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4$

검색결과 40,655건 처리시간 0.064초

Effects of Duroc Breeding Lines on Carcass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 Choi, Jung-Seok;Jin, Sang-Keun;Choi, Yang-Il;Lee, Jae-J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0-85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rcass composition and pork quality of Duroc breeding lines in Korea. A total of 200 Duroc pigs were used, and those were originated from four different great-grandparent (GGP) breeding stock farms (L1: N farm, L2: W farm, L3: S farm, L4: R farm). The carcasses of pigs from these farms were collected, and meat quality traits were evaluated. L1 and L2 had smaller carcass weights and thin backfat, whereas L3 and L4 had heavy carcass weights and thick backfat. L3 and L4 had higher contents of fat and protein than L1 and L2. For th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L1, L2, and L4 had higher pH values than L3. In addition, L4 had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than the other lines. L4 had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scores with regard to both juiciness and flavor. Consequently,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ork quality information from domestic Duroc breeding stock lines could be used to effectively improve pork quality in Korea.

4종 촤화류에 대한 pH 수준별 처리가 잎의 완충능력, chlorophyll 함량 및 무기성분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Solution on Acid Buffering Capacity, Chlorophyll Content and Nutrient Leaching in the Leaves fo 4 Herb Species)

  • 김학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7-20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solution(SAS) on acid buffering capacity, chlorophyll content and butrient leacking in 4 herb species(Petunia hybrida Vilm, Gomphrena globosa L. Celosia cristat L. Salvia officinallis L) . The acid buffering capacity in the leves was increased in the treatment of pH 3.0 in Celosia L., whereas it was increased at pH 4.0 in Petunia Petunia hybrida Vilm. and Gomprean globosa L.. But, the acid buffering capacity of the leaves did not work at ph 2.0 treatment in 4 herb species. With decreasing pH level, the chlorophyll content of Petunia hybrida Vilm. and Gomphrena globosa L. Was markedly decreased than that of Gelosia cristata L. and Savia officinalis L. As the pH levels decreased from 5.6 to 2.0 the nutrient leaching from leav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4 herb species. In pH 4.0 and 5.6,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leaching from leaves were higher in Perunia hybrida Vilm. and Gomphrean globosa L. than Gelosia cristata L. and Salvia officinalis L., Based on the results, there was a great differences in response to SAS among the 4 herb species. Im general, Gelosia cristata L. and Salvia officinalis L. represented a higher tolerance to SAS Petunia hybrida Vilm, and Gomphrena globosa L..

  • PDF

마늘의 alcohol 침지 중 휘발성 향기성분과 침출유리아미노산 함량 (Elution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during Alcohol Soaking of Garlic(Allum sativum L.))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86-292
    • /
    • 2007
  • 마늘주의 산업화에 앞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마늘을 소주 등의 술에 침지하였을 때 마늘의 휘발성 기능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이 술로 침출되는 정도 및 형태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생마늘을 20% 주정에 5주간 침지하고 매주 휘발성 향기성분과 유리아미노산들이 침출되는 양적 및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L-arginine, L-alanine, L- proline, L-asparagine 및 L-serine이었으며, 유리 아미노산들 모두 침지 기간의경과에 따라 침출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threonine, L-proline, L-valine 및 L-leucine 등의 중성아미노산들과 방향족아미노산인 tyrosine과 phenylalanine은 3주 후부터 80% 이상 침출된 반면에, 산성, 염기성 및 함황아미노산들은 5주 후에도 80% 미만이었다. 생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2-vinyl-4H-1,3-dithiin, 3-vinyl-3,4-dihydro-1,2-dithiin, 3,5-diethyl-1,24-trithiolane, isobutyl isothiocyanate 및 diallyl sulfide 등의 황화합물들이 주요 성분들이었다. 생마늘로부터 주정으로 침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allyl alcohol, diallyl d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 diallyl trisulfide, 3,4-dimethoxyfuran의 5종이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3,5-diethyl-1,2,4-trithiolane는 계속 침출량이 증가하였지만 그 외 4종은 감소하였다. 침 지기간 중 furfural, 5-methylfurfural, 5-hydroxymethylfurfural, 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3-hydroxy-2-bytanone과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이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침출주에 대부분 축적되는 양상을 보였다.

