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_{2/3}TiO_{3}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32초

La$_2O_3$-변형 BaTi$O_3$의 안정한 결함구조 (Stable Defect Structure of La2O3-Modified BaTiO3)

  • 김정수;박휴범;안태호;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9-318
    • /
    • 1994
  • La$_2O_3$-변형 BaTi$O_3$의 안정한 결함구조와 단일상 영역을 X-선 회절분석기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La$_2O_3$-변형 BaTi$O_3$의 안정한 결함구조는 La$^{3+}$ 이온이 격자구조내의 Ba$^{3+}$ 이온을 치환하고 Ti빈자리가 전하 불균형을 보상하기 위한 결함으로 생성된 [($Ba^x_{Ba})_{1-2x}(La{\cdot}_{Ba})_{2x}][Ti^x_{Ti})_{1-x/2}(V""_{Ti})_{x/2}]O_3$이다. 안정한 결함구조가 형성되도록 BaTi$O_3$에 La$_2O_3{\cdot}3/2TiO_3$를 혼입할 때 단위격자는 약 3 mol%가 혼입될 때부터 정방정에서 입방정으로 변하였고, 고용한계는 약 14 mol%이었다. La2$O_3{\cdot}3/2TiO_2$를 고용한계 이상으로 혼입할 때는 이차상으로 La_4Ba_2Ti_5O){18}$가 생성되었다. La$_2O_3$-변형 BaTi$O_3$ 조성에서 BaO가 과량 존재하면 소결성이 나쁘지만, Ti$O_2$가 과량으로 존재하면 액상소결에 의하여 소결성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Al^{3+}$, $Pr^{3+}$가 첨가된 Perovskite $La_{2/3}TiO_{3}와 Pyrochlore $La_{2}Ti_{2}O_{7}$의 발광 특성 (Photoluminescence Behavior of $Al^{3+}$, $Pr^{3+}$ Doped Perovskite-type $La_{2/3}TiO_{3}and Pyrochlore-type $La_{2}Ti_{2}O_{7}$)

  • 박상미;박정규;김창해;박희동;장호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806-810
    • /
    • 2001
  • $La_{2/3}TiO_3$, $La_2Ti_2O_7$는 유전성을 갖는 특징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perovskite 구조의 $La_{2/3}TiO_3$와 pyrochlore 구조의 $La_2Ti_2O_7$를 모체로 하여 $Al^{3+},\;Pr^{3+}$가 첨가된 형광체의 발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구조 모두 $Pr^{3+}의\;^1D_2{\rightarrow}^3H_4$ 전이에 의한 적색 발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perovskite 구조의 $La_{2/3}TiO_3$:Pr 형광체의 에너지 전이 과정과 그 임계거리에 대한 조를 통해 에너지 전달체로서의 $Al^{3+}$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또한, perovskite 구조의 $La_{2/3}TiO_3$와 pyrochlore 구조의 $La_2Ti_2O_7$ 사이의 발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rap-involved process와 charge transfer band를 조사하였다.

  • PDF

La2O3가 첨가된 Pd/TiO2 촉매의 개발 및 H2 상온산화 반응에서의 성능 향상 연구 (Development of Pd/TiO2 Catalysts with La2O3 Addition and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H2 Oxidation at Room Temperature)

  • 이동윤;김성철;이상문;김성수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74-67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상온 조건에서 추가적인 에너지원 없이 H2 산화가 가능한 Pd/TiO2 촉매를 제조하였고, 지지체인 TiO2의 비표면적은 Pd/TiO2 촉매의 H2 산화 반응 성능과 비례하지는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촉매의 물성 변화에 의한 성능 영향 평가를 위하여 La2O3를 Pd/TiO2 촉매에 첨가하였다. La2O3를 TiO2에 함량별로 첨가하여 Pd/La2O3-TiO2를 제조하였고, CO chemisorption 분석을 진행하였다. Pd/TiO2(G) 촉매의 전환율(14% at 0.5% H2)과 비교하여 Pd/La2O3-TiO2 촉매가 74% 전환율로 5배 이상의 성능 증진이 나타났다. Pd/La2O3-TiO2 촉매는 활성금속인 Pd의 metal dispersion이 클수록 H2 산화반응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첨가되는 La2O3가 10%를 초과하게 되면 촉매 성능이 다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Pd/La2O3-TiO2 촉매의 물성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입되는 H2가 0.3~0.5% 농도 조건까지이며, 1% 이상의 H2 농도부터는 물질전달이 촉매 반응속도를 지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La(Mg_{1/2}Ti_{1/2})O_3$$La(Mg_{1/2}Zr){1/2})O_3$에서의 양이온 규칙과 고주파 유전특성 (Cation Ordering and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Complex Perovskite Compounds $La(Mg_{1/2}Ti_{1/2})O_3$ and $La(Mg_{1/2}Zr){1/2})O_3$)

