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_{diet}$-index

검색결과 843건 처리시간 0.032초

계란 섭취수준이 흰쥐 혈청의 지질, 단백질, 칼슘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Eggs on Levels of Serum Lipid, Protein,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이충언;온준호;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29-534
    • /
    • 2007
  • 계란 섭취 수준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혈청의 단백질, 무기질, 혈당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 숫쥐를 대조식이군, 대조식이에 계란 분말을 5, 10 및 15%씩 혼합한 식이군(5, 10 및 15% 계란군)등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해 계란군들이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의 무게 및 간조직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5, 10 및 15% 계란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신장과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대조군과 계란군들이 비슷하였다. 혈청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각 수준별 계란군이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5% 계란군이 15% 계란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동맥경화지수는 5% 계란군이 10 및 15% 계란군 보다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의 총 단백질과 알부민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및 10 및 15% 계란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혈당, 혈색소 농도 및 효소활성은 계란섭취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칼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계란 섭취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식사형태와 식사능력에 따른 요양병원 여자 노인 환자의 영양섭취조사 (Nutrition Status of Elderly Female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 according to Meal Types and Eating Ability)

  • 안혜진;강주희;이홍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7-197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atients in a long-term care hospital according to meal type and eating ability. Methods: Subjects were 47 female patients aged over 65 ($79.3{\pm}7.1$ years) who resided in a long-term care hospital in Seoul. Thirty seven patients who ate diet orally were grouped according to meal type (27 general diet and 10 soft diet) and eating ability (26 eating by oneself and 11 eaten with help) and 10 were on tube feeding. Nutritional status was determined by food consumption and mid-arm circumference. Results: The mean adequacy ratios (MARs) of 12 nutrients (protein, calcium, phosphorus, zinc,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B_6$, niacin, folic acid, vitamin C) were 0.687 for general diet, 0.565 for soft diet, 0.680 for eating by oneself and 0.677 for eaten with help,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0.982 for tube feeding (p < 0.05 or p < 0.01). The patients on tube feeding had significantly lower % arm circumference compared to those who ate general diet (84.0% vs. 95.4%, respectively, p < 0.05). Nutrients intakes, nutrient adequacy ratio (NAR)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were not different between meal types as well as eating ability. The most insufficiently consumed nutrients by the patients on diet were folic acid, vitamin $B_2$, and calcium (NAR 0.334~0.453, 0.515~ 0.539, and 0.516~0.533,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regardless of meal type or eating ability, the subjects who were on diets in this study might have inadequate intake of folic acid as well as vitamin $B_2$, and calcium, which need to be reflected on menu planning. The measurement of mid-arm circumference presented more risk of malnutrition of patients on tube feeding than those on diets, despite apparently better nutrient consumption.

운지버섯 배양액이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Coriolus versicolor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 고진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90-795
    • /
    • 2005
  •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유도한 횐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8주령의 Sprague-Dawley계 숫쥐에 대조식이군($20\%$지방과 $0.5\%$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 대조식이와 운지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을 음료수에 $30\%$$40\%$로 혼합 급여한 군($30\%$$40\%$ 운지버섯군)등 3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은 $30\%$$40\%$ 운지버섯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되었으나,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과 운지버섯군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간, 신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대조군과 운지버섯군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40\%$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30\%$$40\%$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총 지질 및 중성지방의 배설량은 대조군에 비해 운지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횐쥐에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 30\%$$40\%$ 급여시 체중을 다소 감소시키고, 간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X>로 가슴 및 다리육의 적색도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가열 감량은 가슴육에서 $26.37\~28.79\%$이고 다리육은 $30.32\~31.32\%$로 다리육에서 가열감량이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육일령에 따라서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전단력은 가슴육에서 45일령이 $2.20\;kg/0.5inch^2$, 70일령 $2.84\;kg/0.5inch^2$로 사육일령이 증가함에 고기의 연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pH가 낮아 드립의 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am은 24시간째에 온도와 관계없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Ceftriaxone sodium을 TPN과 Y-site 혼합 후 1-2시간 이내에 침천이 형성되었고 Unasyn의 경우에는 12시간째에 침천이 형성되었다. 혼합액의 pH나 색상은 연구기간 동안 일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aminophylline은 고영양수액제와 혼합가능하고 ceftriaxone과 Unasyn은 고양양수액제와 혼합시 최소 1시간 동안은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작용 없이 조사할 수 있었고, 근치적 국소요법의 일환으로 방사선 선량증가가 전체 생존기간 및 무진행 생존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유방암치료에서 virtual wedge는 통상 사용하는 physical wedge에 비하여 주변 연부조직선량, 반대편 유방선량, 동측 페선량 및 심장선량을 감소시켜 급, 만성 방사선 부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또한 방사선조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선형가속기의 부하를 줄일 수