`Ailsa Craig` 토마토 캘러스의 형태학적 특성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ilsa Craig' Tomato Callus and Effect on Plant Regeneration)

  • 성은수;왕명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53-256
    • /
    • 2007
  • `Ailsa Craig` 토마토 품종의 기내배양시 신초재분화의 최적조건을 밝히고자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서 캘러스 형성 및 신초 재분화에 사용된 배지조성은 6가지 조건으로 하였다. 기본 MS 배지에 zeatin 2 mg/l, zeatin 2 mg/l+IAA 0.1 mg/l, zeatin 2 mg/l+IAA 0.5 mg/l, zeatin 4 mg/l, 4 mg/l+IAA 0.1 mg/l, zeatin 4 mg/l+1AA 0.5 mg/l을 첨가하여 캘러스 및 신초 재분화율의 조건별 차이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zeatin 2 mg/l를 단독 배양한 조건에서 신초 재분화율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캘러스 형성률에 있어서는 큰 타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또한 조건별로 기내상태에 있는 캘러스의 형태적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캘러스 조직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zeatin 2 mg/l를 단독 배양한 조건에서 완전한 신초로 재분화 하기 위한 구형의 모형이 관찰되었으며, 나머지 조건의 캘러스는 쭈글쭈글한 형태의 캘러스가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들로 볼 때, 토마토 'Ailsa Craig'의 조직배양시 캘러스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는 완전한 구형의 캘러스 상태에서 신초재분화율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a Sequence Characteristic Amplified Region Marker linked to the L4 Locus Conferring Broad Spectrum Resistance to Tobamoviruses in Pepper Plants

  • Kim, Hyun Jung;Han, Jung-Heon;Yoo, Jae Hyoung;Cho, Hwa Jin;Kim, Byung-D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2호
    • /
    • pp.205-210
    • /
    • 2008
  •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linked to the $L^4$ locus conferring resistance to tobamovirus pathotypes in pepper plants, we performed AFLP with 512 primer combinations for susceptible (S pool) and resistant (R pool) DNA bulks against pathotype 1.2 of pepper mild mottle virus. Each bulk was made by pooling the DNA of five homozygous individuals from a T10 population, which was a near-isogenic $BC_4F_2$ generation for the $L^4$ locus. A total of 19 primer pairs produced scorable bands in the R pool. Further screening with these primer pairs was done on DNA bulks from T102, a $BC_{10}F_2$ derived from T10 by back crossing. Three AFLP mark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designated L4-a, L4-b and L4-c. L4-a and L4-c each underwent one recombination event, whereas no recombination for L4-b was seen in 20 individuals of each DNA bulk. Linkage analysis of these markers in 112 $F_2$ T102 individuals showed that they were each within 2.5 cM of the $L^4$ locus. L4-b was successfully converted into a simple 340-bp SCAR marker, designated L4SC340, which mapped 1.8 cM from the $L^4$ locus in T102 and 0.9 cM in another $BC_{10}F_2$ population, T101. We believe that this newly characterized marker will improve selection of tobamovirus resistance in pepper plants by reducing breeding cost and tim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Tetraaza Macrocycles Containing Two 3-Pyridylmethyl, 4-Pyridylmethyl, or Phenylmethyl Pendant Arms and Their Nickel(Ⅱ) and Copper(Ⅱ) Complexes: Effects of the Pendant Arms on the Complex Formation Reaction

