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epsilon}$-caprolactone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5초

Growth Factor Releasing Porous Poly (${\varepsilon}-caprolactone$)-Chitosan Matrices for Enhanced Bone Regenerative Therapy

  • Im, Su-Yeon;Cho, Seon-Hye;Hwang, Jeong-Hyo;Lee, Seung-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76-82
    • /
    • 2003
  • Drug releasing porous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chitosan matrices were fabricated for bone regenerative therapy. Porous matrices made of biodegradable polymers have been playing a crucial role as bone substitutes and as tissue-engineered scaffolds in bone regenerative therapy. The matrices provided mechanical support for the developing tissue and enhanced tissue formation by releasing active agent in controlled manner. Chitosan was employed to enhance hydrophilicity and biocompatibility of the PCL matrices. PDGF-BB was incorporated into PCL-chitosan matrices to induce enhanced bone regeneration efficacy. PCL-chitosan matrices retained a porous structure with a 100-200 $\mu$m pore diameter that was suitable for cellular migration and osteoid ingrowth. $NaHCO_3$ as a porogen was incorporated 5% ratio to polymer weight to form highly porous scaffolds. PDGF-BB was released from PCL-chitosan matrices maintaining therapeutic concentration for 4 week. High osteoblasts attachment level and proliferation was observed from PCL-chitosan matric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indicated that cultured osteoblasts showed round form and spread pseudopods after 1 day and showed broad cytoplasmic extension after 14 days. PCL-chitosan matrices promoted bone regeneration and PDGF-BB loaded matrices obtained enhanced bone formation in rat calvarial defe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DGF-BB releasing PCL-chitosan porous matrices may be potentially used as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or bone substitutes with high bone regenerative efficacy.

Thermal Properties of Poly($\varepsilon$-Caprolactone)/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omposites

  • Kim, Hun-Sik;Chae, Yun-Seok;Choi, Jae-Hoon;Yoon, Jin-San;Jin, Hyoung-Joon
    •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
    • 제17권2호
    • /
    • pp.157-166
    • /
    • 2008
  • In this study,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were compounded with the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matrix at the solution state using chloroform. For homogeneous dispersion of MWCNTs in polymer matrix, oxygen-containing groups were introduced on the surface of MWCNT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CL/MWCNTs composites were effectively increased due to the incorporation of MWCNTs. The 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dispersion of MWCNT in the polymeric matrix. In case of 1.2 wt% of MWCNTs in the matrix, strength and modulus of the composite increased by 12.1% and 164.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ispersion of MWCNTs in the PCL matrix resulted in substantial decrease of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composites as the MWCNTs loading was increased from 0 to 2.0 wt%. Furthermore, thermal stability of the PCL and PCL/MWCNTs-COOH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data acquired from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detailed kinetics of the thermal degradation of the composite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ir thermal behavior at different heating rates in a nitrogen atmosphere. Activation energy of thermal degradation was determined by using the equations proposed by Kissinger and Flynn-Wall-Ozawa.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of PCL/MWCNTs-COOH composite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neat PCL.

PCL 기반 생분해성 분자 날인 고분자의 광중합 및 물성 (Photopolymerization and Properties of PCL-Based Biodegradable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 김선희;이경수;김용훈;최우진;김범수;김응국;김대수
    • 폴리머
    • /
    • 제31권2호
    • /
    • pp.153-159
    • /
    • 2007
  • 생분해성 분자 날인 고분자는 바이오센서 약물 전달 등의 생의학적 분야에 적응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매크로머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theophylline 분자 날인 고분자를 광중합을 통해 제조하고 물성을 조사하였다. PCL 매크로머는 말단에 아크릴기를 갖도록 합성하였으며 FT-IR과 $^1H-NMR$로 확인하였다. PCL 매크로머의 합성수율은 약 78 mol%였다. Theophylline의 제거 및 재결합 실험은 UV/Vis분광기를 이용하여 용액 내 theophylline의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졌다. Theophylline분자 날인 고분자의 생분해성 실험을 $37^{\circ}C$의 PBS 용액 내에서 진행한 결과 우수한 생분해성을 보였다.

