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6$-화합물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31초

참치 가공부산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2. 분말 참치 가수분해물의 향미성분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Commercial Proteases 2. Flavor Compounds in Powdered Skipjack Hydrolysate)

  • 김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7-626
    • /
    • 1996
  • 참치 가공 부산물로부터 제조한 가수부내물의 질소 화합물의 경우 생시료에서는 3.91g%인 반면에, 가수분해물에서는 24.94g%로서 생시료에 비해 6.4배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시료에서는 lysine이 889.13mg%로서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22.73%를 차지하였고, 그 외 taurine, 3-methylhistidine, anserine, alanine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나 가수분해물에서는 anserine이 3,041.12mg%로서 전체 함량의 12.19%를 차지하였고 그 외 histidine, leucine, hydroxyproline, arginine, phenylalanine, taurine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결과에서는 두 시료 모두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각각 55.14%와 49.28%로 높았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C_{16:0}$, $C_{18:0}$, $C_{18:1/}$, $C_{22:6}$가 주요 지방산으로서 전체 함량의 75% 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특히 가수분해물 중의 polyene산은 생시료에 비해 1.4배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99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는데 이중에서 생시료에서는 75종의 화합물이, 가수분해물에서는 72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주로 알데히드류(28종), 케톤류(20종), 알콜류(19종), 함질소화합물류(5종), 방향족화합물류(10종), 퓨란류(4종)와 기타 화합물류(12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산화취성분인 알데히드류 및 방향족화합물은 생시료에 비하여 가수분해물에서는 상당량 감소된 반면, 고소한 향기성분인 heterocyclic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다.

  • PDF

Umbilicaria vellea 중 페놀성 화합물의 구조 및 항균활성 (The Structure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biotic Activities in Umbilicaria vellea)

  • 민태진;배강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623-629
    • /
    • 1996
  • 지의류에 속하는 Umbiliciaria vellea 중 에탄올 분획의 항균활성 물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silica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재결정법으로 화합물 I과 II를 순수히 분리정제하여 그 구조와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정제된 화합물I은 Cryptococcus neoformance 등의 균에 대한 항진균활성과, Pseudomonas aeruginosa등의 균에 대한 항세균 활성이 있었다. 이 물질의 녹는점은 129~132$^{\circ}C$였고, 217, 265 및 330 nm의 UV 최대흡광을 보였다. 그리고 EI-mass에서 측정된 분자이온은 m/z 196이었고, 원소분석 결과 분자식은 $C_{10}H_{12}O_4$였으며 IR 및 NMR 스펙트라로부터 이 물질이 ethyl 2,4-dihydroxy-6-methyl benzoate임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II의 녹는점은 58~59$^{\circ}C$였고, 212, 276 및 282 nm의 UV 최대흡광을 보였다. 이 물질의 분자이온은 m/z 124였고, $C_7H_8O_2$의 분자식을 갖는 5-methyl-1,3-benzenediol임을 확인하였다.

  • PDF

Siloxyl Ethylene 그룹과 말단치환기를 포함하는 액정화합물의 합성 및 액정성 (Syntheses and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the Compounds Having a Siloxylethylene Group and a Terminal Substituent)

  • 양성훈;홍완해;유의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65-373
    • /
    • 1996
  • Diethylenedisiloxyl 유연격자를 갖는 일련의 새로운 액정화합물을 합성하여 이들의 액정특성 및 말단의 페닐기에 para 치환기들의 스멕틱 그룹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또 말단그룹의 크기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ara 치환된 페닐 대신 $\beta$-naphthyl 그룹을 도입한 화합물도 아울러 합성하였다. 모든 화합물들은 85-95%의 높은 수율로 합성되었으며, 합성된 화합물들은 모두 양방성 액정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중 $X=NO_2$ 화합물은 $S_A$상을 보였고, 나머지 화합물들은 모두 $S_B$상을 보여주었다. 화합물들의 녹음열은 일반적인 액정화합물들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등방화열은 비슷한 값을 보였는데, 치환기의 스멕틱그룹 효율성은 $H 순이었다.

