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_3(PO_4)_2$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31초

시용질소양이 상엽중 이온 균형 및 엽위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Rate on the Ionic Balance and the Variance with Leaf Sequance in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 이운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3-54
    • /
    • 1983
  • 하비의 질소시비량을 달리하였을 때 뽕나무의 생육, 수엽량, 이온함량의 변동과 엽위별 이동, 균형 등을 알기 위해 요소관행구(25kg/10a)와 요소 3배증시구(75kg/10a)를 설치하고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요소증시는 관행양에 비해 조장, 조중을 증가시켰으며, 정엽양은 9월20일경에 생물중으로 273.6kg/10a를 증가시켰다. 2. 뽕잎중의 수분함양은 8월30일까지 73%이상을 유지하였으나, 그 후 계속 감소되어 9월20일경에는 63%내외로 떨어졌다. 증시구에서는 관행구보다 0.1~1.8%정도 높았으며 10월10일경까지도 뽕잎이 연하였다. 3. 생육초기부터 계속 증가한 뽕잎의 건물중은 9월20일경에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지조의 무게는 9월 30일까지도 계속 증가하였다. 4. 엽중의 $Ca^{2+}$는 경시적으로 함양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K^{+}$$Mg^{2+}$은 감소되었으며, $Ca^{2+}$은 증시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5. 각종 이온의 경시적인 엽위별 이동을 보면 8월30일경에 전질소 및 수분함량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이동성이 불량한 $Ca^{2+}$와 Cl$^{-}$는 상부로, 양호한 $K^{+}$, H$_2$PO$^{-}$$_4$ 그리고 SO$^{2-}$ $_4$ 등은 하부로 점차 이동하였다. 6. 전질소의 함양은 8월30일 이전에 3,200me/kg DM에서 9월 초순 이후에는 2,000me/kg DM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관행구는 9월12일에, 증시구는 9월22일에 최대함량부위가 아래 엽위로 떨어지면서 10일후에는 각각 선단의 생장점이 고사ㆍ탈락하였다. 7. ∑C는 생육초기에 1,400me/kg DM에서 점차 증가하여 1,600me/kg DM 내외를, ∑A는 400me/kg DM 내외를, (C-A)는 생육초기에는 1,000me/kg DM에서 증가하여 1,200me/kg DM 내외를 각각 유지하였다. 8. ∑C, ∑A, (C-A) 등은 관행구에서 보다 증시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증시구에서는Ca$^{2+}$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NO$^{-}$$_3$, SO$^{2-}$ $_4$, H$_2$PO$^{-}$$_4$ 등이 다소 높았기 때문이다.

  • PDF

굴패각과 인산으로부터 수산화아파타이트 분말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Hydroxyapatite Powders Using Oyster Shells and H3PO4)

  • 류수착;엄지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9호
    • /
    • pp.747-749
    • /
    • 2002
  • Hydroxyapatite powders were prepared after heating at $1250^{\circ}C$ by the direct reaction using oyster shells and $H_3$$PO_4$. Properties of hydroxyapatite powders were investigated as XRF, XRD, DTA, FT-IR, SEM. Only hydroxyapatite was observed in XRD powders which was heated at $1250^{\circ}C$ for 2 hours and there was no remained CaO in that sample. And the results of FT-IR of sample was confirmed hydroxyapatite. Sample was agglomerated together, but needle shape morphology was observed in powders heated at $1250^{\circ}C$.

본차이나 소지용 인산칼슘 분말의 제조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alcium Phosphate Powder to Bonechina Clay)

  • 김윤성;김준이;유중환;김형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921-928
    • /
    • 2004
  • 수용액의 pH, 소성온도, 반응시간 등을 변화한 조건하에서 $Ca(OH)_2$$H_{3}PO_4$ 수용액을 이용하여 인산칼슘계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산성분위기(pH=5.21)에서는 ${\beta}-TCP({\beta}-tricalcium phosphate)$가, pH>7.62에서는 HAp(hydroxyapatite)가 주 결정상으로 관찰되었다. XRD 분석결과, $Ca(OH)_2$$H_{3}PO_4$는 빠르게 반응(5분이내)하여 HAp를 생성하였고, 반응 16시간까지 안정적으로 구조를 유지하였다. 우수한 결정성을 나타내는 소성온도는 $1200^{\circ}C$로 관찰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에 의한 미세구조 관찰 결과, pH가 5.21일 경우 침상 형태의 ${\beta}-TCP$ 입자가, pH 7.62에서는 침상 형태의 HAp가 합성되었다. 그러나 pH 9.16에서는 매우 작고 균일한 구형의 HAp 입자들이 생성되었고, 다시 작은 입자들이 침상으로 재배열된 형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합성된 HAp(pH 9.16)를 본차이나 소지에 일정량 혼합하여 본차이나 물성, 즉 결정성, 흡수율, 색도, 파단면의 형상을 측정${\cdot}$분석하였다.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IFO 30388)에 의한 Poly R-478 염료의 탈색 (Decolorization of Poly R-478 Dye by Coriolus versicolor IFO 30388)

