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GN_2%24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한우에 있어서 발정ㆍ배란 동기화법에 의한 수태율 (Conception Rate of Ovulation-Estrus Synchronization Method in Hanwoo)

  • 박정준;임석기;이명식;전기준;박수봉;정영훈;우제석;나기준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7-213
    • /
    • 2003
  • 본 연구는 한우에 PGF$_2$$\alpha$와 GnRH+PGF$_2$$\alpha$+GnRH(Ov-synch)를 처리하여 발정 및 배란을 동기화 시켰으며, 2차 GnRH 투여후 배란시간, 2차 GnRH 투여후 시간 경과에 따른 수태율과 발정ㆍ배란 동기화법에 의한 수태율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축은 총 4개 농가에서 경산우 150두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시험에 공시하였으며, 발정ㆍ배란동기화 방법에 따라 발정을 유기한 후 1회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호르몬처리 방법으로는 GnRH+PCF$_2$$\alpha$+GnRH(Ov-synch)와 PGF$_2$$\alpha$를 이용한 발정동기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2차 GnRH 투여 후 배란시간을 알아보기 GnRH 투여 후 24시간 후부터 32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Sonovet-600(Medison. Korea)를 이용하여 난소를 촬영하였다. 1. 호르몬 투여후 발정동기 화율은 PGF$_2$$\alpha$ 투여구에서 40.0%와 GnRH+PGF$_2$$\alpha$+GnRH(Ov-synch)처리구에서 91.3%로 나타났다. 2. 2차 GnRH 주사후 24시간에 배란이 시작되어 32시간에 배란이 종료되었으며, 배란율은 28시간째에 46.6%가 배란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2차 GnRH주사후 6∼24시간에 수정한 군이 6시간 이전과 30시간 이후에 수정시킨 군에 비해 높은 수태율을 나타냈다. 4. 호르몬 처리별 수태율은 PGF$_2$$\alpha$, CIDR 및 GnRH+PGF$_2$$\alpha$+GnRH(Ov-synch)에서 각각 50.0, 36.0와 76.9%로 GnRH+PGF$_2$$\alpha$+CnRH(Ov-synch)군에서 가장 높은 수태율을 나타냈다.

한우에 Ov-synch 처리시 배란시기와 수태율 구명에 관한 연구 (Synchronization Rate, Size of the Ovulatory Follicle, and Pregnancy Rate after Synchronization of Ovulation Method in Hanwoo)

  • 박정준;이명식;박수봉;임석기;전기준;정영훈;우제석;나기준;고대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7-193
    • /
    • 2003
  • 본 연구는 한우에 GnRH + PGF$_2$$\alpha$+GnRH (Ov-synch)를 처리하여 배란동기화를 시켰으며, 2차 GnRH 투여후 배란시간, 수태율, 계절별 수태율, 산차별 수태율을 조사하였으며, 시험축은 2산 이상의 개체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실험에 공시하였으며, 배란동기화 처리후 1회 인공수정을 실시하고 수태율을 환산하였다. 호르몬 처리방법으로는 GnRH + PGF$_2$$\alpha$ + Gn-RH(Ov-synch)법을 이용하였으며, 배란시간의 조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2차 GnRH 투여 후 24시간부터 31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난소를 촬영하여 배란 여부를 조사하였다. 1. 배란동기화 처리후 24시간부터 31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난소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28∼30시간 사이에 80%(20/25)로 가장 많이 배란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수태율에 있어서는 계통별 1회 수정 수태율은 고급육 계통이 48.1%(38/79)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산차에 따른 수태율은 1∼2, 3∼4산차에서 각각 44.3, 55%로 나타났다. 4. 계절별로는 여름보다는 봄과 가을에서 47.3%로 다소 높은 경향이였다.

