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2$

검색결과 3,303건 처리시간 0.032초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DA12 Showing Pot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ycotoxigenic Fusarium Species

  • Lee, Theresa;Park, Dami;Kim, Kihyun;Lim, Seong Mi;Yu, Nan Hee;Kim, Sosoo;Kim, Hwang-Yong;Jung, Kyu Seok;Jang, Ja Yeong;Park, Jong-Chul;Ham, Hyeonheui;Lee, Soohyung;Hong, Sung Kee;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5호
    • /
    • pp.499-507
    • /
    • 2017
  • In an attempt to develop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mycotoxigenic Fusarium species, we isolated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DA12 from soil and explored its antimicrobial activities. DA12 was active against the growth of mycotoxigenic F. asiaticum, F. graminearum, F. proliferatum, and F. verticillioides both in vitro and in planta (maize). Further screening using dual culture extended the activity range of strain DA12 against other fungal pathogens including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coccodes, Endothia parasitica, Fusarium oxysporum, Raffaelea quercus-mongolicae, and Rhizoctonia solani. The butanol extract of the culture filtrate of B. amyloliquefaciens DA12 highly inhibited the germination of F. graminearum macroconidia with inhibition rate 83% at a concentration of $31.3{\mu}g/ml$ and 100% at a concentration of $250{\mu}g/ml$. The antifungal metabolite from the butanol extract was identified as iturin A by thin layer chromatography-bioautography. In additi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oduced by DA12 were able to inhibit mycelial growth of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The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2-heptanone, 5-methyl heptanone and 6-methyl heptanon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agonistic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DA12 was attributable to iturin A and volatile heptanones, and the strain could be used as a biocontrol agent to reduce the development of Fusarium diseases and mycotoxin contamination of crops.

Diffusible and Volatil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an Antagonistic Bacillus velezensis G341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 Lim, Seong Mi;Yoon, Mi-Young;Choi, Gyung Ja;Choi, Yong Ho;Jang, Kyoung Soo;Shin, Teak Soo;Park, Hae Woong;Yu, Nan Hee;Kim, Young Ho;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5호
    • /
    • pp.488-498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olatile and agardiffusible antifungal metabolites produced by Bacillus sp. G341 with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Strain G341 isolated from four-year-old roots of Korean ginseng with rot symptoms was identified as Bacillus velezensis based on 16S rDNA and gyrA sequences. Strain G341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all phytopathogenic fungi tested. In vivo experiment results revealed that n-butanol extract of fermentation broth effectively controlled the development of rice sheath blight, tomato gray mold, tomato late blight, wheat leaf rust, barley powdery mildew, and red pepper anthracnose. Two antifungal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strain G341 and identified as bacillomycin L and fengycin A by MS/MS analysis. Moreover, volatile compounds emitted from strain G341 were found to be able to inhibit mycelial growth of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Based on volatile compound profiles of strain G341 obtained through headspace collection and analysis on GC-MS, dimethylsulfoxide, 1-butanol, and 3-hydroxy-2-butanone (acetoin) were identifi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valezensis G341 can be used as a biocontrol agent for various plant diseases caused by phytopathogenic fungi.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groundwater in Seoul

