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_3-N:NH_4-N$ ratio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4초

Composition of Optimal Nutrient Solution for Single-stemmed Rose 'Red velvet' in a Closed Aeroponic System

  • Kang Mu Jang;Lee Joo Hyun;Lee Yong-Beo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4-181
    • /
    • 2005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an optimal nutrient solution for the single-stemmed rose (Rosa hybrida L.) 'Red velvet' in a closed aeroponic system. Plants were grown in 1/3, 1/2, 1, or 3/2 strength of the nutrient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Station in Japan (NHRS). Significantly less changes of pH and EC ($dS{\cdot}m^{-1}$) in the drainage were observed in 1/2 strength treatment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he $NO_3-N$, K, Ca, and Mg concentrations in the drainage solution of 1/2 strength treatment were maintained at optimal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ose uptakes of both nutrients and water was more stable than those in oth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macronutrients in nutrient solution were adjusted based on the ratio of nutrient:water (n/w) taken up by plants grown in the 1/2 strength solution. The composition of the new solution (classified the University of Seoul (UOS) solution) was as follow; $NO_3-N$ 8.8, $NH_4-N$ 0.67, P 2.0, K 4.8, Ca 4.0, Mg 2.0 $me{\cdot}L^{-1}$. To further evaluate new solution on crop growth, the rose 'Red Velvet' was grown again in l/2, 1, and 2 strength UOS solution to compare with 1.0 strength PBG (proefstion voor bloemisterij en glasgroenpe) solution. Overall the plant growth, including the stem length and number of five-leaflet leaves was higher in 1.0 strength of UOS solution than other treatment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utrients in the UOS solution are well balanced for the single-stemmed rose in the closed aeroponic system.

미생물 활성토탄을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Ammonia by Using Peat Biofilter)

  • 정연규;안준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655-668
    • /
    • 1994
  • 기존의 토양상 및 퇴비상을 이용한 악취제거가 주로 흡착에 의존한 나머지 탈취상이 쉽게 탈취능의 한계에 이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활성 탈취상의 조건인 높은 유기물함량, 보수성, 통기성 및 낮은 정압 등을 고르게 갖추고 있는 토탄에 활성슬러지를 식종하여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등에서 발생빈도 및 취기강도가 큰 무기성악취 중 암모니아의 제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자연 토탄상에서는 암모니아의 토탄수분에 의한 이온화에 따라서 pH가 상승하여 암모니아의 자연 유출 현상이 관찰되었다. 암모니아 제거 기작은 주로 음이론 콜로이드에 의한 흡착에 의존하였다. 미생물 활성 토탄상에서는 미생물 활동에 따른 pH의 완만한 상승으로 이론적 암모늄 이온의 비율이 자연토탄상보다 높았으나, 실제로 토탄상에 축적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값은 질산균의 질산화에 의해 자연 토탄상보다 적었다. 암모니아의 제거기작은 반응조 운영 초기에는 흡착이 우세하였으며, 중반이후에는 질산화가 두드러졌다. 실험으로 얻은 암모니아 유입부하량, 암모니아 유출부하량, $NH_4{^+}$-N, $NO_x$-N, Org-N을 이용하여 질소에 대한 물질수지(Mass Balance)를 산정하고, 실험결과로 얻은 미생물 활성 탈취상의 최대 활성 시점인 비정상상태의 임계시간과 회귀분석에 의해 구한 암모니아의 흡착곡선을 이용하여 미생물 활성 토탄상에서 흡착능 포화의 연장시간을 산정하였다.

  • PDF

응집제의 첨가에 따른 Membrane bioreactor 의 고도처리 효율 연구 (Effect of Coagulant addition on Nutrient Removal Efficiency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 박종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5-241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in th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by addition of alum directly into aerobic tank. Membrane bioreactor consists of three reactors such as two intermittent anaerobic tanks and the aerobic tank with hollow fiber membran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OD_{cr}$, BOD, SS, TN and TP on the membrane bioreactor were 94.0%, 99.1%, 99.9%, 66.9%, and 58.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OD_{cr}$, BOD, SS, TN and TP on the membrane bioreactor with alum addition were 93.4%, 99.0%, 99.9%, 63.2%, and 96.8%, respectivel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m on the nutrient removal efficiencies except phophorus removal. The estimated sludge production,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specific nitrification rate and phosphorus removal content on the membrane bioreactor were 1.76 kgTSS/d, $0.055mgNO_3-N/mgVSS{\cdot}d$, $0.031mgNH_4-N/mgVSS{\cdot}d$, and 0.095 kgP/d, respectively. And The estimated sludge production,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specific nitrification rate and phosphorus removal content on the membrane bioreactor with alum addition were 2.90 kgTSS/d, $0.049mgNO_3-N/mgVSS{\cdot}d$, $0.030mgNH_4-N/mgVSS{\cdot}d$, and 0.160 kgP/d, respectively. The alum content added was 1.7 molAl/molP on an average. The increasing ratio of tran-membrane pressure on the membrane bioreactor was $0.0056kgf/cm^2{\cdot}compared$ to $0.0033kgf/cm^2{\cdot}d$ on the membrane bioreactor with alum addition. There was a slightly reduction effect on membrane fouling by alum addition.