Hypophyseal and Gonadal Response to GnRH in Buffalo Heifers (Bubalus bubalis)

  • Singh, C.;Madan,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4호
    • /
    • pp.416-421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iveness of hypophysis and gonads to synthetic GnRH among noncycling Murrah buffalo heifers at 24 months of age. The plasma FSH, LH, estradiol and progesterone levels were measured in blood samples collected at 1 hour before and upto 18th day subsequent to the administration of GnRH ($(200 {\mu}g)$) or saline (2 ml). The pretreatment levels of plasma FSH, LH estradiol and progesterone among GnRH treated heifers (N = 6) were $11.55{\pm}0.57ng/ml$, $0.68{\pm}0.06ng/ml$, $19.84{\pm}0.82pg/ml$ and $0.45{\pm}0.07ng/ml$ respectively. A quick elevation of FSH (p < 0.01) and LH (p < 0.05) within 5 min of GnRH administration was observed in all the heifers. The peak FSH ($74.97{\pm}18.63ng/ml$) and LH ($3.09{\pm}0.54ng/ml$) level was obtained at 30 min of GnRH administration. The elevated level of plasma estradiol on 5th to 18th day, FSH on 7th to 9th day (n = 3) and the progesterone on 13th to 18th day (n = 2) of GnRH injection was obtained. The study indicates that gonads of buffalo heifers at 24 months of age are responsive of GnRH induced gonadotropin release for folliculogenesis and luteal tissue formation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GTH$\beta$ 유전자 발현 및 성스테로이드 합성에 미치는 GnRHa의 효과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 (GnRHa) on Expression of the Gonadotropin Subunit Gene and on Synthesis of the Sex Steroids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명;민병화;장영진;박인석;조성환;안광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298
    • /
    • 2005
  • RT-PCR을 이용하여 감성돔의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FSH$\beta$와 LH$\beta$ cDNA를 각각 cloning하였다. GenBank를 이용하여 FSH$\beta$와 LH$\beta$ 아미노산 배열과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감성돔 FSH$\beta$는 참돔 FSH$\beta$$83.3\%$, snakehead fish FSH$\beta$$79.2\%$ 및 striped bass FSH$\beta$$76.0\%$의 상동성이 나타났으며 , 감성돔 LH$\beta$는 yellowfin seabream LH$\beta$$97.7\%$, 참돔 LH$\beta$$96.2\%$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년생 수컷 감성돔에 GnRHa를 처리한 후,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GTH subunit mRNA의 농도와 혈중 T및 혈중 $E_2$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GnRHa를 체중 g당 $0.2\;{\mu}g$으로 복강 주사한 후 0, 6, 12, 24 및 48시간제에 뇌하수체와 혈액을 샘플링한 결과, 호르몬 처리 후 6시간째에 FSH$\beta$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LH$\beta$ mRNA 발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중 T와 혈중 $E_2$ 농도는 GnRHa처리 후 24시간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국재래산양에 있어서 분만후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의 처리가 난소 및 자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nRH on the Ovaries and Uterus in Postpartum Korean Native Goats)

  • 권춘수;함태수;김영희;변명대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7
    • /
    • 1995
  •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estradiol-17$\beta$ levelsin plasma and ovarian tissues, as well as the contents of collagen and catecholamines in the uteru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nRH administrations of uterine involution in postpartum Korean native goats. Plasma concentrations of estradiol-17$\beta$ were 63.81$\pm$8.00 pg/ml at day 1 of kidding, declined to 36.78$\pm$22.90 ng/ml at day 24 and decreased progressively to 27.81$\pm$17.06 and 12.46$\pm$8.13 pg/ml at days 30 and 36 postpartum, respectively. In ovarian tissues, the concentrations of estaiol-17$\beta$ were increased just before parturition and decreased immediately after parturition. The plasma estradiol-17$\beta$ levels were slightly higher on days 12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fter parturition. The concentraitons of estradiol-17$\beta$ in the ovaries of postpartum goats were increased at day 36 after treatments with GnRH. The total hydroxyproline contents in the uterus was slightly higher prior to parturition and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postpartum intervals after parturition. Hydroxyproline concentraitons in the uterus were decreased at days 24 and 36 postpartum after treatments with GnRH. The norepinephrine concentrations in myometrium from the pregnant and postpartum goats were correspondingly low both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partuition. Norepinephrine concentrations in the pregnant horn of the uterus were increased from days 12 to 36 of postpartum and those levels of the non-pregnant horn were also increased from days 24 to 36 postpartum. Slightly higher concentrations were present in the non-pregnant horn in comparison to the pregnant horn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ostpartum, the uterine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was slightly increased at day 36 after treatments with GnRH. Dopamine concentrations were greater than those of norepinephrine. The concentrations of dopamine in the uterus of pregnant goa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postpartum animals. Dopamine concentraitons of pregnant horn in postpartum goats were increased at day 24 after treatments with GnRH.

