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oderma$ $lucidum$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7초

영지의 ${\beta}$-glucan성 다당류에 의해 활성화된 흰쥐 간내 Kupffer 세포의 NO, TNF-${\alpha}$ 및 TGF-${\beta}$ 형성 (Nitric Oxide, TNF-${\alpha}$ and TGF-${\beta}$ Formation of Rat Kupffer Cell Activated by the ${\beta}$-Glucan from Ganoderma lucidum)

  • 한만덕;이준우;정훈;김용석;나수정;윤경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8-34
    • /
    • 1999
  • Ganoderan (GAN), an immunomodulating ${\beta}$-glucan from mushroom Ganoderma lucidum, was evaluated for its ability to induce formation of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from rat Kupffer cell in vitro. Hepatic macrophages activated by GAN significantly elevated concentration of NO and TNF-${\alpha}$ in cultured medium, but not significantly elevated that of TGF-${\beta}$. GAN-activated Kupffer cells secrete 14.9${\mu}$M (p<0.01) of NO and 2619.5${\rho}$g/ml (p<0.01) of TNF-${\alpha}$after 36hr of incubation at 37$^{\circ}C$. The results revealed that GAN enhanced 4-fold production of NO and 19 fold formation of TNF-${\alpha}$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roliferation of GAN-activated Kupffer cells was inhibited as compared with its negative control. Comparing the activity among glucan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highly branched zymosan, glucomanna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significantly increased TNF-${\alpha}$ and NO 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eta}$-glucan from G. lucidum activates rat Kupffer cell and secretes NO and TNF-${\alpha}$. It also suggest that rat Kupffer cell posses certain receptor for ${\beta}$-anomeric glucan.

  • PDF

Optimization and kinetic modeling for bioconversion of cheese whey to Ganoderma lucidum in batch fermentations

  • 송민경;이환영;황석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81-384
    • /
    • 2002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successfully applied to optimize for the production of Ganoderma lucidum in batch fermentations using the whey (40,000 mg latose/L) as substrate.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with respect to pH and temperature, where the designed intervals were 3.3$22.9^{\circ}C$$37.1^{\circ}C$, respectively. A second-order factorial design of the experiments was used to build empirical models providing a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optimum conditions to maximize the production of G. lucidum were pH 4.2 and $28.3^{\circ}C$. At optimum conditions, the mycelial dry weight (MDW) and residual soluble COD (SCOD) were simultaneously used to evaluate the biokinetic coefficients assocoated with substrate inhibition model by nonlinear least squares method with 95% confidence interval. The. maximum microbial growth rates (${\mu}m$), half saturation coefficient ($K_s$), and the inhibition substrate concentration ($K_{is}$) were determined to be 0.095 l/hr, 128,000 mg SCOD/L and 49,000 mg SCOD/L, respectively. And the microbial yield coefficient (Y), biomass decay rate coefficient ($K_d$), and the maintenance energy coefficient ($m_s$) were determined to be 0.37 mg MDW/mg SCOD, 0.001 1/hr, and 0.0015 1/hr, respectively.

  • PDF

영지추출물(靈芝抽出物) 및 Escherichia coli 배양액(培養液)이 백혈구(白血球)의 Chemotaxis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Ganoderma Iucidum Extracts and Filtrate of Escherichia coli Culture on Leukocyte Chemotaxis)

  • 이미숙;정규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1987
  • 화학주성인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chemotactic factor로 영지추출액(靈芝抽出液), 대장균 배양액, N-fMLP 및 TC-199 medium을 사용하였으며 modified Boyden chamber와 Nuclepore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백혈구의 유주능을 측정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화학주성인자로 TC-199 medium과 N-fMLP 그리고 대장균 배양액을 사용하였을때, N-fMLP에서 백혈구의 유주능이 우수하었으나 대장균 배양액도 그에 못지않게 우수하였다. 2. 영지추출액(靈芝抽出液)을 PBS로 1.00%, 0.10%, 0.01%로 희석 조제하여 화학주성인자로 사용하였을때 비교적 저농도인 0.01%에서 우수하였다. 3. 영지추출액(靈芝抽出液)의 각 희석액 (1.00%, 0.10%, 0.01%)로 백혈구를 처리한 후 유주능을 실험(實驗)한 결과 0.01%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영지(靈芝) 추출액(抽出液)은 0.01%에서 우수한 유주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Alterations in Growth and Morphology of Ganoderma lucidum and Volvariella volvaceae in Response to Nanoparticle Supplementation