팽나무버섯 균사체 및 자실체 생산을 위한 화학합성배지의 최적화 (Standardization of Chemically Defined Medium for the Production of Mycelium and Basidiocarps in Flammulina velutipes)

  • 송치현;이창호;안장혁;홍범식;양한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53-60
    • /
    • 1995
  • Flammulina velutipes(팽나무버섯)의 영양요구성에 대한 연구로써 각종 탄소원 및 질소원을 처리한 결과 mannitol과 glutamic acid 그리고 ammonium nitrate가 최대 균사체 생장을 보였으며, 최적 C : N ratio 로써 20 : 1이 선정되었다. Phosphate source로는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magnesium sulphate와 thiamin HCl이 균사체 생장을 촉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최적 화학합성배지의 조성은 1.5% mannitol, 0.082% $NH_4NO_3$, 0.312% glutamic acid, 0.25% $KH_2PO_4$, 0.06% $MgSO_4{\cdot}7H_2O$ 그리고 $0.3\;{\mu}g/l$ thiamin HCl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배지의 조성은 균사체 생장 뿐만 아니라 자실체 생장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용종료 비위생 매립지의 환경 안정성 평가 - 감곡 매립지 사례 연구 - (Assessment on Environmental Stabilization of Used Open Dumping Landfill - A Case Study of Kamkok Landfill -)

  • 박상찬;조병렬;정지혜;이민희;김태영;박종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13-19
    • /
    • 2008
  • 사용 종료된 매립지의 환경적 영향에 따른 매립 후 변화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매립 폐기물의 성상 및 가스분석을 통한 연구의 결과는 매립폐기물의 물리적 성상분석의 유기성분이 29.72~63.84%이었고, 비닐 플라스틱류는 평균 32.88%로 가연성 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침출수의 성분 중 $BOD_5$/CODcr비가 0.18정도로 나타났다. TS의 62.71%중 VS는 30.37%, FS는 32.34%로 FS의 비중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매립폐기물의 C/N비는 21.8로 나타났다. 매립지 주변 지표수는 BOD 10.7mg/g, SS의 경우 37.8mg/g, 대장균 31,157(MPN/$100m{\ell}$)로 나타났고, 지하수는 $COD_{Mn}$은 1.13-1.38mg/g, $NO_3-N$은 1.025-4.075mg/g로 나타났다. 침출수는 T-P 0.002-0.028mg/g, $NH_3-N$ 4.0-21.0mg/g로 나타났으며, BOD/CODcr비가 평균 0.18로 나타났다. 토양은 토양오염우려기준에 하회하는 농도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매립가스의 $CH_4$$CO_2$가스는 각각 13.25%, 6.17%로 나타났고, $H_2S$나 CO가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지표 가스는 $CO_2$, $CH_4$, $H_2S$, CO가스 농도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NH_3$가스 농도는 평균 7.56ppm으로 분석되었다.

  • PDF

독도의 담수환경 (물골)과 부착조류 생물량 (Freshwater Ecosystem (Mulkol) and Periphytic Algal Biomass in the Tok Island, Korea)

  • 김미경;강창근;황순진;정미희;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63-466
    • /
    • 2003
  • 본 연구는 독도에서 식수원으로 이용되었던 담수 환경인 물골 생태계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물골 유출수의 염분도는 2.0 psu 이하이었고, 부착조류 생물량이 25.9 ${\mu}g$ chl-a/$cm^2$수준으로 대량 번성하여 과영양 환경을 유지하였다. 수중 영양염 중에서 질소는 $NH_4$의 농도가 비교적 높았고, SRP는 117.3 ${\mu}g$ P/l SRSi는 4,104.6 ${\mu}g$ Si/l로서 N성분에 비해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 결과, N/P비는 1.0이하로서 강한 N 제한 상태를 나타냈다. 물골에서 높은 무기 영양염 농도와 부착조류 생물량은 교란이 적은 생태계로서 자연적 오염의 영향으로 볼 수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완전한 규명은 어려웠으며, 향후 이에 대한 학술적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有機 Halides 와 Amines 間의 光反應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Photoreaction between Organic Halides and Amines)

  • 김유선;박용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8-154
    • /
    • 1962
  • The reactions between organic halides$(CCl_4,\;C_6H_5Br,\;C_6H_5Cl,\;C_6H_5I)$ and amines $(C_6H_5NH_2,\;R_2NH,\;R_3N,\;(CH_2)_5NH,\;pyridine)$ were studied under mixed u.v. irradiation. The modes of reactions were examined by means of gas chromatography and product-reactant ratio determination. The reaction of $CCl_4$ with amines give chloroform and hexachloroethanes, and the reaction of aromatic halides with amines gave biphenyl and benzene. In each series of reaction there obtained mainly corresponding amine hydrohalides, but no amination products. The reactivity was in the order of the basicity of amines and of the reactivity of organic hahides, except in the case of cyclic tertiary amine. The result was interpreted as a non-chain photodecomposition process. A competitive proton abstraction reaction path via the formation of a change transfer complex was proposed as the reaction mechanism.