  • PDF

성인의 연조직 측모 변화 (A longitudintal study of soft-tissue profile changes In korean adults aged from 24 to 32 years)

  • 황상희;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14
    • /
    • 2000
  • 한국인 성인에서 연령 증가에 따른 연조직 측모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남자 17명과 여자 8명을 대상으로 24세와 32세에 촬영된 측모 두부X-선 규격사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관찰 기간 동안, 남녀 모두 경조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p>0.05). 2. 연조직의 전후적 계측치에서 남자는 턱부위 (Pog', Gn')의 유의한 증가를, 여자는 하순 (LI)의 유의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5). 3. 연조직의 수직적 계측치에서 남녀 모두 상순의 길이 (Sn-Sto) 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남자에서만 나타났고 하안면 고경 (Sn-Gn') 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4. 연조직 두께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턱부위 (Pog', Gn') 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P<0.05).

  • PDF

다양한 발정제어 방법이 한우의 분만성적과 분만후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Synchronization Methods on Postpartum Reproduction in Hanwoo)

  • 이명식;박정준;정영훈;박수봉;서국현;강만종;문승주;김창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53
    • /
    • 2005
  • 다양한 발정유기 방법의 반복처리에 따른 분만율은 평균 $90.7\%(236/260)$로 나타났고 생시체중에 있어서 자연 발정구와 발정 유기구에서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송아지 육성율은 농가의 사육경험이 많을수록 우수한 경향이었고 발정 동기화의 반복처리가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1. 발정 유기구와 자연 발정구에서 출생한 송아지의 생시체중은 암송아지에서 각각 23.9kg, 24.0kg이었고, 수송아지에서 26.2kg, 24.9kg로써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산차에 따른 생시체중은 초산에서 23.4kg, 2산에서 25.3kg, 3산에서 26.2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5산 이후에서는 비슷하였다. 3.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_{2}{\alpha}$구에서 92.3일, PRID구에서 78.5일, CIDR구에서 64.5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65.6일로 나타났다. 4. 분만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_{2}{\alpha}$구에서 147.6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_{2}{\alpha}-GnRH$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다.

Effects of GnRH on the Plasma FSH, LH and Estradiol Levels at Estrus Induced with Injection of PGF2α and eCG in Prepubertal Buffaloes (Bubalus bubalis)