  • Lee, Ju-Hee;Yun, Seong-Taek;Kwon, Jang-Soon;Kim, Dong-Seung;Park, Seong-Sook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72-472
    • /
    • 2004
  • Numerous studies on urban groundwater have been carried out in many other countries. Urban groundwater shows a unique hydrologic system because of complex urban characteristics such as road pavement, sewers and public water supply systems. These urban facilities may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recharge but contaminate its quality as well. There have been several researches on urban groundwater in Seoul. Seoul has been industrialized very rapidly so that the city has large population. The recent population in Seoul amounts to more than ten millions, corresponding to a very high density of about 17, 000 people/km$^2$. Therefore, many factors affect the groundwater quality and quantity in Seoul. Nowadays, groundwater in Seoul is being extracted for construction, industrial use, and drinking and so on. There are 15, 714 wells in Seoul and its annual usage is 41, 425, 977m$^3$(in 2001). Therefore, systematic studies are needed to properly manage and use the groundwater in Seoul.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 progress are to identify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Seoul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urban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groundwater was sampled from more than 400 preexisting wells that were randomly selected throughout the Seoul area. For all samples, major cations together with Si, Al, Fe, Pb, Hg For 200 samples among them, TCE, PCE, BTEX were also analyzed by GC. Our study shows that groundwater types of Seoul are distributed broadly from Ca-HCO$_3$ type to Ca-Cl+NO$_3$ type. The latter type indicates anthropogenic contamination. Among cations, Ca is generally high in most samples. In some samples, Na and K are dominant. The dominant anions change widely from HCO$_3$ to Cl+NO$_3$. The anion composition is considered to effectively indicate the contribution of distinct anthropogenic sources. In addition, major ions are positively proportional to total dissolved solid (TDS) except K and NO$_3$. Thus, we consider that TDS may be used as an effective indicator of the extent of pollution. However, the increase of TDS may result from increased water-rock interaction. To determine the ext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t is needed to figure out the baseline water quality in Seoul. Furthermore, detailed geochemical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out pollution sources and their corresponding hydrochemical parameters.

  • PDF

대두(大豆)의 Alkali 처리가 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 Treatment of Soybean on the Qualty of Soybean Milk)

  • 오준세;이규희;이원용;이가순;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4
    • /
    • 1988
  • 두유의 고삽미와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에 NaOH, $NaHCO_3$ 용액을 처리하여 phenol 화합물의 변화를 HPLC로 정량하였고, 두유중의 beany flavor를 GC로 분석하였으며, 두유의 일반성분 및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은 chlorogenic, p-hydroxybenzoic, p-coumaric, ferulic, gentis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중 chlorogenic acid는 주로 결합형, 기타 다른 phenol 화합물은 유리형으로 대부분 존재하였다. 대두를 0.1% NaOH용액으로 8시간 침지하였을 때 chlorogenic acid는 85% 이상이 제거되었다. 대두중의 phenol화합물 제거에는 NaOH용액이 효과적이었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거율도 높아졌으며, 0.1% NaOH용액에게서 $90^{\circ}C$, 1시간처리하였을 때 phenol 화합물은 대부분 제거되었다. 물, 0.1% NaOH 및 0.5% $NaHCO_3$ 용액으로 침지하여 제조한 두유의 일반성분은 처리간에 비슷하였다. NaOH 용액 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beany flavor 중 hexanol은 증가하였으나, hexanal, propanal, pentanal은 60% 이상이 제거되었다. NaOH 용액처리, 고온침지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yellowness는 증가하였으나 물과 저온 침지처리에서는 whiteness가 증가하였다. 대두를 0.1% NaOH 용액으로 $9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여 제조한 두유의 기호도가 가장 좋았다.

  • PDF

금호강(琴湖江) 저니토중(底泥土中)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의 잔류(殘留) (Residual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in the Sediment of the Kumho River)

  • 김정호;문철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2-281
    • /
    • 1995
  • 낙동강의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금호강 하류 하상에서의 저니토 중 PCBs 잔류량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금호강과 낙동강 합류점으로부터 7.5km까지의 금호강 하상저니토 중 PCBs의 잔류량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PCBs가 염소화되어 DCB로 전환되었으며, DCB의 최소검출량은 2pg이었고, 저니토 중 PCBs의 최저 검출농도는 0.5ng/g이었다. 둘째, 시료 100점에 대한 PCBs의 검출빈도는 79%였다. 전체 시료에서 50ng/g이하인 시료가 49%였으며 400ng/g이상인 시료가 9%였다. 셋째, PCBs농도는 금호강과 낙동강의 합류점으로부터 7.5km까지의 거리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넷째, $0{\sim}250cm$까지의 저니토 깊이에 따른 PCBs분포에서, $50{\sim}100cm$ 깊이에서의 PCBs농도는 평균농도보다 높았다. 다섯째, 저니토 중 COD의 평균농도는 $14.5{\pm}11.4mg/g$였고, Org.C의 평균농도는 $3.41{\pm}3.55%$였다. 여섯째, 점토 및 유기물 함량이 낮은 모래 토양의 PCBs 농도는 평균농도의 115%로 높았다. 그러나 점토 및 유기물 함량이 높은 저니토에서의 PCBs농도는 평균농도의 69%로 낮았다. 일곱째, 시료 100점 에 대한 PCBs의 평균농도는 $131{\pm}156ng/g$이었다. 이는 일본 환경청의 PCBs에 대한 하상제거기준 10000ng/g보다 매우 낮았다.

