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_s$

검색결과 53,707건 처리시간 0.074초

PROPERTIES OF INDUCED INVERSE POLYNOMIAL MODULES OVER A SUBMONOID

  • Cho, Eunha;Jeong, Jinsu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0권3호
    • /
    • pp.307-314
    • /
    • 2012
  • Let M be a left R-module and R be a ring with unity, and $S=\{0,2,3,4,{\ldots}\}$ be a submonoid. Then $M[x^{-s}]=\{a_0+a_2x^{-2}+a_3x^{-3}+{\cdots}+a_nx^{-n}{\mid}a_i{\in}M\}$ is an $R[x^s]$-module. In this paper we show some properties of $M[x^{-s}]$ as an $R[x^s]$-module. Let $f:M{\rightarrow}N$ be an R-linear map and $\overline{M}[x^{-s}]=\{a_2x^{-2}+a_3x^{-3}+{\cdots}+a_nx^{-n}{\mid}a_i{\in}M\}$ and define $N+\overline{M}[x^{-s}]=\{b_0+a_2x^{-2}+a_3x^{-3}+{\cdots}+a_nx^{-n}{\mid}b_0{\in}N,\;a_i{\in}M}$. Then $N+\overline{M}[x^{-s}]$ is an $R[x^s]$-module. We show that given a short exact sequence $0{\rightarrow}L{\rightarrow}M{\rightarrow}N{\rightarrow}0$ of R-modules, $0{\rightarrow}L{\rightarrow}M[x^{-s}]{\rightarrow}N+\overline{M}[x^{-s}]{\rightarrow}0$ is a short exact sequence of $R[x^s]$-module. Then we show $E_1+\overline{E_0}[x^{-s}]$ is not an injective left $R[x^s]$-module, in general.

토양염농도에 따른 감자 품종들의 생장특성 (Physiological Response of Potato Variety to Soil Salinity)

  • 김선;양창휴;정재혁;최원영;이규성;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5-90
    • /
    • 2013
  • 제염중인 간척지 토양에 감자재배 가능성을 검토코자 새만금 간척지 토양을 대조구를 포함한 4수준의 염농도로 조정하여 충진한 포트에 5개의 감자 품종을 식재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토양염농도에 따른 감자 입모는 4.8 dS $m^{-1}$까지 결주없이 균일하게 입모 되었다. 염농도별 감자 출현소요일수는 숙전토양 비하여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3-4일이 지연되었고, 3.2 dS $m^{-1}$에서는 6-10일이, 4.8 dS $m^{-1}$에서는 7-13일이 지연되었다. 2. 토양염농도에 따른 경수는 숙전토양에 비해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각각 14%-58%가 감소되었으며, 이후 토양염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가 심했다. 초장은 주당 경수가 적었을 때 커지는 경향으로 염농도보다 경수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3. 괴경 수량은 대조구 대비 1.6 dS $m^{-1}$일때 33.7%, 3.2 dS $m^{-1}$일때 59.5%, 4.8 dS $m^{-1}$에서는 79.3% 가 감소되었다. 4.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수량의 감소가 시작되는 염농도를 분석한 결과 추동은 1.2 dS $m^{-1}$, 추백은 1.8 dS $m^{-1}$, 추강과 추영은 1.9 dS $m^{-1}$, 그리고 수미는 2.0 dS $m^{-1}$ 이었고, 수량의 50%가 감소되는 염농도는 추백은 2.4 dS $m^{-1}$, 추동 2.45 dS $m^{-1}$, 추강 2.81 dS $m^{-1}$, 추영 3.03 dS $m^{-1}$, 수미는 3.29 dS $m^{-1}$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간척지 재배에 적당한 감자품종은 수미로 판단된다.