  • PDF

Maillard 반응에서 유래되는 저분자 Carbonyl 화합물의 DNA손상작용에 대한 활성산소종의 역할 (Role of Active Oxygens on DNA Damage by Low Molecular Carbonyl Compounds Derived from Maillard Reaction)

  • 김선봉;박성준;강진훈;변한석;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5-570
    • /
    • 1990
  • Plasmid pBR322 DNA와 Maillard 반응생성물중 카르보닐화합물인 glyoxal, methyl glyoxal, dihydroxyacetone, diacetyl, glyceraldehyde, glycolaldehyde 및 furfural 등과 각각 37$^{\circ}C$에서 반응시켰을때 나타나는 DNA 손상능과 활성산소소거제에 의한 DNA손상억제 작용을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카르보닐화합물을 37$^{\circ}C$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경우, furfural을 제외한 모든 카르보닐화합물에 DNA 손상능이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glyoxal, methyl glyoxal 및 dihyd-roxyacetone 이 diacetyl, glyceraldehyde 및 glyco-laldehyde보다 BNA의 손상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plasmid DNA와 카르보닐화합물의 반응계에 각종 활성산소소거제의 첨가를 통하여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에 대한 DNA의 손상을 검토한 결과 일중항산소, 과산화수소, superoxide anion 등이 주요원인물질로 밝혀졌으며, hydroxyl radical은 그 작용이 미약하거나 거의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apillary-GC(FID)에 의한 오미자 Lignan 성분의 정량 (Determination of Lignan Compounds in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ON by Capillary-GC(FID))

  • 손현주;복진영;백순옥;김용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50-356
    • /
    • 1989
  • 무주산 오미자로부터 lignan 화합물인 deoxyschizandrin, gomisin N, schizandrin, gomisin A, wuweizisu C, angeloygomisin H 및 tigloylgomisin H를 분리 동정하고 capillary-GC (FID)를 이용하여 이들 화합물의 정량성을 조사하였다. 이 때 lignan 화합물의 동정에는 GC/MS (Finigan MAT 212; El, 70eV), 1H-NMR (Bruker FT; 300MHz) 및 IR (Perkin Elmer 599B)을 이용하였으며, lignan 화합물의 정량에는 FID 및 integrator(Hewlett-Packard 3393A)가 부착된 GC (Hewlett-Packard 5890A)를 이용하였다. 한편, GC column은 SPB-1 fused silica capillary$(0.25mm\;ID{\times}30m,\;Supelco)$를 사용하였고 column oven의 온도는 $200^{\circ}C$부터 $300^{\circ}C$까지 분당 $4^{\circ}C$씩 승온하였으며, carrier gas는 $N_2$, 1.0ml/min(split ratio=40 : 1)을 사용하였다. 각 lignan 화합물의 정량 가능농도범위는 deoxyschizandrin과 wuweizisu C가 $2{\sim}500ppm$이었고 gomisin N, schizandrin, gomisin A, angeloylgomisin H 및 tigloygomisin H 가 $5{\sim}500ppm$이었으며 무주산 오미자의 lignan성분 함량은 schizandrin이 6.50mg/g으로 가장 높았고 gomisin N, gomisin A, wuweizisu C, angeloylgomisin H, deoxyschizandrin, tigloylgomisin H의 순으로 낮은 경향이었다.

  • PDF

친환경 무독성 난연도료 개발연구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Nontoxic Flame Retardant Paint)

  • 도영웅;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54-135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U의 6대 유해물질(Pb, Hg, Cd, $C^{+6}$, PBB/PBDE) 규제와 국내 환경부의 환경유해물질 규제법규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무독성 난연 도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도료는 VOC(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이 적어 친환경적이며, 할로겐계를 탈피하여 인체안전성 확보됨과 동시에 검정기술기준(KOFEIS 0201)에 적합한 수용성 유 무기계 복합화합물이다. 유 무기계 난연 복합화합물 제조를 위하여 $Mg(OH)_2$, $Sb_{2}O_{3}$, 붕산아연 등의 난연성 화합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화합물의 최적배합 비율은 1: 2: 2였다. 최종적으로 난연 복합화합물을 바인더(마이셀 2%) 및 용제(물)와 1: 0.5: 0.5로 배합하여 난연도료를 제조하여 그 난연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산겨릅나무 수피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Acer tegmentosum Bark)