  • 윤경하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2-185
    • /
    • 1994
  • 구름버섯에 의한 Poly R-478염료의 탈색에 미치는 탄소원과 질소원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2.0% glucose, 0.04% ammonium tartrate, 2% $KH_2PO_4$, 0.5% $MgSO_4{\cdot}7H_2O$, 0.1% $CaCl_2{\cdot}2H_2O$, 0.002% thiamine-HCI, 10 mM 2,2-dimethylsuccinate(sodium)와 0.02% Poly R-478 염료 등으로 조성된 질소제한배지에서 균주를 $28^{\circ}C$에서 10일간 정치배양 했을때 염료의 탈색율은 87.2%로 나타났다. 염료의 탈색은 배지내에 질소원이 존재할 때에 일어났으며 탈색율은 배지내에 질소원이 고갈된 직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재배시기별 장미의 무기이온 흡수특성과 적정 배양액 조성 (Seasonal Mineral Nutrient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Optimum Nutrient Solution for Rose Substrate Culture in a Closed Hydroponic System)

  • 양은영;박금순;오정심;이혜진;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4-362
    • /
    • 2009
  • 본 연구는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 시 재배시기별로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고자 일본야채다업시험장 표준액을 1/4S, 1/2S, 2/3S, 1S로 하여 펄라이트와 입상 암면을 4:6 부피비로 섞은 고형배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온기재배의 경우 1/2S 처리구에서, 저온기의 경우 2/3S 처리구에서 광합성 속도, 절화 품질 및 생육이 우수하였다. 이를 토대로 1/2S(고온기), 2/3S(저온기) 처리구의 양수분 흡수율을 기준으로 새로운 배양액을 조성하였다. 이온의 조성은 고온기의 경우 $NO_{3^-}N$ 6.8, $NH_{4^-}N$ 0.7, $PO_{4^-}P$ 2.0, K 3.8, Ca 3.0, Mg 1.2, $SO_{4^-}S$ $1.2me{\cdot}L^{-1}$, 저온기의 경우 $NO_{3^-}N$ 6.8, $NH_{4^-}N$ 0.7, $PO_{4^-}P$ 2.0, K 3.8, Ca 3.0, Mg 1.2, $SO_{4^-}S$ $1.2me{\cdot}L^{-1}$ 이었다. 개발한 배양액의 적합성 평가실험 결과 UOS 배양액은 Ca, P 등의 이온이 장미의 양분흡수율보다 많이 함유된 기존의 배양액과 비교하여 근권 내 EC 변화가 안정적이었다. 또한 절화수량이 재배기간에 관계없이 기존 배양액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저온기 재배시 아이찌현 배양액 처리구에 비하여 수확량이 140%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형배지를 이용한 장미 순환식 수경재배시 새로 개발된 배양액을 사용할 경우 기존 배양액에 비해 비료절감의 효과와 함께 안정적인 생육 및 수량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결정화 소결에 의한 생체활성재료의 제조 (Preparation of bioactive materials by crystallization sintering)

  • 명중재;이안배;정용선;신건철;김호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9-178
    • /
    • 1998
  • CaO-$SiO_2-P_2O_5$ 3성분계 유리화 영역(glass forning region)내의 여러조성(A:$SiO_2$- rich조성, B:CaO-rich조성, C:$P_2O_5$-rich조성, D, E:A, B, C의 중간조성)을 가지는 유리분말을 결정화시켰을 때 유리중에 석출되는 결정상(crystal phase)을 분말 XRD로 확인하였다. 여러조성중 apatite(($Ca_{10}(PO_4)_6O$)와 $\beta$-wollastonite($CaSiO_3$)결정이 석출되고, 굽힘강도가 우수한 E조성(CaO 49.4, $SiO_2\;36.8,\;P_2O_5$8.8wt%)을 선택하여 이 조성의 유리분말을 일방향으로 결정화 소결하였다. 제조된 결정화 소결체에 대하여 charaterization을 하고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결정화 소결체와 생체뼈와의 결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사체액(simulated body fluid)내에서 침적실험을 하였으며, 결정화 소결체의 표면을 thin-film XRD, FT-IR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apatite와 wollastonite 결정이 석출된 치밀한 결정화 소결체가 얻어졌으며, 이들 결정은 wollastonite 결정의 (202)면이 인상방향에 수직으로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제조된 결정화 소결체는 평균 186.9MPa의 굽힘강도를 나타내어 일반적 방법으로 제조되는 결정화 소결체보다 높은 역학적 성질을 보였다. 유사체액내의 침적실험결과, 시료표면위에 apatite 결정층이 3일후부터 형성되어 생체뼈와 화학결합을 이룰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 PDF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에 의한 SCR 촉매 비활성 거동 (The deactivation behavior of SCR catalyst by alkali and alkali earth metal)

