both species dominated community and it is better to maintain water depth of 40~100cm for water purification. Both species appear frequently in the soil with high silt content.

광주광역시의 보호수와 기후변화 취약성 및 대응 (The Legally Protected Trees an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d Confrontation in Gwangju City)

  • 임동옥;제갈은기;이희천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171-179
    • /
    • 2011
  • 광주광역시에 분포하는 보호수는 9분류군 68개체다. 환경백서에 기록된 보호수 가운데 광산구 운남동 신가마을의 떡갈나무는 갈참나무로, 서구 벽진동 벽진마을의 양버들은 왕버들로, 남구 석정동의 소나무는 반송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IPCC는 21세기말에 평균기온은 최고 $6.4^{\circ}C$ 및 해수면은 59 cm 상승하므로 북극빙하는 완전히 녹아 없어지고 지구상의 생물종 95%가 멸종위기에 빠질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보호수를 통해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IPCC 예측 결과를 적용해 보면 21세기말 광주광역시 최한월 1월 최저기온은 현재 제주도 최한월 평균최저기온인 $3^{\circ}C$보다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21세기 말 광주광역시 지역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보호수인 곰솔, 팽나무, 푸조나무 그리고 상록성활엽수가 잘 자랄 것으로 판단되지만 서울과 광주에서 함께 나타나는 보호수인 반송과 느티나무는 취약성을 드러낼 것으로 판단된다.

이산화염소의 활성산소 발생에 따른 화랑곡나방 심장박동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Chlorine Dioxide Using Reactive Oxygen Species Against Heart Contraction of the Indian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 김철영;권혁;김욱;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7-152
    • /
    • 2017
  • 곤충의 혈액순환은 심장 박동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다양한 생리적 변화는 심장 박동 조절을 수반하게 된다. 심장박동에 대한 교란은 곤충의 생존을 위협하게 된다. 본 연구는 활성산소를 유발하여 살충력을 발휘하는 이산화염소가 혈액순환계에 미치는 영향을 심장박동을 통해 분석하였다.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유충의 등핏줄은 몸의 윗면 중앙에 위치하고 후방으로 복부 10번째 마디에서 시작하여 전방으로 첫 번째 가슴 마디까지 연결된 관 구조를 나타냈다. 등핏줄의 수축과 이완은 주로 복부 3-10번째 마디에 위치한 등핏줄에서 일어났으며 이 부위에 5개의 심실이 관찰되었다. 심장박동빈도는 $25^{\circ}C$에서 분당 평균 118.6회의 수축 리듬을 보였다. 그러나 온도에 따라 심장박동빈도는 현격한 변화를 보였다. 혈강에 이산화염소를 다양한 농도로 투여한 경우 심장박동빈도는 약제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산화염소(100 ppm)을 훈증 처리할 경우 노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심장박동리듬이 현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이산화염소의 심장박동 억제효과는 활성산소 저해제인 비타민 E와 함께 주입할 경우 회복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이산화염소가 화랑곡나방의 심장박동에 억제효과를 주었으며 이러한 억제효과는 이물질이 유발하는 활성산소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육괴 북부 가평 지역에 분포하는 각섬암 내부 각섬석의 격자선호방향(LPO)과 지진파 비등방성 (Lattice Preferred Orientation(LPO) and Seismic Anisotropy of Amphibole in Gapyeong Amphibolites)

  • 김준하;정해명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3호
    • /
    • pp.259-272
    • /
    • 2020
  • 지각내부에서의 지진파 전파 특성은 지각의 주요 구성광물들의 격자선호방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진파 전파속도자료를 이용해 지구내부구조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주요 구성 광물들의 격자선호방향과 이를 이용해 계산된 암석별 지진파 전파속도 특성 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암석과 광물의 격자선호방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경기육괴 북부에 위치한 가평 위곡리 일대의 두 각섬암체에서 각섬암을 채취하여, 각섬암 내부의 주요 광물들, 특히 각섬석과 사장석의 격자선호방향을 전자현미경/후방산란전자회절 기기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가평지역 각섬암에서 나타나는 지진파 전파속도 특성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가평 위곡리 일대 두 개의 각섬암체에서 각각 type I과 type IV로 정의된 두 가지 타입의 각섬석 격자선호방향이 관찰되었다. 사장석은 비교적 약한 격자선호방향을 보여주었다. Type I 각섬석 격자선호방향이 관찰된 각섬암에서는 큰 지진파 비등방성이 관찰되었으나, type IV 각섬석 격자선호방향이 관찰된 각섬암에서는 작은 지진파 비등방성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이전의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빠른 S파의 편파방향은 각섬석의 격자선호방향에 관계없이 선구조방향에 평행하게 나타났다. 가평지역의 각섬암에서 관찰된 이러한 지진파 전파 특성은 경기육괴 지각 내부의 구조와 지진파 자료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IV감염과 MICA (MHC class I chain-related A) 대립 유전자의 연관성 (Association of HIV infection with MICA(MHC class I chain-related A) gene alleles)