  • PDF

식품 포장재로서 재활용 및 비재활용 종이 상자의 안전성 분석 (Evaluating Safety of Recycled and Non-recycled Paper-based Box for Food Packaging)

  • 오정민;신소향;권상조;조아름;김성진;이윤정;조헌주;한재준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27-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재활용 및 비재활용 종이류가 안전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식품공전 규격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식품포장재 중에서도 피자상자를 선택하였는데, 이는 피자가 고온에서 조리되어 포장되며 다량의 기름 성분을 함유하여 오염물질이 이행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식품공전에서는 PCBs,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비소, 포름알데히드 및 형광증백제의 허용 잔존농도를 정하여 식품포장재로 이용되는 종이류에 잔존하는 유해물질을 규제하고 있다. PCBs의 여섯개의 표준품과 모든 시료의 피크가 일치하지 않았으므로 피자상자에는 PCBs가 잔존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카드뮴, 수은, 6가크롬에 대한 재질규격 평가를 위한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비소와 납은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의 10배 이하의 양이 검출되어 식품포장재로 사용되었을 때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름알데히드는 모든 시료에서 기준치보다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지만 잉크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표면에서 미량이지만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형광증백제는 비재활용 종이 소재의 상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자 내 피자 포장 유무나 잉크의 함량 정도에 상관없이 재생용지로 만들어진 상자 시료에서는 형광증백제가 검출되었다. 형광증백제는 불검출이 기준이므로 포함된 재활용지를 식품 포장으로 이용할 때는 식품과의 직접 접촉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 안전성이 입증된 간지 등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식품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화랑곡나방 유충 방제를 위한 회향오일 기반 방충향낭 개발 (Development of a Fennel (Foeniculum vulgare) Oil-based Anti-insect Sachet to Prevent the Indian 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 이수현;조헌주;이윤정;한재준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8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 포장재를 뚫고 침입하여 식품에 큰 피해를 입히는 화랑곡나방 유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충향낭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충 물질로는 해충에 대해 살충 및 기피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회향의 에센셜오일인 회향오일(FO)을 선정하였다. 훈증테스트를 통하여 화랑곡나방 유충에 대해 FO의 훈증사멸 효과를 관찰하였고 120시간 후 FO은 약 56%의 사멸률을 보였다. 이 후 포장기법 중 하나인 향낭 기법을 사용하여 FO 향낭을 제조하여 기피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FO 향낭은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기피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휘발성이 강한 에센셜오일의 특성으로 인해 48시간에서의 기피력이 24시간이 지난 향낭의 기피력보다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FO 향낭의 방출 경향 분석에 따르면 오일의 총 방출량 및 trans-aenthole의 함량이 일정 시간 이후 점차 방출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FO 향낭은 방충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높은 휘발성으로 인해 기피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후박추출물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치콘의 저장기간 연장 (Extension of Storage Time of Chicon using Nanoparticle of Machilus thunbergii Extracts)

  • 권민철;한재건;하지혜;김영;최근표;박욱연;이달호;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20-325
    • /
    • 2008
  • 치콘 및 엽채류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해 천연보존제 및 천연항균제 선정을 위한 항균실험을 실시하고 후박 추출물이 미생물 최소 저해 농도 및 집락 형성 저해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엽채류에 도포함으로써 이들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고자 수용성 추출물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식용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전자현미경 관찰 및 image anlyzer 측정을 통해 후박 추출물 나노입자의 80% 이상이 300nm 이하 크기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관찰을 통해서도 수십 nm $\sim$ 약 500nm 범위의 유사 구형 나노입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엽채류 저장기간 연장 효과를 알아보고자 이 나노입자를 치콘 표면에 분무 도포하였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치콘 표면 촬영으로 도포된 후박 추출물 나노입자가 표면에 잔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HPLC 분석을 통해 후박 추출물을 서서히 방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노입자를 도포한 치콘과 무처리 대조군의 저장기간에 따른 에틸렌 발생량을 GC로 측정한 결과, 입자를 도포한 치콘에서 초기 에틸렌 발생량이 높으나 저장기간에 따른 에틸렌 생성량의 증가를 억제해 7일 이후에는 발생량 자체도 적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후박 추출물의 나노입자가 치콘의 세포호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나노입자의 처리를 통해 저장기간의 연장효과를 나타내었다.