  • Kang, Shin-Geol;Kim, Seong-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269-273
    • /
    • 2003
  • Th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2,13-bis(3'-pyridylmethyl) $(L^3)$, 2,13-bis(4'-pyridylmethyl) $(L^4)$, and 2,13-bis(phenylmethyl) $(L^5)$ derivatives of 5,16-dimethyl-2,6,13,17-tetraazatrcyclo$[16.4.0.^{1.18}0^{7.12}]$docosane are reported. The 3- or 4-pyridylmethyl groups of $[ML^3](ClO_4)_2\;or\;[ML^4](ClO_4)_2$ (M = Ni(Ⅱ) or Cu(Ⅱ)) are not involved in coordination, and the coordination geometry (square-planar) and ligand field strength of the complexes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ML^5](ClO_4)_2$, bearing two phenylmethyl pendant arms. However, the complex formation reactions of $L^3\;and\;L^4$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pyridyl groups, which can interact with a proton or metal ion outside the macrocyclic ring. The macrocycle $L^5$ exhibits a high copper(Ⅱ) ion selectivity against nickel(Ⅱ) ion; the ligand readily reacts with copper(Ⅱ) ion to form $[CuL^5]^{2+}$ but does not react with hydrated nickel(Ⅱ) ion in methanol solutions. On the other hand, $L^3\;and\;L^4$ form their copper(Ⅱ) and nickel(Ⅱ) complexes under a similar condition, without showing any considerable metal ion selectivity. The ligands $L^3\;and\;L^4$ react with copper(Ⅱ) ion more rapidly than does $L^5$ at pH 6.4. At pH 5.0, however, the reaction rate of the former macrocycles is s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The effects of the 3- or 4-pyridylmethyl pendant arms on the complex formation reaction of $L^3\;and\;L^4$ are discussed.

옥상녹화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Soil on the Soil Moisture and the Growth of Vitex rotundifolia for Green Roof)

  • 박준석;박지혜;주진희;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98-106
    • /
    • 2010
  • 본 연구는 옥상녹화 생태면적률 기준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식재지반이 토양수분과 순비기나무의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500{\times}500{\times}300mm$의 실험구에 토심 15cm와 25cm로 대별하였으며, 배합비율에 따라 $S_10$, $L_10$, $S_7L_3$, $S_5L_5$,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등 총 8가지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에서 9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상녹화 식재기반에 따른 토양수분함량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강우 시 상승한 반면, $S_10$, $S_7L_3$, $S_5L_5$ 실험구의 경우 수분함량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가 포함된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관리형 옥상녹화에 보수성이 높은 토양개량제 사용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비기나무의 생육실험 결과,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 실험구의 경우 생육이 양호하였다. $S_{10}$은 다른 실험구에 비해 미비한 성장을 보였으며, 이것은 낮은 토양수분함량과 유기물부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본다. $L_{10}$ 실험구는 토양수분함량 및 유기물은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낮은 성장량을 보인 것은 유기질비료의 낮은 토양산도와 과잉 양이온함량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심 15cm 실험구와 25cm 실험구를 비교해 보았을 때, 확연한 차이는 없었으나 토심 25cm 실험구에서 좀 더 원활한 생육을 보였다. 하지만 토심 15cm 실험구의 14일 무관수에서도 순비기나무가 고사하지 않고 생육 가능했던 점과 P6P2L2 이상의 피트모스 배합비에서 왕성한 생육이 이루어진 점을 미루어 볼 때, 저관리에 적합한 토양배합비는 인공토가 포함된 $P_6P_2L_2$, $P_5P_3L_2$, $P_4P_4L_2$로 파악할 수 있었다.

기질 농도에 따른 미생물전기분해전지의 운전 특성 (Effect of substrate concentration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 서휘진;김재일;기서진;안용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4호
    • /
    • pp.41-49
    • /
    • 2023
  • 본 연구는 주입 기질 농도에 따른 미생물전기분해전지 (Microbial electrolysis cell, MEC)의 운전성능을 조사하였다. 주입 기질 농도에 따른 MEC의 운전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6 개의 실험실 규모 MEC를 2, 4, 6 g/L Sodium acetate 조건으로 순서대로 주입 농도를 증가시켜 운전하였다. 전류밀도, 수소 생산량, SCOD 제거율을 분석하였고, 에너지 효율, cathodic hydrogen recovery를 계산하여 주입 기질 농도 별 MEC의 운전성능을 비교하였다. 체적 전류밀도는 4 g/L 조건에서 76.3 A/m3였고, 6 g/L로 주입 농도를 증가시켰을 때 19.0 A/m3로 4 g/L 주입 조건에 비해 75% 감소하였다. 수소 생산량은 4 g/L 주입 조건이 47.3 ± 16.8 mL로 가장 높았으나 수소 수율은 2 g/L 주입 조건이 1.1 L H2/g CODin로 가장 높았다. 에너지 효율 역시 2 g/L 조건에서 가장 높았고, 6 g/L 조건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최대 전기에너지 효율은 76.4%였으며, 2 g/L 조건에서 최대 전체에너지 효율은 39.7%였다. 그러나 기질 농도가 6 g/L로 증가하였을 때, 성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Cathodic hydrogen recovery 역시 에너지 효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낮은 농도 조건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EC 운전에 있어서 SCOD 제거율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최적 운전을 위해서는 낮은 주입 농도 조건에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Listeria monocytogenes Serovar 4a is a Possible Evolutionary Intermediate Between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and L. innocua

