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_{17}$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4초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의 새로운 부탄올 추출물인 LP-M이 Akt/ERK NGF receptor signaling pathway를 통해 뇌조직에서 신경세포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LP-M, a Novel Butanol-Extracts Isolated from Liriope platyphylla, could Induce the Neuronal Cell Survival and Neuritic Outgrowth in Hippocampus of Mice through Akt/ERK Activation on NGF Signal Pathway)

  • 남소희;최선일;구준서;김지은;이연경;황인식;이혜련;이영주;이홍구;최영환;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34-1243
    • /
    • 2011
  •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동양의학에서 오래 동안 항염증제, 당뇨 혹은 비만 치료제, 그리고 신경세포활성화 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맥문동으로부터 NGF의 발현을 촉진하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고 이들의 작용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맥문동으로부터 13가지의 새로운 추출물을 확보하고 이들의 기능을 세포주와 마우스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세포독성이 낮고 NGF의 분비량이 많은 LP-E, LP-M, LP-M50, LP2E17PJ 등 4가지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들 중에서 LP2E17PJ를 제외한 3가지 추출물에 의해 분비된 NGF는 PC12세포의 neuritic outgrowth를 촉진하였다. 더불어 추출방법과 추출량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LP-M을 C57BL/6 마우스에 2주간 투여하여 뇌조직에서 NGF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LP-M은 오직 피질에서만 두 종류의 receptor 중에서 low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억제신호를 전달하였으며, 해마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그러나 high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신호전달은 해마에서만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였고 피질에서는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맥문동 추출물인 LP-M은 마우스 대뇌의 해마에서 high affinity receptor를 통한 신호전달을 통해 neuritic outgrowth를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침치료(鍼治療)에 의한 말초성(末梢性)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痺)의 임상적(臨床的) 관찰(觀察) (Clinical Observation of Bell's Palsy)

  • 강성길;김용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16
    • /
    • 1995
  • 1994년 3월부터 1995년 2월까지 1년동안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로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침구1과에 침치료를 받기 위하여 내원한 환자중 발병한지 1주일 이내로 이부(耳部) 대장포진(帶狀疱疹)이나 종양 또는 외상을 당하지 않은 초발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3회씩 합곡(合谷)(L14), 족삼리(足三里)(ST36), 영향(迎香)(LI20), 찬죽(BL2), 예풍(TE17), 지창(地倉)(ST4), 협차(頰車)(ST6), 수구(水溝)(GV26), 승장(承漿)(CV24), 양백(陽白)(GB14)과 어요(魚腰)(Ex-HN4)를 선혈(選穴)하여 자침하고 치료경과를 관찰하였다. 지창(地倉)에서 협차(頰車), 수구(水溝)와 승장(承漿)에서 지창(地倉), 양백(陽白)에서 어요(魚腰)로는 투자법을 실시하였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39.3세이었고, 여성이 63.6%를 차지하였고 그중 한 명은 임신중이었다. 안면신경마비의 회복판정 척도는 House-Brackmann facial nerve grading scales를 사용하여 초진부터 초진후 7주까지 또는 7주이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매주 평가하였다. 86.4%의 환자가 초진후 7주이내에 완전히 회복 되었으며, 회복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3.7주로 관찰되었다.

  • PDF

분리막을 이용한 무전해 PCB 도금 폐수의 재활용 (Wastewater Recycling from Electroless Printed Circuit Board Plating Process Using Membranes)

  • 이동훈;김래현;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13권1호
    • /
    • pp.9-19
    • /
    • 2003
  • 무전해 PCB 도금 공정 수세액을 분리막으로 처리하여 투과수는 공업용수로 재사용하고 유가금속인 금(Au)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역삼투 분리막 테스트 셀을 이용하여 수세액 처리에 적합한 분리막을 선정하였으며 scale-up을 위한 나권형 모듈 투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새한에서 생산되는 RO-TL(tap water, low pressure), RO-BL(brackish water, low pressure), RO-normal(for water purifier)막으로 투과실험하였으며 그 중 RO-TL막이 soft etching, 촉매 및 Ni 수세액 처리에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RO-TL막으로 제작한 나권형 가정용 정수기 모듈로 7bar, $25^{\circ}C$에서 scale-up 실험을 수행하였다. Au수세액의 투과 유속은 약 30 LMH로서 가장 높았으나 Au 제거율이 80% 미만이었다. Pd, Ni 및 soft etching 수세액의 투과유속은 각각 약 22, 17, 10 LMH 정도이며 Pd의 제거율은 85% 이상, Ni 및 Cu 제거율은 97% 이상이었다. 또한 Au, Ni 및 Cu 이온이 함유된 수세액 중 유가금속인 Au를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NF막을 사용하였다. Au수세액 중 Ni 및 Cu 이온은 대부분 제거되었으며 투과액 중에 Au이온이 81.9% 존재하였고 계속하여 RO-TL막으로 Au를 농축 회수하였다. 마지막으로 4"직경의 NF 및 RO-TL 나권형 모듈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Au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인하였다.