온도 및 숙성기간이 마늘의 화학적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ing Temperature and Time on the Convers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Components)

  • 조강진;차지영;임주혁;김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4-88
    • /
    • 2011
  • 생마늘을 온도별로 숙성시켰을 때 일어나는 물질의 생성과 변화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고온숙성 마늘(흑마늘)의 열수 추출물에서 5-hydroxymethyl-2-furaldehyde(HMF)가 생성됨을 확인하였으며, HMF의 생성은 $75^{\circ}C$에서는 7일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35일차에는 13.09 mg/g dry weight까지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60^{\circ}C$에서는 HMF의 생성은 거의 억제되었으며, 28일차부터 생성되긴 하였으나 35일차에도 0.35 mg/g dry weight로 그 양은 $75^{\circ}C$ 조건에 비하여 매우 적었다. HMF의 생성은 당 화합물 중 과당(fructose)이 탈수되어 생성된다. 마늘 중 유리당의 생성량을 조사해 본 결과 $75^{\circ}C$에서 숙성된 마늘에서는 7일 차부터 과당이 39.7%/dw 정도 생성되기 시작하여 14일차에 49.6%/dw 정도 생성되었으나, 이후 과당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생성된 과당이 HMF로 변환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60^{\circ}C$에서는 21일차까지 과당의 생성량이 6.6%/dw 정도였으나 이후 28일 경에는 급속히 증가하여 35일경에는 44.6% 정도 생성되었다. 이로써 마늘에서 HMF의 생성은 마늘 중의 탄수화물이 고온($75^{\circ}C$)에서 과당으로 변환된 후 탈수반응을 거쳐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Genetic Association between the XPG Asp1104His Polymorphism and Head and Neck Cancer Susceptibility: Evidence Based on a Meta-Analysis

  • Jiang, Hua-Yong;Zeng, Yong;Xu, Wei-Dong;Liu, Chuan;Wang, Ya-Jie;Wang, Ya-D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3645-3651
    • /
    • 2015
  • Background: Previous studies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xeroderma pigmentosum group G (XPG) Asp1104His polymorphism and head and neck cancer susceptibility have proven controversial. This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was performed to obtain a more precise estimation of the relationship. Materials and Methods: We systematically searched PubMed, Embase and Web of Science with a time limit of Dec 18, 2014.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used to assess the strength of any association. Results: We performed a meta-analysis of eight published case-control studies, including 3,621 cases and 5,475 controls. Overall,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XPG Asp1104His polymorphism and head and neck cancer susceptibility under all genetic models. In the subgroup analysis by ethnicity, the XPG Asp1104His polymorphis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levated head and neck cancer risk under CC vs GG (OR=1.24, 95% CI=1.00~1.54) and the recessive model (OR=1.22, 95%CI=1.01~1.46) in Asian populations. A similar result was found under CC vs GG (OR =1.22, 95%CI=1.01~1.47) in the population based subgroup by source of control. When performed by tumor site, the XPG Asp1104His polymorphis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levated laryngeal cancer under all genetic models (CC vs GG: OR=1.59, 95% CI=1.16~2.19; GC vs GG: OR=1.38, 95%CI=1.10~1.72; dominant model: OR=1.42, 95% CI=1.15~1.74; recessive model: OR=1.36, 95% CI=1.02~1.81). Conclusions: This meta-analysis suggested that the XPG Asp1104His polymorphism is a risk factor for head and neck cancer susceptibility, especially for laryngeal cancer and in Asian pop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