  • 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45-151
    • /
    • 2007
  • 산겨릅나무 수피의 성분 연구를 위해 수피를 채취하여 70% 아세톤 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후 분획깔때기로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순차 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용성 분획에 대하여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5개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1H-NMR$, $^{13}C-NMR$, 2D-NMR 및 M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catechin (1), (-)-epicatechin (2), (-)-epicatechin-3-O-gallate (3), gallic acid (4) 및 6''-O-galloylsalidroside (5)으로 동정하였다. (-)-epicatechin-3-O-gallate (3), gallic acid (4), 6''-O-galloylsalidroside (5)는 산겨릅나무 수피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포접화합물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 (IV) - TMA 물계 포접화합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 (The Effects of an Additive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Clathrate Compound (IV) - The Case of TMA Clathrate Compound with Surfactant -)

  • 정낙규;김진흥;김창오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12호
    • /
    • pp.1212-1217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 of a small portion of surfactant on the supercooling and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of TMA 30 wt% clathrate compound when surfactant is added to the clathrate compound.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concentration of additive ranges between 0.08~0.12 wt% and the temperature of heat source ranges between -8 and -6$^{\circ}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with the surfactant of 0.1 wt% is lower by 1$^{\circ}C$ than TMA 30 wt% and the supercooling is reduced by 1$0^{\circ}C$.

몰리브덴늄 (0)-알카디엔화합물의 합성 및 확인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lybdenum (0) Complexes with Various Alkadienes)

  • 윤석승;최윤동;장인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0-437
    • /
    • 1990
  • 금속원자 반응기를 사용하여 몰리브덴 금속증기와 1,3-butadiene 유도체를 반응시켜서 (${\eta}^4$-CH$_2$CRCR'CH$_2$)$_3$Mo(R, R'= H 또는 CH$_3$)를 합성하였으며, 이 때 생성된 유기금속화합물에 대한 1,3-butadiene 유도체의 메틸치환기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몰리브덴 금속증기와 다른 몇 가지 알카디엔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유기금속화합물이 형성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공기 중의 실온에서 쉽게 분해 되었다. 또한 (${\eta}^4$-CH$_2$CCH$_3$CCH$_3$CH$_2$)$_3$Mo와 일산화탄소를 반응시켜서 (C$_6$H$_{10}$)$_2$(CO)$_3$Mo를 합성하였으며 이 화합물의 금속-리간드 결합에 관하여 논하였다.

  • PDF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ompounds Isolated from Schisandra chinensis)

  • 서원세;박소연;민병선;김세현;송정호;심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65-670
    • /
    • 2014
  • 오미자 추출물의 n-hexane 분획으로부터 open column chromatography, 분취용 HPLC 등 여러 가지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총 15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들은 각각의 기기분석 데이터를 문헌치와 비교하여, 각각 wuweizisu C (1), gomisin N (2), deoxyschisandrin (3), gomisin A (4), schisandrin (5), chamigrenal (6), schisanlactone D (7), methylgomisin O (8), angeloylgomisin O (9), (-)-gomisin $L_2$ (10), schisandronic acid (11), (-)-gomisin $L_1$ (12), (+)-gomisin $K_3$ (13), gomisin J (14), tigloylgomisin H (15)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methylgomisin O (8)는 이 식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은 HL-60 (human leukemia), HeLa (human cervical carcinoma) 및 MCF-7 (breast cancer cells) 세포주에 대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7, 8 및 9는 HL-60 세포주에 대하여 각각 7.37, 6.60 및 $8.00{\mu}M$$IC_{50}$로 비교적 강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다. 화합물 6은 MCF-7에 대하여 $IC_{50}$ $30.50{\mu}M$로 적정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화합물 8은 HeLa cells에 대하여 $IC_{50}$ $1.46{\mu}M$로 비교적 강한 세포 독성으로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