  • 강문원;위성헌;김양리;이주실;표철우;한훈;김태규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35-142
    • /
    • 2001
  • Background: A large number of diseases occur in association with specific HLA-B or-C alleles. Recently a new gene, termed maj 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 chain-related gene A (MICA), has been identified in close proximity to HLA-B. The function of this gene is still unknown. However, it is structurally similar to HLA class I genes. MICA gene is polymorphic and is potentially associated with several diseases. Method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MICA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1 (HIV-1) infections, Polymerase chain reaction-Sequence specific primer (PCR-SSP) was done for MICA alleles in the extracellular exons, and a microsatellite analysis for GCT repeat polymorphisms in the TM exon was also completed. Results: In 199 Korean healthy controls, 7 alleles were observed and the frequencies for each allele were MICA008 (44.7%), MICA0 10 (34.2%), MICA002 (31.7%), MICA004 (23.6%), MICA0 12 (2 1.6%), MICA009 (19.6%), and MICA007 (6.5%). When 65 HIV seropositive patients were analyzed, MICA007 allel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s (15.4% vs 6.5 %, RR=2.6, p<0.04). In contrast, the frequencies of other MICA alleles and microsatellite alleles in the transmembrane region of MICA gen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V seropositive patients and controls. The tight linkage between MICA alleles in the extracellular exons and GCT repeat polymorphisms in the TM exon was observed as follows; MICA002/A9, MICA004/A6, MICA007/A4, MICA008/A5.1, MICA0 10/A5, and MICA0 12/A4 in both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was observed in the haplotype frequencies of MICA alleles in the extracellular exons and GCT repeat polymorphisms in the TM exon. Conclusion: The data suggest that immune functions related with MICA gene may affect a HIV infections.

  • PDF

몇 가지 아미노산으로 변성한 $[Ru(v-bpy)_3]^{2+}$ 고분자 피막 전극을 이용한 수은의 정량 (Determination of Mercury at Electrodes Modified with Poly-$[Ru(v-bpy)_3]^{2+}$ Incorporating Amino Acids)

  • 차성극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542-548
    • /
    • 1996
  • 전기 화학적으로 중합한 $[Ru(v-bpy)_3]^{2+}$의 다양이온성 고분자 피막에 이온교화법으로 회합시킨 리간드, 즉 methionine, serine 및 threonine으로 변성한 전극을 이용하여 용액 중에 수은을 정량하였다. 이때 분석적 신호는 전극 표면에 고정된 수은/리간드 착물의 산화-환원 응답이다. 이 고분자 피막을 전기적으로 중합할 때 사용한 지지 전해질은 $KPF_6$와 TBAP였으며, 각 경우 고분자 형태와 이에 따른 산화벗김전극의 응답을 비교하였다. $KPF_6$을 쓴 경우 수은 정량에 높은 감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피막의 다공성이 아주 커서 피막의 내부까지 리간드들의 회합이 용이한데서 온 결과이다. 특히, 이고분자 변성 전극은 10회 이상의 정량이 가능하였으며, logi/r 대 log[Hg]로 도시한 검정 곡선이 1.0{\times}10^{-8}{\sim}1.0{\times}10^{-2}M$농도 범위에서 0.99의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각각의 상대 표준편차가 5-8%였다. 사용한 리간드들 중 전기화학적 응답이 가장 큰 serine이 수은과 안정도 상수가 8.54로 가장 컸으며, methionine 과 threonine의 값은 각각 7.80과 7.04였다.