  • Chen, Jianshun;Jiang, Lingli;Chen, Xueyan;Luo, Xiaokai;Chen, Yang;Yu, Ying;Tian, Guoming;Liu, Dongyou;Fang, Weihu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3호
    • /
    • pp.238-249
    • /
    • 2009
  • The genus Listeria consists of six closely related species and forms three phylogenetic groups: L. monocytogenes-L. innocua, L. ivanovii-L. seeligeri-L. welshimeri, and L. grayi. In this report, we attempted to examine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 in the L. monocytogenes-L. innocua group by prob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23S rRNA and 16S rRNA, and the gene clusters lmo0029-lmo0042, ascB-dapE, rplS-infC, and prs-ldh in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4a, and 4b, and L. innocua. Additionally, we assessed the status of L. monocytogenes-specific inlA and inlB genes and 10 L. innocua-specific genes in these species/serovars, together with phenotypic characterization by using in vivo and in vitro procedu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L. monocytogenes serovar 4a strains are genetically similar to L. innocua in the lmo0035-lmo0042, ascB-dapE, and rplS-infC regions and also possess L. innocua-specific genes lin0372 and lin1073. Furthermore, both L. monocytogenes serovar 4a and L. innocua exhibit impaired intercellular spread ability and negligible pathogenicity in mouse model. On the other hand, despite resembling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in having a nearly identical virulence gene cluster, and inlA and inlB genes, these serovar 4a strains differ from serovars 1/2a and 4b by harboring notably altered actA and plcB genes, displaying strong phospholipase activity and subdued in vivo and in vitro virulence. Thus, by possessing many genes common to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and sharing many similar gene deletions with L. innocua, L. monocytogenes serovar 4a represents a possible evolutionary intermediate between L. monocytogenes serovars 1/2a and 4b and L. innocua.

해수와 해산물로부터 Listeria 속의 분리와 세균학적 조사 (Bacteriological Study of Listeria sp. Isolated from Seawater and Sea Food)

  • 강치희;이만효;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0-399
    • /
    • 2003
  •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해수와 해산물에서 Listeria 속을 분리하여 증균배양방법에 따른 균의 분리율, 선택배지에 따른 균의 분리율, 검체에 따른 균종 별 분리율, 생화학 시험과 분리된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혈청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총 100건의 검체에서 증균배양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1일 증균배양에서 L. monocytogenes가 4% (4건), L. innocua가 35%(35건), L. ivanovii가 4%(4건), L. welshimeri가 1%(1건)였고, 7일간 증균배양에서는 L. monocytogenes가 1%(7건), L. innocua가 38%(38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로 동정되어 1일 증균배양 보다 7일간의 증균배양이 Listeria속의 분리에 휠씬 효과적이었다. 이와 함께 Oxford 선택배지나 LPM 선택 배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증균배양과 비교하여 검출율이 조금 낮았다. 검체에 따른 Listeria 속의 분리율은 새우와 가재에서 80%(16/20)로 분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바지락에서 50% (10/20), 해수에서 25%(5/20), 홍합에서 20%(4/20)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L. irnnocua가 38%(38건), L. monocytogenes가 7%(7건), L. ivanovii가 5%(5건), L. welshimeri가 1%(1건)순으로 분리되었다. 각 검체에서 Listeria 속의 균종 별 분리율은 새우에서 L. innocua가 65%(13건), L. monocytogenes가 15%(3건), 가재에서 L. innocua가 70%(14건), L. monocytogenes가 10%(2건), 바지락에서 L. innocua가 45%(9건), L. monocytogenes가 5%(1건), 홍합에서 L. innocua가 10%(2건), L. monocytogenes가 5%(1건), L. welshimeri가 5%(1건), 해수에서 L. ivanovii가 25%(5건)분리되었다. L. monocytogenes로 분리 동정된 7주에 대한 혈청형 분류는 type I이 2주, type IV가 5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