Microbacterium sp. AL-210이 생산하는 levan fructotransferase의 효소활성에 중요한 아미노산의 동정 (Identification of catalytic acidic residues of levan fructotransferase from Microbacterium sp. AL-210)

  • 성희경;문금옥;최기원;최경화;황경주;김묘정;차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1
    • /
    • 2007
  • 당 분해효소의 family 32 (GH32)에 속하는 $\beta-fructofuranosidase$는 3차구조를 근거로 볼 때 W(L/M)(C/N)DP(Q/N), FRDPK, 그리고 ECP(D/G) 부위를 포함하는 세 군데의 보전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beta-fructofuranosidase$ family에 속하는 Microbacterium sp. AL-210 유래 levan fructotransferase (LFTase)의 보전적인 산성 아미노산들의 역할이 특정위치 돌연변이법으로 검사되었다. 각각의 돌연변이체는 대장균인 E. coli BL21 (DE3)균주에서 발현되어 대량 생산되었고, 금속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법과 FPLC법으로 순수 정제되었다. wild-type LFTase의 효소의 활성은 0.74 unit 인 반면 네 개의 돌연변이체인 D63A, D195N, E245A, E245D 각각은 specific activity를 측정해 본 결과 원 균주와 비교해서 약 100배 정도 감소한 효소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로써 아미노산 변형의 target이 되었던 Asp-63, Aps-195, 그리고 Glu-245가 모두 효소 활성 및 기질과의 결합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세 부위의 산성 아미노산들은 inulinase, levan fructotransferase와 invertase에 모두 보전적으로 위치 하므로 이들은 $\beta-fructofuranosidase$ family내 에서 공통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 만성백혈병 세포주에서의 Vitamin E Succinate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Vitamin E Succinate in Human Erythroleukemia K562 Cells)

  • 장창덕;김종명;안원근;박혜련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896-904
    • /
    • 2007
  • 비타민 E 유도체인 $RRR-{\alpha}-tocopheryl$ succinate (vitamin E succinate, VES)는 만성골수성 백혈병 세포인 K562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VES의 처리에 의해 apoptosis가 유도되는 과정에서 K562 세포 내의 ROS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ROS와 관련된$NF-{\kappa}B$, COX-2 그리고 $p21^{WAF1/CIP1}$등의 유전자가 활성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apoptosis의 과정 중 중요한 역할을 하는 Bax의 발현증가 및 손상된 DNA의 회복에 중심적 기능을 하는 PARP의 분열이 야기되었다. VES를 처리한 세포의 세포주기 분석에서는 apoptotic phase인 sub-Gl phase에서 세포사멸이 증가되고, 형태적으로는 염색질의 응축이 일어나는 결과로 미루어볼 때 VES는 K562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한 것을 알 수 있다. C57BL/C의 림프종 이종이식을 통한 VES의 항암활성 실험 결과, C57BL/C의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의 성장억제를 확인하였으며 높은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혈병 치료에 대한 분자적 기초를 제공하였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보다 실질적인 백혈병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microSelectron-HDR System에서 부인암 강내조사에 쓰이는 세 가지 Applicator Set들의 Ovoids에 대한 차폐효과 연구 (The Study of Shielding Effect on Ovoids of Three Different Gynecological Applicator Sets in microSelectron-HDR System)

