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4-N$

검색결과 2,110건 처리시간 0.033초

N$H_3$가 Si산화의 열유기 결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H_3$ on the Induced Defect in Si Oxidation)

  • 김영조;김철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403-409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Si(111)에 대한 건식산화와 어닐링에서 결함의 억제 또는 제거에 $NH_3$가 효과적임을 밝혔다. 산화방식은 건식산화(dry $O_2$ oxidation)및 $NH_3$산화($NH_3$ added in dry $O_2$oxidation)를 택하였고 $N_2$$NH_3N_2$분위기에서 어닐링 효과를 평가하였다. 건식산화에서는 발생되는 결함이 성장시간에 따라서 길이가 길어지며, $NH_3$산화에서는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초기산화를 $NH_3$산화로 하고서 건식산화를 하였을 때 계면에서의 결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건식산화 또는 $NH_3$산화를 한 후 이들 시료에 대하여 7.5% $NH_3N_2$분위로 어닐링하면OSF의 게터링(gettering)효과가 있었다. $NH_3$산화방식에서 7.5%$NH_3N_3$분위기로 어닐링했을때가 건식산화방식에 비하여 OSF의 길이가 20%정도 감소하였다. OSF의 모양은 pit형으로 (111)면에 대하여 (011)면 쪽으로 게터링이 일어났으며<110>방향으로 식각되는 성질이 있었다.

  • PDF

메탄발효폐액(醱酵廃液)을 이용(利用)한 녹조류(綠藻類), 아졸라 및 좀개구리밥 배양(培養)에 관(関)한 연구(硏究) (Cultivation of Scenedesmus accuminatus, Azolla-anabaena and Lemner minor L. Using the Effluent of Methane Fermented Hog Waste)

  • 이명구;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1-146
    • /
    • 1982
  • 돈분(豚糞)을 이용(利用)하여 2회(回)에 걸친 메탄발효폐액(醱酵廃液) 상징액(上澄液)(pH:7.85, $NH_4$-N:683ppm, Ec:$8.3m{\cdot}mhos/cm$, BOD:1,000ppm내외(內外))을 지하수(地下水)로 희석(稀釋)하여 녹조류(綠藻類) 1종(種)(Scenedesmus), 좀개구리밥(Lemner minor L.) 및 Azolla 1종(種)(Azolla pinnata)을 재배(栽培)코져할 때 폐액(廃液)의 적정희석재수(適正稀釋倍数)와 희석액(稀釋液)의 교환간격(交換間隔)을 알고져 vat시험(試験)으로 실시(実施)한 결과(結果), 1. 녹조류(綠藻類) 생육(生育)에는 폐액(廃液)을 5배(倍)(접종시(接種時) $NH_4$-N:137ppm)로 희석(稀釋)하여 매(每) 8일간격(日間隔)으로 교환(交換), 좀개구리밥은 25~50배(倍)(접종시(接種時) $NH_4$-N: 7~14ppm) 희석(稀釋)하여 4일간격교환(日間隔交換), Azolla는 50배희석(倍稀釋)(접종시(接種時) $NH_4$-N:14ppm) 매(每) 4~8일(日)마다 교환시(交換時)에 생육(生育)이 제일 좋았다. 2. 녹조류(綠藻類), 좀개구리밥 및 Azolla가 생육(生育)할 시(時)에 메탄가스폐액(廃液)의 pH, Ec 및 $NH_4$-N가 감소(減少)되어 폐액(廃液)의 정화(淨化)가 촉진(促進)되었다.

  • PDF

천연 Zeolite를 이용한 상수원수 중의 $NH_{3}-N$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moval $NH_{3}-N$ by Natural Zeolite in the Raw-Water)

  • 이지헌;김환범;안길원;박찬오;김익산;이종현;박혜영;박송인;이해훈
    • 환경위생공학
    • /
    • 제12권3호
    • /
    • pp.61-71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dsorption capacity of $NH_{3}-N$ by natural zeolite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for $NH_{3}-N$ eliminator of korea natural zeolite. The dominant clay minerals of zeolite was clinoptiloite. The amount of $NH_{3}-N$ adsorption by zeplit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article size of zeolite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zeolite to the volume of solution. Removal ratio of 100% of NH$_{3}$-N by non, 1st, 2nd regenerated cloumn was continued separately during 4.5, 18, 30hr and this amount was each 0.081, 0.324, 0.540g $NH_{3}-N/zero$.100g. The eluenting amount of K, Ca, Mg was increased on the zeolite cloumn according to that of Na decreased. The amount of 74% of $NH_{3}-N$ was desorved on the zeolite cloumn for regenerating treatment during 8hr. The perfect removal amount was $0.216gNH_{3}-N/zero$.100g on the zeolite cloumn with field sample.