  • 조서용;고경현;홍국선;박순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0-336
    • /
    • 1997
  • 1:1 복합 페로스카이트 물질인 La(Mg1/2Ti1/2)O3 and La(Mg1/2Zr1/2)O3의 양이온 규칙 존재와 고주파 유전특성을 x선 회절과 회로망분석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두 물질 모두 양이온 규칙이 없으며 입방정 구조를 갖는다고 보고되었지만, 본 연구에서의 x선 분석에서는 양이온 규칙을 나타내는 초격자회절선과 비입방정 구조를 의미하는 기본회절선의 split이 발견되었다. 고주파 영역에서의 유전율은 La(Mg1/2Ti1/2)O3의 경우 29,La(Mg1/2Zr1/2)O3는 24, 품질계수(Q*f)는 각각 73000, 49000이다. 공진주파수 온도계수는 La(Mg1/2Ti1/2)O3의 경우 - 65ppm/$^{\circ}$C,La(Mg1/2Zr1/2)O3는 -80ppm/$^{\circ}$C로 음의 값을 가진다.

  • PDF

$0.96MgTiO_3-0.04SrTiO_3+xLa(0{\sim}1.0wt%)$ 세라믹스의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0.96MgTiO_3-0.04SrTiO_3+xLa(0{\sim}1.0wt%)$ Ceramics)

  • 박보근;임성수;김강;이영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18-120
    • /
    • 2001
  • The $0.96MgTiO_3-0.04SrTiO_3+xLa(0{\sim}1.0wt%)$ ceramics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mixed oxide metho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0.96MgTiO_3-0.04SrTiO_3+xLa(0{\sim}1.0wt%)$ ceramics with sintering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by the XRD and SEM. From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it was found that the perovskite $SrTiO_3$ and ilmenite $MgTiO_3$ structures were coexisted in the $0.96MgTiO_3-0.04SrTiO_3$ ceramics. The second phase of $Sr_{0.5}LaTi_2O_6$ was shown with addition of the $La_2O_3$. The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_r$), $Q{\times}f$ value and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the $0.96MgTiO_3-0.04SrTiO_3+0.2La$ ceramics were 21. 41, 39991, $-3.3ppm/^{\circ}C$, respectively.

  • PDF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LaTi_{0.8}V_{0.2}O_3$ 화합물의 결정구조 분석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LaTi_{0.8}V_{0.2}O_3$ compound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y)

  • 김좌연;윤의중;박경순;심규환;류선윤;김유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67-572
    • /
    • 1998
  • 아크 용융을 사용하여 예비 건조된$La_2O_3,\;V_2O_3,\;TiO_2$,Ti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LaTi_{0.8}V_{0.2}O_3$ 고용체의 결정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과 컴퓨터 이미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컴퓨터 이미지 시뮬레이션은 multislice 방법으로 여러 시편 두께와 초점 거리에서 실시하였다. $LaTi_{0.8}V_{0.2}O_3$ 의 결정구조는 Pnma 공간군을 가진 GdFeO3 형태의 사방정계$(a\approx5.58{\AA},\;b\approx7.89{\AA},\;and\;c\approx5.58{\AA})$로 결정되었다. $LaTi_{0.8}V_{0.2}O_3$에서 Ti와 V 원자의 규칙화에 대한 증거를 찾아 볼 수 없었다.