  • 한승윤;신민철;이희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38-242
    • /
    • 2016
  • 알칼리(토)금속이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 비활성화에 미치는영향을 미세구조, 촉매 비표면적, 기공 부피 변화, 탈질 성능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신촉매를 $350^{\circ}C$에서 6시간 동안 $H_3PO_4$, $K_2CO_3$, $Na_2CO_3$, $Ca(CH_3COO)_2{\cdot}H_2O$, $C_4H_6MgO_4{\cdot}4H_2O$ 수용액을 분사 시켜, 모사 피독된 SCR 촉매를 제조하였다. 피독 촉매 표면의 미세구조는 신촉매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이지만, 비표면적과 기공 부피 변화를 신촉매와 비교하였을 때, Na < Mg < K < Ca < P 순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Na에 의해 피독된 촉매는 비표면적은 $10.20m^2/g$, 기공부피는 $0.061cm^2/g$ 정도 감소하였다. $150{\sim}450^{\circ}C$에서 신촉매 및 피독 촉매의 탈질성능을 평가한 결과, 알칼리 금속(K, Na)에 피독된 SCR 촉매가 가장 낮은 탈질효율을 보였으며, 알칼리 토금속(Ca, Mg)에 피독된 SCR 촉매는 알칼리 금속(K, Na)에 피독된 촉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탈질 효율을 보였으며, 인(P)에 의해 피독된 촉매는 SCR 신촉매와 거의 유사한 탈질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CR 촉매 비표면적이나 기공 부피 감소에 따른 물리적인 비활성화가 SCR 촉매 탈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Achromobacter sp. YJ-66에 의한 생물응집제의 생산 특성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Bioflocculant by Achromobacter sp. JY-66)

  • 우정숙;정준영;정만재;도대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33-439
    • /
    • 1999
  • Among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oil, YJ-66 strain was the best producer of flocculant and was examined for flocculating ability in the active carbon and CaCl2. YJ-66 strain was the best producer of flocculant and was examined for flocculating ability in the active carbon and CaCl2. YJ-66 strain was identified to be a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chromobact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 for production of bioflocculant with the isolated strain was for 72hrs at 3$0^{\circ}C$ and pH7.5. The favorable carbon, nitrogen sources and inorganic salts for production of the flocculant were sucrose, peptone, MgSO4 and KH2PO4, whose optimal concentrations were 2%. 0.067%, 0.1% and 0.1%, respectively. Addition of the carbon and inorganic sal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flocculant. Compositions of optimized culture medium for bioflocculant production by Achromobacter sp. YJ-66 were 2% sucrose, 0.067% peptone, 0.1% MgSO4 and 0.1% KH2PO4 in initial pH 7.5 during at 3$0^{\circ}C$ for 72hrs.

  • PDF

연속 안정화 공법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 안정화 처리를 위한 Column 실험 연구 (The Laboratory Column Examination of Stabilization for Agricultural Land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using Sequential Stabilization)

  • 박동혁;조윤철;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4호
    • /
    • pp.39-45
    • /
    • 2010
  • In order to treat paddy soils contaminated by Pb, Cd, and As near the abandoned mine, $H_2PO_4$ was used for stabilization of Pb ($PO_4$/Pb mole ratio of 2/1). In addition, $CaCO_3$ and $FeSO_4$ were used as stabilizers for treating Cd and As (2% w/w), respectively. Leaching tests were conducted with artificial rain in the column to assess the heavy metal stabilization efficiency. The mass of heavy metals in the effluents passed through the columns were analyzed. The remaining heavy metals in the soils were also analyzed as Korean soil standard method, phytoavailability test and sequential extraction test. Lead in the effluent was not detected when $H_2PO_4$ was used as a stabilizer. This result suggests that $H_2PO_4$ is efficient for Pb stabilization. In addition results of sequential extraction scheme suggest that heavy metals are present as residual forms which is not easily extracted.

Regeneration of a Micro-Scratched Tooth Enamel Layer by Nanoscale Hydroxyapatite Solution

  • Ryu, Su-Chak;Lim, Byoung-Ki;Sun, Fangfang;Koh, Kwang-Nak;Han, Dong-Wook;Lee, Jae-Beo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4호
    • /
    • pp.887-890
    • /
    • 2009
  • Hydroxyapatite (HAp)-based material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on account of their excellent stability and recrystallization. Nanoscale HAp powders with a mean particle size of 200 nm were used to regenerate the enamel layers of damaged teeth. An artificially scratched tooth was immersed in a nanoscale HAp powder suspension in d.i. water (HAp of 70 wt%) at 37 ${^{\circ}C}$ for a period of 1~3 months. SEM and AFM showed that the scratched surface was ultimately inlaid with HAp after three months and the roughness increased from 2.80 to 5.51. Moreover, the hardness of the neo-generated HAp layer on the crown was similar to that of the innate layer. $Ca^{2+}$ and ${PO_4}^{3-}$ ions from the HAp powders dissolved in d.i. water were precipitated on the tooth to produce cemented pasteson the enamel surface due to its high recrystalliz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a hard neo-regenerated HAp layer on the enamel layer. This nanoscale HAp powder solution might be used to heal decayed teeth as well as to develop tooth whitening appli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