  • PDF

산림토양내(山林土壤內) 질소(窒素)의 양료화(養料化)와 질산화(窒酸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ion 교환수지(交換樹指)의 처리(處理) 방법(方法)에 따른 질소(窒素)의 흡수율(吸收率) 변화(變化) (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in Forest Soils : Effect of Chemical Treatment on N Adsorption by Ion Exchange Resin)

  • 이천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285-289
    • /
    • 1990
  • 산림토양내(山林土壤內) N 양료화(養料化)와 질산화(窒酸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최근(最近) 많이 사용하고 있는 ion 교환 (交換) 수지(樹脂) (Ion Exchange Resin : IER)의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하고 실험실(實驗室)과 토양(土壤)에 묻었던 IER의 재사용(再使用) 여부를 판단(判斷)하기 위하여 흡수율(吸收率)을 분석(分析)하였다. IER 20g을 나이론 스타킹에 넣고 무처리구, 2M NaCl에 진탕한 후 물에 씻은 처리구(處理區)(2M NaCl구(區), 4M NaCl에 진탕한 처리구(處理區)로서 N 흡수율(吸收率)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2M NaCl구(區)의 IER은 $NH_4$$NO_3$를 각각(各各) 70, 60% 흡수(吸收)하여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4M NaCl구(區)는 40%정도의 흡수율(吸收率)을 나타냈다. 무처리(無處理) IER은 $NO_3$ 흡수율에서 2M NaCl구(區)와 비슷하였으나 $NH_4$는 낮은 N 농도에서 과대치를 나타냈다. 재사용(再使用)한 IER의 흡수율은 60~80%로서 일정한 흡수율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처리(前處理)로서, 흡수율(吸收率)을 구명(究明)하여 N 농도별로 각각(各各) 흡수율(吸收率)을 적용하면 재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축전식 탈염 공정의 액상 유기물에 따른 질소(N) 및 인(P) 처리 특성 (Effects of N & P Treatment Based on Liquid Organic Materials for Capacitive Deionization(CDI))

  • 이보람;정인조;박수길
    • 전기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3-128
    • /
    • 2013
  • 유기물 첨가에 따른 CDI 모듈셀의 N, P 제거 특성을 위해 2000 ppm $NH_3$, $H_3PO_4$에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methoxy ethanol, glucose을 1, 2, 3 vol.%를 첨가해 용량 및 이온의 흡 탈착능을 관찰하였다. $NH_3$에서는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용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용량은 methanol 3 vol.% 첨가 될 때 유기탄소 간섭 전보다 흡착은 16.4%, 탈착은 30.4%의 질소 제거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H_3PO_4$에서는 iso-propanol 2 vol.% 첨가 시에 유기탄소 간섭 전보다 흡착은 63%, 탈착은 54.7% 인산염의 제거율 증가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수 내의 유기물을 제거하지 않고 N, P 제거 효과와 운영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부틸아미드옥심 유도체의 몰리브덴(Ⅵ) 사핵 착물의 합성과 성질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etranuclear Molybdenum(Ⅵ) Complexes with Butylamidoxime Derivatives)

  • 로수균;오상오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552-558
    • /
    • 1995
  • 배위자인 이소부틸, 노르말 부틸 및 메틸티오아세트아미드옥심과 출발 물질인 단핵 및 다핵 착물과의 반응에서 $X_2[M_{O4}O_12{R'C(NH_2)NO}_2](X=n-Bu_4N^+$, $R'=(CH_3)_2CH$, $CH_3CH_2CH_2$, $CH_3SCH_2$; $X=(CH_3)_2CHC(=NH_2)NH_2^+$, $R'=(CH_3)_2CH$; $X=CH_3CH_2CH_2C(=NH_2)NH_2^+$, $R'=CH_3_CH_2CH_2$; $X=CH_3SCH_2C(=NH_2)NH_2^+$, $R'=CH_3SCH_2)$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착물은 원소분석, 적외선 및 핵자기공명에 의해 구조를 규명하였다. 얻은 착물중 ${(CH_3)_2CHC(NH_2)_2}_2[M_{O4}O_{12}{(CH_3)_2CHC(NH_2)NO}_2]$은 X-선 단결정 회절에서 결정구조를 밝혔고, 얻은 데이타는 Monoclinic, $P2_{1/c}$, $a=10.168(3){\AA}$, $b=11.768(1){\AA}$, $c=13.557(1){\AA}$, ${\beta}=102.08(1)^{\circ}$, $V=1586.2(5){\AA}^3$, Z = 2이었고, 회절강도 2951개($F_0>3s(F_0)$)에 대한 최종 신뢰도 인자는 0.026이었다. 이 착물의 구조는 평면상의 환형$[Mo_4({\mu}-O)_4]$과 두 개의 ${\mu}_4$-아미드옥시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 PDF