보행 속도 변화에 따른 발목 관절의 운동학적 분석과 하퇴 근육의 근전도 분석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ankle joint and EMG analysis of the lower limbs muscle for the different walking speed)

  • 문곤성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7-1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inematic variables of ankle joints and EMG signal of the lower limbs muscle activity for the different walking speed. The subjects were 6 males of twenties.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walking speed-0.75m/s, 1.25m/s, 1.75m/s. The walking performances were filmed by high speed video camera and EMG signal was gained by ME3000P8 Measurement Unit.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mius medial head(GM), Gastrocnemius lateral head(GL), Ssoleus(SO) were selected for th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of the ankle joi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gait cycle, The time parameters for the phases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out the terminal stance phase and terminal swing phase for the different walking speed. 2. The angle of ankle joi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time point and MDF, MPF but increasing walking speed the angle had the increasing pattern slightly. 3. The angular velocity of ankle joint wa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for LHC, RTO, RKC, LHU, MPF and MDF point along the walking speed. 4. TA was showed about 2-3 times muscle activity at the 1.75m/s than 1.25m/s in some phases. And it was showed the similar muscle activity between the 0.75m/s and 1.25m/s but, showed a little much muscle activity in the 0.75m/s. GM was showed about 2-3 times muscle activity in the 1.75m/s than 1.25m/s, and even much muscle activity at the 0.75m/s than 1.25m/s in some phases. GL was showed increasing pattern of muscle activity specially in the initial swing phase as the walking speed increased. SO was showed about 3 times muscle activity in the 1.75m/s than 1.25m/s during the plantarflexion of ankle joint. It was showed the similar muscle activity between the 0.75m/s and 1.25m/s but, showed a little much muscle activity in the 1.25m/s.

경주시 감산사단층 부근에서의 탄성파 굴절법 조사

  • 김기영;김동훈
    • 지구물리
    • /
    • 제5권1호
    • /
    • pp.41-50
    • /
    • 2002
  • 경주시 감산사 분근에서 발견된 제4기 단층 부근의 기반암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188m 측선의 굴절파 자료를 4m 간격으로 획득하였으며, 토모그래피 역산을 통하여 350 m/s, 600 m/s, 1,100 m/s, 2,400 m/s의 속도를 갖는 4개 층을 구명하였다. 주변지질을 감안하여 속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원점에서 40 m 부근에 역단층이 존재하며 북북서쪽으로 단층파쇄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Microcystis 3종(M. aeruginosa, M. ichthyoblabe, M. viridis)의 성장과 microcystins 생성에 대한 온도 및 조도의 영향 (Effects of the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owth and Microcystin Production of Three Species of Microcystis (M. aeruginosa, M. ichthyoblabe, M. viridis))

  • 이경락;정원화;김진희;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400-408
    • /
    • 2010
  • 수화가 발생한 영천댐과 안계댐에서 분리한 Microcystis (M. aeruginosa, M. ichthyoblabe, M. viridis) 3종의 온도 및 조도에 대한 성장률과 microcystins 생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배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성장률은 3종 모두 $30^{\circ}C$ 이상에서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나 microcystins은 $20^{\circ}C$에서 최대로 생성되었으며, 온도가 증가할수록 microcystins 생성은 감소하였다. Microcystis aeruginosa와 M. ichthyoblabe은 $70\;{\mu}mol\;m^{-2}\;s^{-1}$의 광 조건에서 최대성장률을 나타낸 반면, M. viridis은 $35\;{\mu}mol\;m^{-2}\;s^{-1}$의 광 조건에서 최대성장률을 나타내었다. Microcystis aeruginosa, M. ichthyoblabe 및 M. viridis는 각각 $120\;{\mu}mol\;m^{-2}\;s^{-1}$, $70\;{\mu}mol\;m^{-2}\;s^{-1}$ 그리고 $35\;{\mu}mol\;m^{-2}\;s^{-1}$의 광 조건에서 최대의 microcystins를 생성하였다. 온도와 조도에 대한 이들 3종의 microcystins 생성정도와 microcystins 타입은 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 종 특이성을 보였다.