Acinetobacter calcoaceticus C10에서 Cyclohexanol Dehydrogenase의 생합성 억제 (Repression of Cyclohexanol Dehydrogenase in Acinetobacter calcoaceticus C10)

  • 박희동;박종성;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68-74
    • /
    • 1987
  • A. calcoaceticus C10은 CL 배지에서 ${\varepsilon}$-caprolactone 및 succinate에 의해 생육에 아무 영향도 받지 않았으나 adipate와 xylose에 의해서 균의 생육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이 균이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없는 포도당에 의해서도 생육도가 증가하였으며 6시간 배양 후 0.2%의 포도당을 첨가한 경우에는 16시간 후 CL 배지에서 생육한 것보다 약 2배의 생육도를 냐타내었다. A. calcoacelicus C10이 생산하는 cyclohexanol dehydrogenase(CDH)는 ${\varepsilon}$-caprolactone, succinate, xylose 및 포도당에 의해 이화물 억제를 받지 않았으나 사이클로헥사놀 대사경로의 최종생산물인 adipate에 의하여 생합성 억제를 받았다. CL 배지에 0.1%의 adipat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CDH가 다소 유도되었으나 0.2%의 adipat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CDH가 거의 유도되지 않아 0.5%의 adipate를 첨가한 것과 비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광경화용 카프로락톤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합성과 경화필름 물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ured Film Properties of UV-Curable Caprolactone-Modified Urethane Acrylate Oligomers)

  • 김정열;문병준;강두환;황석호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74-5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리화합물인 카프로락톤으로부터 2-hydroxyethyl acylate(2-HEA)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caprolactone modified hydroxy acrylate(CHA)를 합성한 후,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r(HDT)와 축중합을 통해 카프로락톤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A) 올리고머를 합성하였다. 카프로락톤과 2-HEA의 몰비에 따른 CHA의 분자량은 수산가를 이용하여 계산되었으며, 계산된 분자량은 이론분자량과 거의 일치하였다. UA 올리고머의 점도는 2-HEA 대한 CH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UA 올리고머와 반응형 희석제를 광개시제와 함께 광경화한 후, 형성된 경화필름의 내열성 및 내열 변색성을 측정하였다. 경화필름의 가교밀도가 증가할수록 내열성 및 내열변색성이 우수하였으나 가교밀도가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지만, 신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생체분해성 Poly(glycolide-co-ε-caprolactone-co-L-lactide) 블록 공중합물의 비등온 결정화 거동에 관한 연구 (Non-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oly(glycolide-co-ε-caprolactone-co-L-lactide) Block Copolymer)

  • 최세영;송승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1호
    • /
    • pp.13-2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생체분해성 폴리에스터 계열의 glycolide, L-lactide 및 ${\varepsilon}$-caprolactone 단량체를 이용하여 2단계 중합법에 의한 삼원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DSC를 이용한 비등온 결정화 거동을 고찰하였다. 보다 더 정확한 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Avrami 식과 Ozawa 식을 조합하여 비등온 결정화 거동을 고찰하였다. 과냉각도를 분석한 결과 PGCLA21의 값이 가장 큰 값을 보이고 있으며 L-lactid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과냉각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수정된 Avrami 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냉각속도에서 비등온 결정화 거동 결정화 속도 상수는 큰 경향을 보이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vrami 및 Ozawa 식을 조합하여 특정한 상대적 결정화도에서의 냉각함수를 구한결과 L-lactide 함량이 증가하면서 PGCL과 비교시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PGCLA41과 PGCLA21을 비교시 L-lactide 함량이 일정 이상 증가시 logF(T) 값이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는 동일한 결정을 얻는데 더 많은 냉각 속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정화 속도 향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리카와 니페디핀을 함유한 Poly(ε-caprolactone)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와 방출 거동 (Preparation and Release Behaviors of Poly(ε-caprolactone) Microcapsules Containing SiO2 and Nifedipine)