  • 조영갑;박성용;최진호;김헌정;김우철;노준규;김주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259-266
    • /
    • 1998
  • Nucletron사의 microSelectron-High Dose-Rate(HDR) System에서 부인암의 강내 근접치료에 사용되는 Standard shielded applicator set(SSAS)와 Fletcher-Williamson applicator set(FWAS)는 standard applicator set(SAS)와 비교해서 다른 점이 ovoids 위와 아래 부분에 방광과 직장으로 가는 선량을 줄이기 위해 각각 스테인레스 강철(밀도 ${\varrho}=8,000\;kg/m^3$)과 텅스텐 합금(밀도 ${\varrho}=14,000\;kg/m^3$)으로 차폐가 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고안한 지지장치를 사용해서 국제방사선단위위원회(ICRU) 보고서 38에서 권고한 직장과 방광의 위치에 대하여 두 shielded ovoids의 차패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지장치를 PTW사의 전산화된 3차원 물펜톰에 부착하고 SAS의 ovoids를 지지장치에 고정하였다. Ovoids의 끝 부분을 전리함(PTW 0.125cc)의 측정점 높이와 일치시키고 전리함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선량을 측정하여 두 ovoids의 중간 위치를 확인하였다. 직장에 미치는 선량은 ovoids의 중간에 위치한 선원 M5로부터 posterior방향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점들인 20(Rl) 25(R2) 30(R3) 40(R4), 50(R5), 60(R6) mm에서 측정하였다. 방광에 미치는 선량은 M5로부터 anterior방향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점들인 20(Bl), 30(B2), 40(B3), 50(B4), 60(B5) mm에서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SSAS와 FWAS의 ovoids에서도 각각의 점들에 대한 선량을 측정하였다. SAS와 SSAS의 직장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실제 임상에서의 관심 점들과 가장 가까운 25 mm(R2)와 30 mm(R3)거리에서 각각 8.0% 6.0%였고 SAS와 FWAS의 직장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5 mm(R2) 와 30 mm(R3)거리에서 각각 25.0% 23.0%로 나타났다. SAS와 SSAS의 방광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0 m(Bl)와 30 mm(B2)거리에서 각각 8.0% 3.0%였고 SAS와 FWAS의 방광에 미치는 선량차이는 20 mm(Bl)와 30 mm(B2)거리에서 각각 23.0%, 17.0%로 나타났다. SAS를 SSAS나 FWAS로 대체하였을 때 직장에 미치는 선량은 SSAS는 최대 8.0 %, FWAS는 최대 26.0 %까지 감소되고 방광에 미치는 선량은 SSAS는 최대 8.0 % FWAS는 최대 23.0%까지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FWAS가 SSAS 보다 차폐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두 종류의 shielded applicator set는 부인암의 근접치료시 직장과 방광으로 가는 선량을 감소시켜 환자치료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lifelong exposure to a Western-style diet, but not aging, alters global DNA methylation in mouse colon

  • Choi, Sang-Woon;Tammen, Stephanie A;Liu, Zhenhua;Friso, Simonett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4호
    • /
    • pp.358-363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when compared to young mice, old mice have lower global DNA methylation and higher p16 promoter methylation in colonic mucosa, which is a common finding in colon cancer. It is also known that a Western-style diet (WSD) high in fat and calories, and low in calcium, vitamin D, fiber, methionine and choline (based on the AIN 76A diet) is tumorigenic in colons of mice. Because DNA methylation is modifiable by diet, we investigate whether a WSD disrupts DNA methylation patterns, creating a tumorigenic environment. SUBJECTVIES/METHOD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WSD and aging on global and p16 promoter DNA methylation in the colon. Two month old male C57BL/6 mice were fed either a WSD or a control diet (AIN76A) for 6, 12 or 17 months. Global DNA methylation, p16 promoter methylation and p16 expression were determined by LC/MS, methyl-specific PCR and real time RT-PCR, respectively. RESULTS: The WS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decreased global DNA methyl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17 months (4.05 vs 4.31%, P = 0.019). While both diets did not change global DNA methylation over time, mice fed the WSD had lower global methylation relative to controls when comparing all animals (4.13 vs 4.30%, P = 0.0005). There was an increase in p16 promoter methylation from 6 to 17 months in both diet groups (P < 0.05)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diet groups. Expression of p16 increased with age in both control and WSD groups. CONCLUSIONS: In this model a WSD reduces global DNA methylation, whereas aging itself has no affect. Although the epigenetic effect of aging was not strong enough to alter global DNA methylation, changes in promoter-specific methylation and gene expression occurred with aging regardless of diet, demonstrating the complexity of epigenetic patterns.