농소읍 부근 울산단층대에서의 P파 및 S파 탄성파 조사 연구 (P- and S-wave seismic studies in the Ulsan fault zone near Nongso-Eup)

  • 이창민;김기영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100
    • /
    • 2006
  • 울산단층의 지하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울산시 농소읍 부근에서 750 m의 측선을 따라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였다. 5 kg의 해머를 지표에 비스듬히 설치된 알루미늄 플레이트에 타격하여 P파와 S파를 동시에 발생시켰으며, 3 m 간격의 10 Hz 3성분 지오폰 16개로 수신하였다. P파 굴절파 자료는 토모그래피 방식으로 역산하였으며, 반사파 자료는 통상적인 처리과정에 경사경로시차보정, 구조보정 등의 과정을 추가하였다. P파 굴절파로부터 구한 속도정보와 S파 및 P파 반사파 중합단면을 해석하여 4개 층을 구분하였다. 상부로부터 각 층의 P파 속도는 $300{\sim}1100\;m/s$, $1100{\sim}1700\;m/s$, $1700{\sim}2700\;m/s$, 2700 m/s 이상이고, 상부 3개 층의 두께는 각각 평균 3.9 m, 5.9 m, 4.4 m 정도이다. S파 중합단면은 10 m 이내의 지질구조 규명에 효과적이었다.

  • PDF

지하이동통로가 구비된 다기능 어도의 안정성 검토 (Stability Analysis of Multi-Functional Fishway with Underground Passage)

  • 이영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0-5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경북 구미시 봉곡천에 최근 건설된 다기능어도를 대상으로 SAP2000으로 구조 해석하기 위한 변수를 R/C Slab, R/C+S/C Slab 및 지하이동통로 규격(가로${\times}$세로)을 $1m{\times}0.2m$, $1m{\times}0.4m$, $1m{\times}0.6m$와 유속 0.8m/s, 1.2m/s, 1.6m/s으로 구분하여 해석한 결과와 봉곡천 설계식을 비교하여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봉곡천의 설계식 보다 R/C+S/C Slab 타입이 지하이동통로 출구부는 휨모멘트와 최대응력은 각각 28~54%, 26~50%, 측벽은 24~47%, 17~31%, 상부슬래브인 경우도 10~27%, 4~20%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최대응력과 휨모멘트가 R/C+S/C Slab 타입이 구조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지하통로는 휨모멘트와 최대 응력이 27%, 25%, 측벽은 24%, 15% 상부슬래브는 14%, 10%의 보완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지하이동통로 규격이 봉곡천 규격과 동일한 $1m{\times}0.4m$일 때가 $1m{\times}0.2m$, $1m{\times}0.6m$ 보다 안정성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석 및 분석 결과를 근거로 다기능어도 시공 시 기본 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건축용 목재의 열 유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Hazard Assessment of Building Wood)

  • 우태영;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6-14
    • /
    • 2018
  • 본 연구는 건축용 목재의 화재위험성에대하여 열방출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열방출 성질은 cone calorimeter (ISO 566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4종의 목재를 사용하였다. 외부 열유속 $25kW/m^2$에서 연소시킨 후 측정된 착화시간은 35 s부터 55 s까지였다. 나왕(lauan)과 적송의 착화 시간은 각각 54 s, 55 s로 가장 지연된 값으로 얻어졌다. 최대열방출율은 $156.87{\sim}235.1kW/m^2$ 였고 화재초기의 위험성은 가문비나무가 가장 높았다. 삼나무의 평균유효연소열은 19.1 MJ/kg였고 시료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FP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2468s{\cdot}m^2/kW$) < 적송($0.2339s{\cdot}m^2/kW$) < 가문비나무($0.2308s{\cdot}m^2/kW$) < 삼나무($0.2231s{\cdot}m^2/kW$) 순으로 높았고 화재성장지수(FG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5088kW/m^2{\cdot}s$) < 적송($0.511kW/m^2{\cdot}s$) < 삼나무 ($2.8522kW/m^2{\cdot}s$) < 가문비나무($3.0662kW/m^2{\cdot}s$) 순으로 높았다. 그러므로 목재의 열방출 특성에 대한 화재위험성은 가문비나무와 삼나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CANONICAL IDEALS IN SEMIGROUPS

  • Kwak, Dong-Je;Kim, Myeong-Og;Park, Young-Soo
    • 대한수학회보
    • /
    • 제37권3호
    • /
    • pp.577-586
    • /
    • 2000
  • For a grading monoid S, we prove that (1) if (S, M) is a valuation semigroup, then M is an m-canonical ideal, that is, an ideal M such that M : (M:J)=J for every ideal J of S. (2) if S is an integrally closed semigroup and S has a principal m-canonical ideal, then S is a valuation semigroup, and (3) if S is a completely integrally closed and S has an m-canonical ideal I, then every ideal of S is I-invertible, that is, J+(I+J)=I for every ideal J of S.