토양컬럼을 이용한 합성폐수중의 암모니아성질소 제거 (Removal of $NH_4-N$ from Synthetic Wastewater Using Soil Column)

  • 박상일;정경훈;김해연;백계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0-28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removal efficiency of $NH_4-N$ using the soil column. Soil, oyster shell and natural zeolite were used as a supporting media of soil column. Removal efficiencies of $NH_4-N$ were $35.9\%,\;41\%\;and\;93.4\%$ for the soil column packed with soil, natural $zeolite(20\%)$ and oyster $shell(20\%)$ at HRT of 72 hours,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20\%$ oyster shell to the soil accelerated nitrification in soil column. The influent ammonia nitrogen was mostly converted to nitrate nitrogen in the soil column and little ammonia nitrogen was found in the effluent. When the influent $NH_4-N$ concentration was 200 mg/l, the NIL-N removal was decreased at HRT of 48 hours, while nitrifi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mechanical aeration. It was suggested that nitrification from higher $NH_4-N$ concentration was more affected by aeration in soil column process. The number of nitrifiers was approximately in a level of about $10^6\;MPN/g{\cdot}soil$ in the soil column mixed with oyster shell ($20\%$).

Dicyandiamide(DCD)가 고형(固形) 축산폐기물 중(中) 무기화(無機化)된 질소(窒素)의 경시적(經時的) 방출(放出) 및 억제(抑制)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Dicyandiamide (DCD) on the Mineralization of Nitrogen from Soild-Animalwaste)

  • 윤순강;우기대;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48
    • /
    • 1993
  •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 억제제(抑制劑) Dicyandiamide(DCD)가 축산폐기물 중 유기질소(有機窒素)의 무기화(無機化) 방출율(放出率)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생돈분(生豚糞)과 발효돈분(醱酵豚糞)에 DCD를 처리하고 $30^+/-1^{\circ}C$에서 10주간(週間) 항온(恒溫)하면서 매 1주(週) 간격으로 돈분의 pH와 $NH_4-N$, $NO_3-N$을 분석하여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 농도(濃度)의 경시적(經時的) 방출(放出) 양상(樣相)과 $NO_3-N$ 생성억제(生成抑制)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온기간별(恒溫期間別) 돈분(豚糞)의 pH는 8이상으로 높았으며 DCD를 처리하지 않은 생(生)돈분과 발효돈분(醱酵豚糞)에서 pH는 각각 0.04, 0.06 unit/week로 증가되었다(P<0.05). 항온(恒溫) 1주(週) 만에 생돈분(生豚糞) 중 유기질소(有機窒素)의 20.1%인 2,473ppm이 $NH_4-N$으로 무기화되었으나 발효돈분(醱酵豚糞)에서는 항온 2주(週)까지 $NH_4-N$ 농도가 항온(恒溫) 전(前)과 차이가 없었으며 외형적(外形的)인 무기화작용(無機化作用)은 발견할 수 없었다. 생돈분(生豚糞)에서 항온기간(恒溫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른 $NH_4-N$ 농도(濃度) 손실율(損失率)은 DCD 처리시 61.8ppm $NH_4-N$/week, 그리고 DCD 무처리에서는 72.3ppm $NH_4-N$/week로 $NH_4-N$의 형태적 변화가 신속히 진행되었다. DCD 처리(處理)에 따른 $NO_3-N$ 생성억제(生成抑制) 효과는 생돈분에서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성(有意性)있게 나타났으나($r=0.79^{**}$), 발효돈분(醱酵豚糞)에서는 효과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NH_4-N$ 농도 손실율(損失率)은 생돈분(生豚糞)에서는 1차(次) 회귀(回歸)에 그리고 발효돈분(醱酵豚糞)에서는 2차(次) 회귀(回歸)에 유의성(有意性)있게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만경강과 그 인근 시설재배지 지하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Season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of Mankyeong River and Groundwater at Controlled Horticulture Region)