  • Singh, Swarnjeet;Kuca, Kamil;Kalia, Anu
    • Mycobiology
    • /
    • 제48권5호
    • /
    • pp.383-391
    • /
    • 2020
  • Use of nanoparticles (NPs) in several commercial products has led to emergence of novel contaminants of air, soil and water bodies. The NPs may exhibit greater ecotoxicity due to nano-scale dependent properties over their bulk counterparts. The present investigation explores the effect of in vitro supplementation of TiO2, silica and silver NPs on radial growth and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hyphae and spores of two mushroom genera, Ganoderma lucidum and Volvariella volvaceae. A concentration dependent decrease in radial growth on NP amended potato dextrose agar medium was recorded. However, in comparison to control, there was decrease in radial diameter on supplementation with TiO2 NPs while an increase was recorded for silica and silver NPs amendments as compared to their bulk salts at same concentrations after 48 h of incubation. Optical microscopy studies showed decrease in the number of spores while increase in spore diameter and thinning of hyphal diameter on NPs supplement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of fungal growth showed presence of deflated and oblong spores in two fruiting strains of Ganoderma while Volvariella exhibited decreased sporulation. Further, hyphal thinning and branching was recorded in response to NP amendments in both the test mushrooms. Enhancement of protein content was observed on NP compared to bulk supplementation for all cultures, concentrations and hours of incubation except for TiO2 NPs. Likewise, bulk and NP supplementations (at 100 mg L-1) resulted in enhanced laccase activity with occurrence of laccase specific protein bands on SDS-PAGE analysis.

소비촉진을 위한 가정재배용 버섯키트개발 연구 (Improvement of indoor mushroom kit)

  • 조우식;류영현;최성국;윤재탁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3
    • /
    • 2007
  • 버섯산업의 활성화자료 제공과 버섯의 가정내 재배 학생들의 과학탐구용으로 사용키위해서 일반 가정주택의 실내에서 버섯류 재배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 수행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가정내 각실별 온 습도 측정결과는 세면실에서 64~72%, 온도 $20.2{\sim}26.0^{\circ}C$로 상대적으로 거실, 부엌등 타실보다 버섯생육에 유리한 조건을 나타내었다 (1999. 4. 25~7. 25). 나. 느타리버섯 상자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 일수는 3일, 수량은 2,060g, 회수율은 90%였다. 다. 느타리버섯 봉지볏짚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 소요일수는 2일, 수량은 90g, 회수율은 153%였다. 라. 느타리버섯 봉지톱밥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 소요일수는 4일, 수량은 770g, 회수율은 89%였다. 마. 영지버섯 봉지톱밥재배에서 세면실의 경우 초발이소요일수는 11일, 수량은 172g, 회수율은 16%, 중량감소율은 61%로 나타났다. 바. 본시험에서 수행한 4처리 모두 거실, 침실, 부엌에 비해 세면실에서의 생산된 버섯의 수량이 우수하였다. 사. 본 실험의 결과를 일부 기술하여 "내손으로 재배하는 가정버섯 효능과 활용법"이란 제목의 책자를 공동저술하였다 (장 등, 2003).

  • PDF

영지 IY009 균사체의 분획에 따라 추출된 ganoderan의 조성과 생리적 활성 (The Composition and Bioactivities of Ganoderan by Mycelial Fractionation of Ganoderma lucidum IY009)

  • 한만덕;정훈;이준우;백성진;김수웅;윤경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75호
    • /
    • pp.285-297
    • /
    • 1995
  • 영지의 균사체를 분획화하여 ${\beta}-glucan$성 다당류인 ganoderan을 분리한 결과, 12%의 균체외성, 13%의 세포질성, 그리고 75%의 세포벽성 분획으로 각각 수획되었다. 각각의 분획들은 추출 부위와는 상관없이 포도당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beta}-glucan$의 특정을 지닌 다당류이었다. Ganoderan의 구성당 및 구성 아미노산은 균사체 추출부위에 따라 상이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생리적 활성을 검색한 결과, 항 보체 활성은 균체외성이며 수용성인 EXO-WS 분획이 38%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세포벽에서 추출한 알칼리 가용성이며 수용성인 CW-AS-WS 분획이 37%를 나타내었다. 항암활성은 CW-AS-WS 분획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94%의 종양 억제율을 보였다. CW-AS-WS 는 평균 분자량 20kD로 80% 의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beta}-glucan$성 다당류이다.