  • PDF

박리화와 재적층법을 통한 K2La2Ti3O10부터 유전성 Bi4-xLaxTi3O12(x~2)의 합성 (Preparation of dielectric Bi4-xLaxTi3O12 (x~2) from K2La2Ti3O10 via exfoliation and restacking routes)

  • 전아영;고지은;김종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19
    • /
    • 2013
  • 본 연구팀에서는 층상형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Ruddlesden-Popper 구조의 $K_2La_2Ti_3O_{10}$의 박리화를 통해 Aurivillius 구조의 $Bi_{4-x}La_xTi_3O_{12}$(x~2)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을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박리화된 란타늄 티타네이트 나노시트는 BiOCl 나노결정구조와 반응시켜 $Bi_{4-x}La_xTi_3O_{12}$(x~2) 결정을 얻어내었다. 박리화된 나노시트 현탁액은 $K_2La_2Ti_3O_{10}$으로부터 수소화된 $H_2La_2Ti_3O_{10}$의 층간에 에틸아민을 삽입시킴으로써 얻어내었다.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을 통해, 란타늄 티타네이트가 에틸아민에 의해 박리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선 회절분석(XRD)을 통해, 박리화된 란타늄 티타네이트와 BiOCl의 재적층과정을 거쳐 $700^{\circ}C$ 이상의 열처리 조건에서 $Bi_{4-x}La_xTi_3O_{12}$(x~2)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ynthesis of $PbLaTiO_{3}$: Mn powders by hydrothermal method

  • Park, Sun-Min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67
    • /
    • 2003
  • Synthesis of $PbLaTiO_{3}$ : Mn powders containing La and Mn was carried out using $PbO,\;TiO_{2},\;La_{2}O_{3}\;and\;MnO_{2}$ as starting materials by hydrothermal method. In the synthesis of single phase $PbLaTiO_{3}$ : Mn powder containing La and Mn, the optimal x value corresponding to La substitution was 0.01 which corresponds to $0.99(Pb_{1-x}La_{2x/3}TiO_{3})+0.01MnO_{2}$.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the powder synthesis were 8 M-KOH solvent of hydrothermal solvent, $270^{\circ}C$ of reaction temperature and 24 hrs of run time. It was found that the synthesized powders had spherical morphology with average particle size of 70 nm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5.5\;m^{2}/g$.

La2O3첨가에 따른 무연 Bi(Na,K)TiO3-SrTiO3 세라믹스의 압전 특성 (Piezoelectric Properties of Pb-free Bi(Na,K)TiO3-SrTiO3 Ceramics with the Amount of La2O3 Addition)

  • 류주현;이현석;박창엽;정광현;이덕출;정영호;홍재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830-834
    • /
    • 2004
  • In this study, lead-free pirzoelectric ceramics were investigated for pressure sensor applications as a function of the amount of ${La}_2{O}_3$ addition at $Bi(Na, K)Ti{O}_3-SrTi{O}_3$system.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addition, the density and dielectric constant increased up to 0.9 wt% ${La}_2{O}_3$ addition and decreased above 0.9 wt% ${La}_2{O}_3$addition.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 $K_{P}$) showed the maximum value at 0.2 wt% ${La}_2{O}_3$addition and decreased above 0.2 wt% ${La}_2{O}_3$ addition.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K)}_P$, density, dielectric constant$(\varepsilon_\Gamma)$, piezoelectric constant$(d_33)$ and curie temperature$(T_C)$ showed optimum value of 0.40, 5.75 g/㎤, 768, 215 pC/N and 320 $^{\circ}C$ at 0.2 wt%${La}_2{O}_3$addition, respectively.

CaTiO$_3$-La(Mg$_{2}$3/Ta$_{1}$3/)O$_3$ 계의 고주파 유전특성 (Microwave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CaTiO$_3$-La(Mg$_{2}$3/Ta$_{1}$3/)O$_3$ System)

  • 박찬식;이경호;김경용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5-81
    • /
    • 1999
  • $CaTiO_3$의 유전적 특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aTiO_3$에 복합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La(Mg_{2/3}Ta_{1/3})O_3$를 고용시켜 마이크로파 유전특성을 조사하였다. XRD분석을 통하여 $CaTiO_3$$ La(Mg_{2/3}Ta_{1/3})O_3$를 첨가하면 고용체가 형성되며, 구조적으로는 Orthorhombic구조에서 $ La(Mg_{2/3}Ta_{1/3})O_3$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사정 대칭의 고용체형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x)$CaTiO_3+xLa(Mg_{2/3}Ta_{1/3})O_3$에서 x값이 0.3일 때 유전율 49, 온도계수+$14ppm/^{\circ}C$, $Q \times f_0$ 값은 17000인 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