Decreased Expression of Inhibitor of DNA-binding (Id) Proteins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Increased Apoptosis in Ovarian Aging

  • Park, Min Jung;Park, Sea Hee;Moon, Sung Eun;Koo, Ja Seong;Moon, Hwa Sook;Joo, Bo Su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1호
    • /
    • pp.17-24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xpression of inhibitor of DNA-binding (Id) proteins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ovary according to female age using a mice model as the first step in investigating the potential role of Ids and VEGF in ovarian aging. C57BL inbred female mice of three age groups (6-9, 14-16, and 23-26 weeks) were injected with 5 IU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PMSG) in order to synchronize the estrus cycle. After 48 h, ovarian expression of Ids and VEGF was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stry. Ovarian apoptosis was examined by ovarian expression of Bcl-2 and Bcl-xL. Expression of Id-1 and VEGF was decreased with advancing female age, but not Id-2, Id-3, and Id-4. In particular, their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ged mice of 23-26 weeks compared with the young mice of 6-9 weeks (p < 0.05). In contrast, ovarian apoptosis was greatly increased in the aged mice compared to the young mice. This result suggests that Id-1 may have an implicated role in ovarian aging by associating with VEGF.

Effects of quantitative trait loci determining testicular weight in DDD/Sgn inbred mice are strongly influenced by circulating testosterone levels

  • Suto, Jun-ichi;Kojima, Misa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2호
    • /
    • pp.1826-1835
    • /
    • 2019
  • Objective: Testicular growth and development are strongly influenced by androgen. Although both testis weight and plasma testosterone level are inherited trait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is not fully established. Males of DDD/Sgn (DDD) mice are known to have extremely heavy testes and very high plasma testosterone level among inbred mouse strains. We dissected the genetic basis of testis weight and analyzed the potential influence of plasma testosterone level in DDD mice. Methods: Quantitative trait loci (QTL) mapping of testis weight was performed with or without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plasma testosterone level in reciprocal $F_2$ intercross populations between DDD and C57BL/6J (B6) mice, thereby assessing the influence of testosterone on the effect of testis weight QTL. Candidate genes for testis weight QTL were investigat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Results: Four significant QTL were identified on chromosomes 1, 8, 14, and 17. The DDDderived allel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testis weight. The $F_2$ mice were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lasma testosterone level ($F_2$ mice with relatively "low" and "high" testosterone levels), and QTL scans were again performed. Although QTL on chromosome 1 was shared in both $F_2$ mice, QTL on chromosomes 8 and 17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in $F_2$ mice with relatively high testosterone levels. By whole-exome sequencing analysis, we identified one DDD-specific missense mutation Pro29Ser in alpha tubulin acetyltransferase 1 (Atat1). Conclusion: Most of the testis weight QTL expressed stronger phenotypic effect when they were placed on circumstance with high testosterone level. High testosterone influenced the QTL by enhancing the effect of DDD-derived allele and diminishing the effects of B6-derived allele. Since Pro29Ser was not identified in other inbred mouse strains, and since Pro29 in Atat1 has been strongly conserved among mammalian species, Atat1 is a plausible candidate for testis weight QTL on chromosome 17.

Tiotropium Bromide Has a More Potent Effect Than Corticosteroid in the Acute Neutrophilic Asthma Mouse Model

  • An, Tai Joon;Kim, Ji Hye;Park, Chan Kwon;Yoon, Hyoung Kyu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1호
    • /
    • pp.18-24
    • /
    • 2022
  • Background: Neutrophilic asthma (NeuA) is usually resistant to corticosteroids. Tiotropium bromide (TIO) is a bronchodilator that is used as an add-on therapy to inhaled corticosteroid and long-acting β2 agonist in asthma treatment. However, the role of TIO in NeuA is not fully known.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IO on NeuA compared to that of corticosteroids. Methods: C57BL/6 female mice were sensitized with ovalbumin and lipopolysaccharide to induce neutrophilic inflammation. Dexamethasone (DEX) was administered on days 14, 17, 20, and 23. TIO was inhaled on days 21, 21, and 23. On day 24, mice were sacrific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levels of cytokines in bronchoalveolar lavage (BAL) and lung homogenates, and lung tissue histopatholog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Neutrophil counts, T helper 2 cells (TH2)/TH17 cytokine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in BAL fluids were elevated in the NeuA group. TIO group showed lower total cells, neutrophil counts, and eosinophil counts in BAL fluids than the DEX group (p<0.001, p<0.05, and p<0.001, respectively). Airway resistance was attenuated in the TIO group but elevated in the NeuA group (p<0.001). Total protein, interleukin (IL)-5, and IL-17A levels in BAL fluids were lower in the TIO group than in the NeuA group (all p<0.05). Conclusion: TIO showed more potent effects than DEX in improving airway inflammation and attenuating airway resistance in Ne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