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검색결과 6,006건 처리시간 0.037초

제주 자생식물로부터 항산화 및 화장품 기능성 소재 탐색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 현선희;정성근;좌미경;송창길;김지훈;임상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00-208
    • /
    • 2007
  • 제주 자생식물 54종을 대상을 70% 메탄올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xanthine oxidase(XOD),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후, 생리활성이 높은 5가지 식물을 선정하여 고압 유기용매(100% 메탄올, 13.6 MPa, $40^{\circ}C$)로 추출하여 DPPH,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70%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새우나무, 이질풀, 아그배나무, 자금우, 짚신나물이 250 mg GAE/g 이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백량금이 94.1%로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총페놀 함량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R^2=0.87$)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이삭여뀌, 붉나무, 사방오리나무, 소귀나무가 85%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XOD 저해활성은 이삭여뀌와 소귀나무가 90% 이상을 나타내었다. 고압 유기용매 추출물은 70% 메탄올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DPPH 소거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와 elastase의 저해활성에 대한 $IC_{50}$은 자금우가 각각 802와 88 ppm이었고, 소귀나무가 각각 959와 66 ppm이었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 및 대식세포 활성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e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 이현주;정미자;조재열;함승시;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095-1100
    • /
    • 2008
  •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밤 내피에 가장 풍부한 기능성 성분은 catechin이고 그 다음 gallic acid와 coumarin 순이었으나, 과육에서는 gallic acid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밤의 기능성 성분인 gallic acid와 catechin의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통해 알아보았다. Gallic acid과 catechin을 6.0 mg/100 g 처리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각각 69.4%와 38.3%였으며, gallic acid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이었다. Gallic acid를 동일한 농도의 catechin과 비교하면 모든 농도 구간에서 catechin보다 gallic acid가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gallic acid보다 catechin이 높았다. 더하여 밤의 과육, 노란과육 및 흰과육 추출물들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병고 흰과육 추출물은 현저하게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병고, 단택, 대보 및 옥광의 노란과육 추출물 역시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히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노란과육 추출물이 흰과육 추출물보다 더욱 더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5품종 중 병고가 대식세포 활성을 가장 증가시켰다.

골쇄보 열수추출물 약침액의 항염증반응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에 대한 연구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of Rhizoma drynariae Aqueous Extract)

  • 김용민;김이화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2권4호
    • /
    • pp.169-176
    • /
    • 2015
  • 목적 : 한의학에서 골절이나 신장질환에 사용되어 왔던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항염증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효능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를 실시하였다.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항염증효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산화질소(NO) 및 프로스타글란딘($PGE_2$) 생성 억제력을 관찰하였다. 또한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이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1,1-diphenyl-2-pciry hydrazyl(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하였다. 결과 :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은 $50{\sim}400{\mu}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은 200 및 $400{\mu}g/ml$ 농도에서 LPS로 유도된 NO 및 $PGE_2$ 생성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골쇄보추출물은 $50{\sim}400{\mu}g/ml$ 농도에서 DPPH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 골쇄보열수추출물 약침액은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의 용매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조사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Coriolus versicolor)

  • 한소라;노민영;이주호;오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793-1798
    • /
    • 2015
  • 본 연구는 약용 버섯으로 쓰이는 구름버섯을 ethyl acetate, ethanol 및 methanol 등으로 추출하고 각 추출용매에 따른 구름버섯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구름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와 ethanol 추출물에서 methanol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thanol 추출물이 대조구로 사용한 1 mM ascorbic acid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약 80% 소거능을 보여주었으며, ethanol 추출물과 ethyl acetate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에서 ascorbic acid의 활성과 유사한 약 90% 소거능이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영향을 받지만, ABTS 라디칼은 극성 및 비극성 물질 모두와 반응하여 소거되므로 추출용매의 영향 없이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구름버섯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 aureu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구름버섯의 항균활성은 구름버섯이 천연 항균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또한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이 ascorbic acid와 같이 높은 항산화능을 보임으로써 구름버섯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구름버섯은 향후 분야별 허용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방법 및 추출조건 등을 일부 변형한다면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등에 첨가 가능한 원료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및 추출 방법을 달리한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Drying and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of Gnaphalium affine D. DON)