  • PDF

우분뇨 퇴비화 중 암모니아 휘산에 대한 이분해성 및 난분해성 유기 첨가물의 역할 (The Role of Organic Amendments with Different Biodegradability in Ammonia Volatilization during Composting of Cattle Manure)

  • 임상선;박현정;이선일;이동석;곽진협;최우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0-24
    • /
    • 2009
  • 퇴비화 과정 중 암모니아 휘산과 관련된 난분해성 및 이분해성 유기물의 역할을 재조명하기 위해 분뇨와 톱밥(난분해성) 또는 쌀겨(이분해성)를 혼합한 후 4주간 $CO_2$ 발생량과 $NH_3$ 휘산량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톱밥처리구에 비해 쌀겨처리구에서 43$\sim$122% 정도 높았으며, 이에 상응하게 최종 건물중 손실률도 쌀겨처리구가 35.1$\sim$41.5%로 톱밥처리구의 18.7$\sim$22.6%에 비해 유의하게(P$\sim$0.05) 높았다. 톱밥처리구에서는 시험기간인 4주간 암모니아 휘산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는 톱밥의 C/N 비가 높아 질소무기화가 지체되었고 톱밥 자체가 $NH_4^+$를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이분해성인 쌀겨 처리구에서는 퇴비화 초기에는 질소부동화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8일 이후부터는 쌀겨처리량이 낮은 순서대로 이분해성 유기물의 고갈에 의한 질소재무기화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이분해성 유기물은 초기 암모니아 부동화를 통해 암모니아 휘산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부동화된 질소의 재무기화에 의해 퇴비화 중반기에 오히려 암모니아 휘산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분해성 유기물인 톱밥은 암모니아 고정능이 있어 물리화학적 흡착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순환식 수경재배시 배양액조성에 따른 배양액 양분농도 변화 및 오이 생육 (Changes in Nutrient Element Concentrations and Growth of Cucumber Plants (Cucumis sativus L. cv. Joeun Baegdadagi) as Affected by Nutrient Solution Composition in Recirculating Hydroponic Systems)

  • 노미영;최경이;이한철;서태철;김완순;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3-369
    • /
    • 2009
  • 본 시험은 순환식 수경재배시 배양액조성이 배양액 내 다량원소 농도의 변화 및 오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네 가지 배양액조성, 즉 일본 원시 배양액, 야마자키 오이 배양액, PBG 오이 순환식 배양액 및 원예원 오이 순환식 배양액이 급액되는 순환식 펄라이트 수경재배시스템에서 오이('조은백다다기' 품종)를 재배하였다. 네 가지 배양액조성 처리구 모두에서 순환배양액내 $NO_{3^-}N$, $Ca^{2+}$, $Mg^{2+}$$SO_{4^-}S$의 농도는 정식후일수가 진전됨에 따라 증가되었고 $NH_{4^-}N$의 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순환배양액내 $PO_{4^-}P$$K^+$의 농도는 과실수확 개시기부터 과실수확 최성기까지 계속적으로 감소되었다. 순환배양액내 $NO_{3^-}N$, $NH_{4^-}N$$Ca^{2+}$의 농도는 배양액조성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야마자키 배양액을 이용한 오이 순환식 수경재배 시에 다른 세 가지 배양액조성에 비하여 $PO_{4^-}P$K^+$의 농도는 가장 낮아지고 $Mg^{2+}$$SO_4^{2-}$의 농도는 가장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엽수를 제외한 작물 생육은 배양액조성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오이의 과수와 과실수량은 야마자키 배양액조성 처리에서 가장 적었는데, 그것은 순환배양액내 $PO_{4^-}P$$K^+$의 농도가 낮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strain 'Yedang 3' on various media and nutritional conditions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Choi, Young-Sang;Lee, Byung-Eui;Song, Ho-Ye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4-130
    • /
    • 2013
  •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requirement such as temperature, pH, different media, carbon, nitrogen, and carbon-to-nitrogen ratio on the mycelial growth of Cordyceps militaris strain 'Yedang 3' were studie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growth of mycelium were $20-25^{\circ}C$ and pH 6-7, respectively. Out of ten media tested, mushroom complete media (MCM) was the best medium for fast mycelial growth, and Sabouraud's dextrose agar yeast extract (SDAY), malt extract yeast extract agar (YMA) also were favored. The color and shape of colonies varied in different media. The best carbon sources for mycelial growth were fructose, mannitol, and sucrose, whereas the best nitrogen sources were tryptone and peptone. However, mycelia grew slowly in inorganic nitrogen compounds such as $NH_4Cl$, $(NH_4)_2SO_4$, $NH_4NO_3$, and $NaNO_3$. The optimum C:N ratio observed on the culture media was 30-40 range. These results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growth and might be useful for spawn production in Cordyceps milit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