  • PDF

그물어구의 유수저항과 근형수칙 -1. 유수저항의 해석 및 평면 그물감의 자료에 의한 검토- (Flow Resistance and Modeling Rule of Fishing Nets -1. Analysis of Flow Resistance and Its Examination by Data on Plane Nettings-)

  • 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3-19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그물을 그것의 영역권 내로 물을 유입한 후 영역권 밖으로 투과시키는 하나의 유공성 구조물로 간주하고, 벽 면적이 S되는 그물이 유속 v에서 받는 저항 R을 $R=kSv^2$으로 취하여, 레이놀즈수를 $R_e$, 그물 입구의 단면적을 $S_m$, 흐름에 수직인 평면에 대한 그물의 총 투영면적을 $S_m$이라 할 때 저항계수 k를 $$k=c\;Re^{-m}(\frac{S_n}{S_m})n(\frac{S_n}{S})$$으로 표시한 후, 지금까지 행해진 평면 그물감에 대한 저항 실험 결과들을 이용하여 이 식의 타당성과 각계수 값을 함께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발의 지름이 d, 그물코의 크기가 21, 전개각이 $2\varphi$ 그물감의 $R_e$에 관한 대표치수를 그물코의 면적에 대한 발의 체적의 비 $\lambda$, 즉 $$\lambda={\frac{\pi\;d^2}{21\;sin\;2\varphi}$$로 택하였을 때, c와 m의 값은 각각 $240(kg\;\cdot\;sec^2/m^4)$ 및 0.1로 일정해졌고, n의 합은 1.2로서 1.0보다 컸기 때문에 매듭과 발에서 생기는 반류가 그물코 속으로의 물의 투과를 나쁘게 하여 저항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R_e$가 커서 그 영향이 무시되는 경우는 $cR_e\;^{-m}$의 값이 상수가 되는데, 그 값은 흐름에 대한 그물감의 영각 $\theta$$ 45^{\circ}<\theta\leq90^{\circ}$의 구간에 있을 때 100$(kg\cdot sec^2/m^4)$으로 주어졌고, $ 0^{\circ}<\theta\leq45^{\circ}$의 구간에 있을 때는 후류의 영향 때문에 $100(S_m/S)^{0.6}\;(kg\cdot\;sec^2/m^4)$으로 주어 졌다. 그런데, 평면 그물감에 대 한 $S_m$$S_n$의 값은 각각 $$S_m=S\;sin\theta$$$$S_n=\frac{d}{I}\;\cdot\;\frac{\sqrt{1-cos^2\varphi cos^2\theta}} {sin\varphi\;cos\varphi} \cdot S$$로 주어지므로, 이들과 상기 c, m 및 n 값을 이용하면 평면 그물감의 저항계수 k가 구해지는데, $\theta=0^{\circ}$인 경우는 저항 특성 자체가 변하여 k가 그물감 표면의 조도에 따라 달라졌으므로 $$k=9(\frac{d}{I\;cos\varphi})^{0.8}$$으로 주어졌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를 실제 그물에 적용할 때는 $\theta=0^{\circ}$ 때의 것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전기한 c 및 m 값도 불충분한 자료에 의한 것들이기 때문에 $R_e$의 영향이 무시되는 경우의 것만을 이용하면, 그물 각부의 $\theta$$45^{\circ}<\theta\leq90^{\circ}$의 구간 또는 $0^{\circ}<\theta\leq45^{\circ}$의 구간에 들어오는 그물의 저항계수 $k(kg\cdot sec^2/m^4)$$$k=100(\frac{S_n}{S_m})^{1.2}\;(\frac{S_m}{S})$$ 또는 $$k=100(\frac{S_n}{S_m})^{1.2}\;(\frac{S_m}{S})^{1.6}$$으로 주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