  • 김혜진;박병건;한인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95-701
    • /
    • 2015
  • 본 연구는 떡쑥을 동결건조, 음지건조, 열풍건조 후 상온교반과 초음파를 각각 적용하며 물, 80% 메탄올, 80% 에탄올로 추출한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각 건조 방법 및 추출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 페놀 물질 함량에서는 동결건조 상온교반 80% 에탄올 추출물(13.87 mg QE/g)이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음지건조 상온교반 80% 메탄올 추출물(12.78 mg QE/g)이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있어서는 건조 방법 및 교반 조건에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에탄올과 80%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환원력은 음지건조 초음파 80% 메탄올 추출물($225.5g{\mu}g$ TERP/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건조 초음파 물 추출물($22.2{\mu}g$ TERP/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떡쑥의 환원력에서는 용매에 따라 80% 메탄올, 80% 에탄올, 증류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떡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페놀물질로부터 기인하며 떡쑥은 물보다 80% 에탄올과 80% 메탄올이 항산화 물질 추출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0% 에탄올 추출물의 모든 항산화 효과는 건조 및 교반 조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은 열풍건조와 음지건조 처리 시 동결건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쇠무릎 에탄올 추출물의 DPPH, 히알루로니다아제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효과 (Evaluation of Achyranthes japonica Ethanol Extraction on the Inhibition Effect of Hyluronidase and Lipoxygenase)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70-1376
    • /
    • 2015
  • 우슬(牛膝)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의 뿌리를 약용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1, 1- diphenyl 2-picrylhyorazyl (DPPH)은 잘 알려진 자유 라디칼이다. Hyaluronidase (HAase)은 결합조직의 세포외성 기질에서 히알루론산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Lipoxygenases (LOX)은 지방산 대사와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쇠무릎에서 이 세 작용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생육 발달 단계(어린 영양기관과 성숙한 영양기관)에 대해 이들 추출물의 활성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해 50% 저해(IC50)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잎과 줄기, 뿌리 모두에서 탁월되었다. 특히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작용이 현저하였으며 향후 어떤 화합물인지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DPPH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LOX에 대한 저해작용은 기존 연구자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어린 식물조직과 성숙한 식물조직에서 추출한 발달 단계에 따른 이들 세 가지 활성에서 어린 뿌리보다 성숙한 뿌리에서 약간 더 우수한 작용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양한 식물배양세포주에서 자유라디칼 포착활성과 Ascorbate 함량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scorbate Content in Various Plant Cell Lines)

  • AHN, Young-Ock;CHOI, Yong-Hwa;KWON, Seok-Yoon;LEE, Haeng-Soon;KIM, Suk-Won;PARK, Il-Hyun;KWAK, Sang-So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89-293
    • /
    • 1998
  • 다양한 유도조건에서 확립한 64종의 식물배양세포주의 MPA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활성이 높은 세포주를 대상으로 HPLC로 ascorbate 함량을 분석하였다. 13종의 세포주는 생체중 50mg 이하에서 DPPH 라디칼의 자연산화를 억제하는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중 6종의 세포주의 MPA추출물을 실리카겔 TLC에 전개하여 DPPH용액을 분무한 결과, ascorbate와 같은 Rf 위치에서 DPPH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존재하였다. DPPH 양성반응을 나타낸 덩굴장미(Rosa multiflor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세포주의 ascorbate 함량($\mu\textrm{g}/g$ cell fresh wt)은 각각 48.5, 30.3, 16.8였다. 황금 캘러스 배양에서 ascorbate의 함량은 세포생장에 비례하여 정지기까지 증가한 후 계속적인 생장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

미성숙 목화다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 박희정;이기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6-4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래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의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목화다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및 ABTS radical의 소거능 또한 작은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페놀함량이 높은 실험군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인체 위 내부환경과 같은 pH 1.2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이다가 pH 4.2에서는 점차로 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중성에 가까운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하면 낮은 활성이었지만, 기 보고된 다른 천연물들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미성숙 목화다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에 있어서 새로운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그동안 주로 천연 솜의 생산을 위해 재배되어왔던 목화의 제한적 활용성을 더욱 다양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자생 식물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항균성 스크리닝 (Screening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local some native plants)

  • 김현수;안정좌;최태호;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93-599
    • /
    • 2014
  •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가진 천연물을 활용해 합성보존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 자생 식물 중 135종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항산화 활성이 10%대로 낮게 나타난 식물 8종에 대해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0.41~94.84%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식물은 꽃향유와 우엉으로 각각 94.84, 80.55%를 나타내었다. 우엉은 잎의 경우 26.87, 뿌리 19.29%의 활성을 나타내 동일 식물이라도 추출부위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이질풀과 비쭈기나무는 각각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Candida속인 C. albicans에 대해 2.2~10.8 mm 수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식물에 대한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하여 기능성을 확인하고 이들 항산화성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판 포도 주스의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함량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 이혜련;정보라;박주영;황인욱;김숙경;최종욱;이상한;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45-449
    • /
    • 2008
  • 국내에서 제조 및 시판되고 있는 사과를 비롯한 과일 주스 5종, 포도 주스 10종의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DPPH 방법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시판 과일 주스 중 오렌지의 총 페놀 함량이 114.09 nlg/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도주스 10종은 $57{\sim}205\;mg/L$의 함량으로 제품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과일 주스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자몽이 가장 높았으며 사과, 파인애플이 낮았다. 포도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시료별로 GU4, GU5, GU9가 거의 80%정도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FRAP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역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유사한 결과이었다. 그리고 DPPH 및 FRAP, 총 페놀 함량 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7 이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총 페놀 함량이 높을수록 과일 주스 제품의 항산화 활성능력이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