  • 이경보;이덕배;강종국;김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3-231
    • /
    • 1999
  • 1. 만경강 수계 수질변화 만경강 수계의 농업용수의 수질 변화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94, '95년, '97년도 4월에서 9월까지 13개지점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NH_4-N$, $SO{_4}^{2-}$, $Cl^-$의 농도는 4월에 가장 높았으며 $NO_3-N$는 8월에 높았다. COD 함량은 고온기인 9월에 높게 나타났다. 만경강 주요지천중 $NH_4-N$$SO{_4}^{2-}$ 이온이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만경강 중류(Mk-8), 고산천(Mk-9) 그리고 소양천(Mk-11)을 제외하고는 만경강 주요 지천은 농업용수로서 부적당하였다. 만경강 하류(Mk-2, Mk-3)와 전주천(Mk-12) 그리고 삼천천(Mk-13)은 도시생활하수와 산업 폐수에 의해 오염도가 높았으며, 익산천(Mk-6)은 양돈 오수에 의해 오염도가 증가되었다. 만경강의 이온들의 당량합은 산업폐수와 생활하수가 다량 유입되는 만경강 하류인 유천 갑문(Mk-3)이 가장 높았으며 음이온의 당량은 $SO{_4}^{2-}$, $Cl^-$, $NO{_3}^-$, $PO{_4}^{3-}$ 순으로 많았고 양이온은 $Na^+$, $Ca^{2+}$, $NH{_4}^+$, $Mg^{2+}$, $K^+$ 순이었다. 2. 시설원예지 지하수중 화학성분 변화 만경강유역 인근에 있는 시설원예 주산단지에서 사용하는 지하수 수질을 '94년부티 '98년까지 지하수심, 조사시기 영농형태, 경작연수별로 검토하였다. 채수수심이 깊어질수록 $NH_4-N$, NO-N함량이 낮아졌으며, $SO{_4}^{2-}$$Na^+$는 10~15m 이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지하수중 $NH_4-N$, $NO_3-N$, $PO{_4}^{3-}$, $SO{_4}^{2-}$, $Na^+$, $Cl^-$ 함량기에 비해 갈수기에 높았다. 시설원예연작에 비해 미나리 윤환재배로 지하수중 $NH_4-N$, $NO_3-N$, $PO{_4}^{3-}$, $Na^+$, $Cl^-$함량이 낮아졌다. 완주군 용진면은 지하수중 $NO_3-N$ 함량이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하였고, $SO{_4}^{2-}$ 농도는 완주군 용진면, 완주군 삼례면 지역이 타지역보다 높았고 익산시 석탄 등은 지하수중 $PO{_4}^{3-}$, $Na^+$, $Cl^-$ 함량이 타지역보다 높았다.

  • PDF

담수조건에서 토양의 표면에 시용된 요소태 질소의 행동에 미치는 Methanol의 영향 (Effect of Methanol on the Behavior of Urea-N Applied to the Soil Surface under Submerged Condition)

  • 이상모;류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9-107
    • /
    • 1997
  • 담수토양에서 이분해성 유기물 (methanol)이 표면에 시용된 요소로 부터 유래하는 요소태 질소 (Urea-N)와 암모늄태 질소 ($NH_4-N$) 및 질산태 ($NO_3-N$) 질소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에 요소를 $150kg\;N\;ha^{-1}$ (관행구)와 $300kg\;N\;ha^{-1}$ (배비구)의 수준으로 처리하고 이분해성 유기물인 메탄올 ($CH_3OH$)을 2, 4 및 8 ml 처리한 후 30일 동안 담수 항온시키면서 표면수와 토양의 pH, Urea-N, $NH_4-N$$NO_3-N$의 농도를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수 10일째에 관행구와 배비구의 표면수에서는 Urea-N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중 Urea-N은 관행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배비구에서는 메탄올을 8 ml 처리한 경우에 담수 10일째에 $4.7{\mu}g\;g^{-1}$의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표면수의 $NH_4-N$ 농도는 무처리 0.5-3.5, 관행구 4.1-12.1 및 배비구 $7.2-20.5{\mu}g\;ml^{-1}$의 범위로서 배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 처리량이 증가할 수록, 담수시간이 경과할 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의 $NO_3-N$ 농도는 무처리 1.7-6.7, 관행구 2.2-7.3 및 배비구 $2.8-7.8{\mu}g\;g^{-1}$로서 거의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을 처리량에 따른 토양의 $NO_3-N$ 농도의 큰 차이가 없었으며, 담수시간이 경과할 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표면수와 토양의 $NH_4-N$ 총량은 배비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 처리량이 증가할 수록 $NH_4-N$ 총량은 감소하였다. 담수시간 별로는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담수 20일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으로서 토양의 $NH_4-N$ 농도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표면수와 토양의 $NO_3-N$ 총량은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메탄올을 2 ml 처리한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메탄올을 4와 8 ml 처리한 경우에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담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NO_3-N$ 총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