  • PDF

솔잎벌의 생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logy of Nesodiprion japonicus($M_{ARLATT}$))

  • 이찬용;김인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0-65
    • /
    • 1994
  • 침엽수 계통의 많은 수종은 가해하는 솔잎벌(Nesodiprion japonicus{{{{( { M}_{ ARLATT}) }}}}) 생태중 생활사에 관하여 조사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충은 1년 2회 발생하였으며, 암컷과 수컷이 같은 색 (검정)이고, 암컷의 몸체는 수컷보다 굵고 크며 촉각은 빗살모양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성충의 수명은 3~4일, 우화율은 92% 성비는 6(female): 4(male)로 나타났다. 성충은 침엽의 조직내에 1입씩 산란하며 산란된 배 입은 각색으로 변한다. 란 기간은 $14.3\pm$1.2일이었으며, 란의모양은 짧은 바나나형이고 등황색을 띠며 크기는 $2.4\pm$0.2mm 이다. 유충기간은 $30.3\pm$2.1일이고, 크기는 $20.1\pm$2.2mm이다. 두정에는 흑빈이 있고 몸체는 광택이 있는 녹생으로서 전후야란은 황색을 띠고 있다. 노숙유충이 되면 녹색이 연녹색으로 변하고 두정의 흑반도 없어진 후 1회 발생 때의 유충은 솔잎의 기부에 , 2회 대의 유충은 지피물 사이에 고치를 짓고 융화한다. 전용기는 $14.3\pm$2.0일이였고, 크기느 $10.1\pm$0.2mm이다. 용기간은 $12.2\pm$1.3일이었으며, 크기는 $10.1\pm$0.2mm이다.

  • PDF

Non-Hodgkin Lymphoma and Pesticide Exposure in Turkey

  • Yildirim, Mustafa;Karakilinc, Hulya;Yildiz, Mustafa;Kurtoglu, Erdal;Dilli, Utku Donem;Goktas, Sevil;Demirpence, Ozlem;Kaya, Vild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461-3463
    • /
    • 2013
  • Background: Non-Hodgkin lymphoma (NHL) is a solid tumour of lymphocytes, important elements in the immune system. According to 2006 data, in Turkey the incidence was 6.5 per 100,000 in males, and 4.4 in fema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pesticides and development of NHL has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in many studies, an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risk of NHL is increased by exposure to such compounds. Antalya is a region of intensive agricultural activit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lymphoma in Antalya and the amount of pesticides employed was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1995 to 2010 on the patients from the databank of TR Ministry of Health, Antalya Provincial Health Directorate, Cancer Registration Center and the patients who were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NHL during these years.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pesticide used and the incidence was studied with the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p value was found as 0.0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497. An increase in the NHL incidence over the years was identified, with a 2.42-fold increment found from 1995 to 2005 and a 2.77 fold elevation from 1995 to 2010. The use of pesticides increased 1.89 fold over the same period. Conclusions: Our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he pesticides used with NHL patients diagnosed during the same year. Since the time elapsing after exposure to pesticides until the development of cancer is not clear, no comparison can be made at present. We believe that the increase in use of pesticides since 1995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NHLand therefore that further studies on the issue including measurements of serum pesticide levels, are required.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산수유 음료의 Morroniside, Loganin 및 Cornin 함량과 이화학적 특성 (Morroniside, Loganin, and Cornin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Sansuyu (Corni fructus) Retort Drink)

  • 박수진;정지숙;정재훈;박노진;손병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1018-1025
    • /
    • 2017
  • 본 연구는 산수유 음료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중에 유통 중인 산수유 파우치 형태 액상제품 18종의 제품을 수거하여 기능성 성분 함량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효물질은 morroniside였으며, 다음으로 loganin, cornin 순이었다. 구례 지역 생산 산수유 제품의 1 2차 평균 유효물질 morroniside, loganin 및 cornin의 함량이 각각 89.55, 66.04, 12.91 mg/100 g으로 전체 평균 77.22, 45.51, 8.16 mg/100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Morroniside가 전체 평균보다 높은 제품은 각각 7개 및 7개였으며, loganin은 6개 및 4개, cornin은 8개 및 1개였다. 또한, cornin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제품도 1차 및 2차에서 각각 1개 및 4개 있었다. 지역별 유효성분 차이는 구례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morroniside 함량 2차 분석을 제외하고 모든 유효성분 함량이 높았다. 그러나 대부분 제품의 유효물질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품질이 우수한 산수유 음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료의 표준화와 추출조건과 같은 추출공정의 표준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