호르몬수면상실이 에너지와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eep Loss on Energy and Metabolism)

  • 강승걸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1호
    • /
    • pp.5-10
    • /
    • 2012
  • The release of hormones and the metabolism of human body are controlled by the circadian rhythm related to sleep-wake cycle. Growth hormone, prolactin, thyroid stimulating hormone, cortisol, glucose, and insulin-secretion rates fluctuate according to the sleep-wake cycle. In addition, sleep is related to the appetite regulation and carbohydrate and other energy metabolism. Hypocretin (orexin), an excitatory neuropeptide, regulates waking and diet intake, and the poor sleep increases diet intake. The short sleep duration increases one's body mass index and impairs the function of the endocrine and metabolism, causing increases in the risk of glucose intolerance and diabetes. The poor sleep quality and sleep disorders have similar impact on the metabolic function. In short, the sleep loss and the poor quality of sleep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endocrine and energy metabolism. The improvement of sleep quality by the future research and appropriate clinical treatment would contribute to the decrease of the metabolic diseases such as diabetes.

성인 여성에서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른 식생활과 대사성 질환 위험 (Diet and Metabolic Disease Risk by Perceived Stress Level in Korean Adult Women)

  • 김미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83-492
    • /
    • 2020
  • Dietary components can modulate stress, inflammatory indicators, and health risk.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diet, metabolic disease risk, and perceived stress in Korean adult females using the 2017-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4,353 adult women aged 19-64 ye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perceived stress level: very high stress group (VHSG, n=225), high stress group (HSG, n=1,079), moderate stress group (MSG, n=2,532), and low stress group (LSG, n=517). Data collection included the sociodemographics, anthropometrics, blood profile, and dietary survey.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those in the VHSG had a higher body mass index (p=0.013) and obesity rate (p=0.053) with a shorter sleep time than the LSG group. The VHSG also tended to have a higher plasma LDL-cholesterol, hsC-reactive protein and lower levels of HDL-cholesterol, vitamin A, and vitamin E than the low stress group. High stress subjects demonstrated increased breakfast skipping frequency (p<0.0001), decreased fiber intake (p=0.001), potassium (p=0.041), and vitamin A (p=0.011) than the low stress ones. Therefore the perceived stress level was associated with the inflammatory indicators, obesity, and lack of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nutrients. The dietary components may be an important mediator of stress and metabolic disease.

대도시 저소득층 지역사회 노인의 영양 위험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Risk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in the Low-income Elderly in Urban Areas)

  • 양숙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2-403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elders in urban area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nutritional risk.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subjects were 300 elders selected from home visiting clients of DongJack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taining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disease. dietary pattern. Nutritional Screening Initiativ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Barthel Index for AD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Results: Of the subjects, 63% had high nutritional risk, 21.3% moderate nutritional risk, and 15.7% good nutritional risk. NSI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medication, dental health, depression. regularity of diet and meal with fami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dental health and regularity of diet and meal with family explain 38.1% of nutritional risk.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nutrition status and to control nutritional risk factors such as depression, dental health, regularity of diet and meal with family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low-income elderly.