  • PDF

백색자실체를 형성하는 영지 균주의 비정형(非定型) 자실체 구조의 형성 (Atypical Fruiting Structure Formation of White Fruitbody-Forming Isolates in Ganoderma lucidum)

  • 서건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22-327
    • /
    • 1999
  • 영지버섯 원목재배시 발생한 백색자실체에서 2핵 균사체 5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의 자실체는 정상적인 갓, 자실층, 대로 분화되지 않았고, 발생해서 3개월 후에도 착색되지 않았다. 이들 백색자실체 형성균주와 재배용 균주는 배지상에서의 생장률, 균총의 색 그리고 비정형자실체(atypical fruiting structure; AFS) 형성에 차이를 보였다. 백색자실체 형성균주는 환기와 광 조건하에서 갈색의 AFS를 쉽게 형성하였다. Gl-010과 Gl-011 균주는 암상태와 BLB 광을 조사하였을 때에는 AFS를 형성하지 않았지만, 가시광선하에서는 AES를 형성하였다. 이들 균주의 AFS형성은 $0.5{\mu}mol\;m^{-2}\;s^{-1}$ 이하의 약한 광에서 잘 형성되었고, 그 이상의 광도에서는 억제를 받았다. 한편, Gl-010과 Gl-011 균주 이외의 4 균주는 암상태와 BLB에서도 AFS를 잘 형성하였으나, 이들의 모균주인 Gl-030은 어때한 광 조건하에서도 AFS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AFS에서 형성된 담자포자를 발아시켜 얻은 단핵 균사체는 모균주와 화합성이었다.

  • PDF

Ganoderma lucidum Pharmaco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Acute Gastric Ulcers in Rats

  • Park, Jae-Heung;Jang, Kyung-Jun;Kim, Cheol-Hong;Lee, Yoo-Hwan;Lee, Soo-Jung;Kim, Bum-Hoi;Yoon, Hyun-Mi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49
    • /
    • 2014
  • Objectives: The gastric ulcer is a common disorder of the stomach and duodenum. The basic physiopathology of a gastric ulcer results from an imbalance between some endogenous aggressive and cytoprotective facto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anoderma lucidum pharmacopuncture (GLP) would provide protection against acute gastric ulcers in rats.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4 groups of 8 rats each: normal, control, normal saline (NP) and GLP groups. The experimental acute gastric ulcer was induced by using an EtOH/HCl solution and the normal group received the same amount of normal saline instead of ethanol. The NP and the GLP groups were treated once with injections of saline and GLP, respectively. Two local acupoints were used: CV12 (中脘) which is the alarm point of the Stomach Meridian, and ST36 (足三里), which is the sea point of the Stomach Meridian. The stomachs from the rats in each group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ross appearance and histology. Also,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for BAX, Bcl-2 and TGF-${\beta}1$ was performed. Results: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he gastric lesion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comparatively extensive damage of the gastric mucosa and necrotic lesions had penetrated deeply into the mucosa. The lesions were long, hemorrhagic, and confined to the glandular portions. The lesions were measured microscopically by using the clear depth of penetration into the gastric mucosal surface. The length and the width of the ulcer were measured and the inhibition percentage was calculated. Wound healing of the acute gastric ulcer was promoted by using GLP, and significant alterations of indices in gastric mucosa were observed. Such protection was shown by gross appearance, histology and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for BAX, Bcl-2 and TGF-${\beta}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P administered at CV12 and ST36 can provide significant protection to the gastric mucosa against an ethanol-induced acute gastric ulcer.

영지버섯 다당체의 마우스 대식세포 면역증강 효과 (Studies on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on Macrophage)

  • 김성환;김을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8-153
    • /
    • 1997
  • 본 연구는 전보의 영지버섯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균 사체를 알카리추출하여 얻은 다당체의 일반성분과 당분석 및 항암작용에 관한 연구에 이어, 이들과 ATCC의 마우스 유래 탐식 세포주 TIB 71 및 BALB/c 마우스의 복강내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영지버섯 다당체가 면역계 전체의 기능을 조정하는 대식세포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식세포의 환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지 버섯 다당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의 유사분 열능을 측정한 결과, 다당체의 처리 농도가 0.5mg 실험군에서부터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01). 2. 영지버섯 다당체가 대식 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식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IL-2 수용체를 anti-mouse IL-2-FITC 단크론항체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는 PSG 0.05mg 실험군을 제외한 실험군 모두에서 대조군 37.6% 보다 현저한 발현증가(p<0.001)를 보였으며 PSG 0.1mg 실험군까지는 수용체가 증가 하나 그 이상 처리군 사이에서는 상호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영지버섯 다당체는 대식 세포에서 유래하는 세포간물질 즉 IL-1, IL-6 및 TNF의 생성에 유의성 있는 관여는 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나 부분적으로 영지버섯 다당체와 BCG및 IFN-${\gamma}$를 모두 함께 병용 투여함으로써 각각 영지버섯 다당체와 BCG또는 영지버섯 다당체와 IFN-r을 투여하는 경우에 비하여 IL-1의 분비증가를 보였으며 TNF의 분비 역시 현저한 증가를 보여 영지버섯 다당체가 초기 감염시 숙주의 1차 방어기능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