  • Singh, C.;Madan,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897-900
    • /
    • 2000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GnRH administration at induced estrus on pituitary and ovarian response in buffalo heifers. Eight Murrah river buffaloes of 12 to 13 months of age were treated with $PGF_{{2}{\alpha}}$ and eCG combination. GnRH (Fertagyl) 200 ug was injected (iv) at estrus in four heifers (treated group) while saline (2 ml, iv) was injected in remaining four heifers (control group). Blood was collected through jugular catheter to estimate plasma FSH, LH and estradiol level. The pretreatment plasma FSH, LH and estradiol values ranged from $8.46{\pm}1.97ng/ml$ to $12.31{\pm}1.30ng/ml$, $0.87{\pm}0.21ng/ml$ to $1.19{\pm}0.29ng/ml$ and $19.09{\pm}2.38pg/ml$ to $20.24{\pm}1.00pg/ml$ respectively. The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elevated significantly (p<0.05) within 24 hr after eCG administration and reached its peak levels of $154.09{\pm}17.28pg/ml$ and $181.95{\pm}31.82pg/ml$ at estrus in respectively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e plasma FSH and LH concentrations did not increase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fter eCG administration while initial significant (p<0.05) increases in both plasma FSH and LH concentrations occured within 5 and 10 min, reaching peak levels of respectively $110.06{\pm}23.56ng/ml$ and $13.15{\pm}3.13ng/ml$ within 90 min after GnRH injection was detected. A sharp and significant decline in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59.27{\pm}8.78pg/ml$) associated with synchronized ovulation within 24 hours after GnRH injection was recorded. The observation suggest that the hypophysis of prepubertal buffaloes treated with eCG have gonadotrophins awaiting the releasing factor to evoke release of gonadotrophin during the follicular phase to induce synchronized ovulation.

생식소 자극 호르몬과 NO에 의한 생쥐 여포의 Bad와 Bax 유전자 조절 (Gonadotropins and Nitric Oxide Can Suppress the Expression of Mouse Follicular Bad and Bax Genes)

  • 김외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2호
    • /
    • pp.165-172
    • /
    • 1997
  • the pu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nadotropin and nitric oxide (NO) on the expression of mouse follicular bad and bax genes that are known induce apoptosis. Large and midium size follicles of immature mice were obtained at 0, 24, and 48 hours time intervals after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s(PMSG, 5 I.U.) injection. Preovulatory follicles collected at 24 hrs after PMSG injection were cultured with or without various chemicals such as gonadotropin,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 testosterone, Sodium nitroprusside (SNP) for 24 hrs at $37^{\circ}C$. After 24 hrs culture, the culture media was used for nitrite assay and total RNA was extracted, subjected to RT-PCT for the analyses of bad and bax expression. We found that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in follicles was markedly reduced before and after in vivo priming with hCG. When the preovulatory follicles were cultured for 24 hrs in culture media with PMSG and hCG, the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was decreased. Moreover, SNP (NO generating agent) can significantly suppress the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in follicles when apoptosis was induced by GnRH agonist and testosterone. At the same time, nitrite production of culture media was increased in GnRH agonist + SNP, testosterone + SNP and SNP treated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se data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peptide hormones and NO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mouse follicular differentiation and may prevent apoptosis via supressing the expression of bad and bax genes.

  • PDF

발정제어에 따른 분만성적과 분만후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식;임석기;최창용;이지웅;박정준;강만종;문승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86-86
    • /
    • 2003
  • 한우의 사육규모가 커짐에 따라 농가에서 암소의 번식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자 다양한 발정제어 처리에 따라 수태시켰으며 이에 따라 임신한 한우번식우의 분만내역과 다음번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발정유기 방법별분만율은 PeGF$_2$$\alpha$구에서 73%(73/100), PRID구에서 73.3%(22/30), CIDR구에서 76.6%(23/30),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81%(81/100)였으며 전체적으로 76.5%(199/260)로 나타났다. 2) 생시체중은 자연발정구에서 암송아지는 23.9kg, 수송아지는 26.2kg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는 24kg, 수송아지는 24.9kg으로써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개월령 체중에 있어서도 자연발정구에서 암송아지 72kg, 수송아지 75kg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 75.6kg, 수송아지 78.3kg으로 발육상에 차이가 없었다. 3) 송아지 육성율은 자연발정구에서 86.5%(251/290)이었으며, 발정유기구에서는 87.0% (175/201)로써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농가의 사육경험에 따라 6년 이상에서는 84.0% (105/125)였고, 10년 이상에서 88.4%(146/165) 로써 사육 경험이 많을수록 우수하였다. 4)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_2$$\alpha$구에서 92.3일, PRID구에서 78.5일, CIDR구에서 64.5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65.6일로 나타났고 분만 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_2$$\alpha$구에서 147.6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