  • PDF

매생이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이정화;이유미;이재준;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02-409
    • /
    • 2006
  • 매생이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in vivo에서 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 혈증 억제효능 효과를 측정하여 검토한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만을 급여한 HC군은 NC군에 비하여 높은 체중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은 HC군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한 HC-CFH군의 체중증가율이 H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정상식이에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은 NC군에 비해 체중증가율이 저하되 었으나 유의 차는 없었다. 식이 섭취량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 지질함량 변화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C군은 NC군에 비하여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HC-CFL군과 HC-CFH군의 경우 NC군에 가깝게 감소되었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인지질 함량은 NC군이 HC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효과를 보였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병합투여군들의 혈청 인지질 함량은 NC군 수준으로는 증가되지 않았지만 HC군에 비해서는 증가되었다. 정상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은 혈청중성지방 및 인지질 함량이 NC군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군들은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HC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정상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의 혈청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NC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함량 또한 임상진단에서 순환계와 관련한 진단지수인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 위험지수는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모든 군들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C군과는 달리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NC군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간 및 신장 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증가된 HC군에 비하여 매생이 고용량 병합 투여한 HC-CFH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매생이 에탄올 병합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모든 군들이 HC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NC군에 비해서도 유의 차는 없었으나 저하되었다. 간과 신장의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매생이 추출물 공급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NC군에 비해 HC군이 증가하였고,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모든 군들은 H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NC군과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식이에 의한 체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상승을 억제시키는 효과와 LPL 활성 저하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나 어떠한 성분의 작용기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폐경 후 비만 여성의 식이 및 운동 교육이 체지방향 및 혈중지질농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trition and Exercise Education on Fat Mass and Blood Lipid Profile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김내희;김지명;김혜숙;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62-171
    • /
    • 2007
  • Obesity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ur coronary artery disease in the postmenopausal women, which may be mediated by alteration of blood lipid metabolism. We are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w energy diet, restriction of high fat foods and exercise education on weight, fat mass and blood lipid profile. Fifteen postmenopausal obese women were studied. Subjects received detailed advice about how to achieve a reduction of weight by a low-energy diet (1,200kcal), restriction of high fat food and increased exercise in every 4 wks during 8 wk.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for education programs, dietary fat habit and daily nutrient intakes, exercise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thropometry, computerized tomography, and blood lipid profil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nutrition education, energy intake (from 1776.1 ${\pm}$ 28.2 kcal to 1268.7 ${\pm}$ 115.2 kcal, p < 0.001) and percent of energy from fat (21.9%, p < 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was over 1.0. On the contrary, exercise (from 341.3 ${\pm}$ 222.1 kcal to 569.4 ${\pm}$ 309.8 kcal, p < 0.05) was increased and dietary fat habit scores (from 30.8 ${\pm}$ 5.2 to 36.1 ${\pm}$ 3.0, p < 0.01) were improved. Also, body weight (4.2%, p < 0.001), BMI (4.5%, p < 0.001), body fat mass (3.4%, p < 0.05) and waist to hip ratio (1.1%, p < 0.05) were decreased. Among abdominal fat, visceral fat (26.1%, p < 0.05) and subcutaneous fat (14.8%, p < 0.01) were de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sceral fat to subcutaneous fat ratio. We observed HDL-cholesterol increase (11.7%, p < 0.05), triglyceride reduction(14.8%, p < 0.05) and atherogenic index improvement (from 2.7 ${\pm}$ 0.7 to 2.3 ${\pm}$ 0.7, p < 0.05)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LDL-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Theses results showed that low energy diet, restriction of high fat foods and exercise education could result in reduction of body weight, fat mass,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nd in improvement of blood lipid profile in the postmenopausal obese women.

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에서 아피오스의 내장지방 감소 효과 (Anti-Visceral Obesity Effect of Apios americana Medikus in Diet-Induced Obese Mice)

  • 최라영;이진;류효선;함주리;박석규;김명주;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137-1142
    • /
    • 2017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열량의 40%를 지방으로 공급)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에게 아피오스 분말(10%, w/w)을 12주간 급여한 후 내장지방 감소 및 지방간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아피오스 분말 급여로 인한 유의적인 체중 감소는 보이지 않았으나, 부고환지방과 후복막지방 무게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총 내장지방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14.3% 감소하였다. 부고환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역시 아피오스 분말군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다. 혈청의 유리지방산,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와 동맥경화 지수는 아피오스 분말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8.9%와 47.2%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혈청의 렙틴 함량은 아피오스 분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마우스에 아피오스 분말 급여는 간 조직 중의 지질축적 및 유리지방산과 중성지질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의 지질합성 관련 유전자인 Pparg, Fasn과 Dgat2의 발현이 아피오스 분말 급여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아피오스 분말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내장지방 축적과 지방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Dietary Patterns and the Associated Risk of Breast Cancer: A Case-control Study

  • Woo, Hae Dong;Park, Ki-Soon;Shin, Aesun;Ro, Jungsil;Kim, Jeongseo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193-5198
    • /
    • 2013
  • The glycemic index (GI) and glycemic load (GL) have been considered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but association studies of breast cancer risk using simple GI and GL might be affected by confounding effects of the overall diet. A total of 357 cases and 357 age-matched controls were enrolled, and dietary intake was assessed using a validat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with 103 food items. GI and GL dietary patterns were derived by reduced rank regression (RRR) method. The GI and GL pattern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risk among postmenopausal women [OR (95%CI): 3.31 (1.06-10.39), p for trend=0.031; 9.24 (2.93-29.14), p for trend<0.001, respectively], while the GI patter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breast cancer risk, and the GL pattern was only marginally significant, among premenopausal women (p for trend=0.043). The GI and GL pattern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subgroups defined by hormone receptor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GI and GL patterns based on all food items consume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