  • 박수진;이윤목;한미정
    • 공업화학
    • /
    • 제16권4호
    • /
    • pp.588-593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화학적으로 표면처리된 실리카와 니페디핀을 함유하는 PCL 마이크로캡슐을 O/W 액중건조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에 대한 심물질의 함입은 FT-I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마이크로캡슐의 표면 형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의 니페디핀 방출 거동은 UV/Vis. 흡광광도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니페디핀의 C=O 결합에 의한 $1682cm^{-1}$ 신축진동 피크가 마이크로 캡슐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캡슐의 평균 입자크기는 교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리고 실리카를 염기성 용액으로 처리한 경우 니페디핀의 흡착량과 방출 속도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표면 염기도의 증가로 인해 실리카 표면의 비표면적이 감소되고 산-염기 상호작용이 증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변형된 키토산 알지네이트 겔 poly (L-Lactic-co-ε-Caprolactone) 지지체의 연골 조직 재생 평가 (Chitosan-alginate Gel Modified Poly (L-Lactic-co-ε-Caprolactone) (PLCL) as a Scaffold for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 ;황야원;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4-230
    • /
    • 2015
  • 본 연구는 키토산 알지네이트 수화겔을 사용하여 제작된 연골세포의 3차원 구조를 유지하며 생물학적, 생리학적인 기능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poly (L-Lactic-co-${\varepsilon}$-Caprolactone) (PLCL) 지지체의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체내에서 수화겔은 단독으로 지지체 역할을 하기에는 부하를 견디기에 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골세포와 유사한 세포, 세포외 기질의 3차원적 구성을 만들기 위해 PLCL 지지체와 수화겔을 사용하여 합성 지지체를 제작하였다. 염화나트륨을 사용한 입자 침출 기법으로 85%의 다공성, $300-500{\mu}m$ 크기의 구멍을 가진 탄성력 높은 지지체를 제작하였다. 소의 연골세포와 키토산 알지네이트 겔 혼합물이 PLCL 지지체에 적용되었고 대조군의 알지네이트와 비교 연구하였다. 키토산 알지네이트 수화겔과 연골세포가 혼합된 경우에 알지네이트 단독 사용에 비해 세포 성숙, 증식, 세포외 기질의 합성, sGAG 생성과 II 형 콜라겐의 발현 등의 효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PLCL 지지체에 연골세포와 키토산 알지네이트 겔 혼합물을 적용할 경우 세포 증식과 기질의 합성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연골의 복구와 재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 방사법을 통해 제조된 Poly(L-lactide-co-ε-caprolactone)/Marine Collagen 나노파이버의 특성 및 세포친화력 평가 (Characteristics and Biocompatibility of Electrospun Nanofibers with Poly(L-lactide-co-ε-caprolactone)/Marine Collagen)

  • 김우진;신영민;박종석;권희정;김용수;신흥수;노영창;임윤묵;정무상
    • 폴리머
    • /
    • 제36권2호
    • /
    • pp.124-13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방사법을 사용하여 poly(L-lactide-$co$-${\varepsilon}$-caprolactone) (PLCL)과 marine collagen (MC)이 혼합된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의 직경과 형태는 여러 공정 변수에 의해서 변화되는데, PLCL과 MC의 혼합비, 노즐과 콜렉터와의 거리, 노즐의 직경, 용액의 방출 속도 그리고 전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나노파이버의 직경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제조된 나노파이버의 표면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물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나노파이버의 세포 친화성을 평가하기 위해 MG-63을 이용하여 생존율과 흡착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과 형광현미경을 통해서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방사거리, MC의 함량,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제조된 나노파이버의 평균직경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M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나노파이버의 친수성이 증가하였고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해양유래 생물에서 추출한 콜라겐은 조직공학용 소재에 새롭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장관문합 및 봉합 시 인공 흡수성 단사인 Glycoside-$\varepsilon$- 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혼성중합체의 안정성 및 유용성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 Glycoside-$\varepsilon$-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Interpolymer, in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and Closure)

  • 이혁준;김윤호;양한광;이건욱;최국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2호
    • /
    • pp.93-96
    • /
    • 2003
  • Purpose: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s offer excellent glide characteristics and cause minimal tissue trauma as a result of their smooth monofilament structure and gradual absorption within the healing tissues. For these reasons, these suture materials are commonly used in various surgical fields such as gastroenterology, urology, gynecology, and plastic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a new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 Glycoside-..-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interpolymer (GCT), in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and closur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55 gastrointestinal anastomoses and closures using GCT $MONOSYN^{R}$, B. Braun, Germany) in 4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surgery between December 2001 and May 2002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characteristics, operative procedure, surgeon's opinion of handling properties of GCT, and suture-relate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34 males and 13 females (M:F= 2.6:1) with an average age of 54.2 years old. Forty-five cases of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20 gastrojejunostomies and 25 jejunojejunostomies) and 10 cases of intestinal closure (7 gastrostomy closures and 3 duodenal stump closures) were performed in 41 cases of stomach cancer, three of peptic ulcer disease, two of GIST, and one MALToma. The handling properties of GC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knot breaking load, knot security, and placing property were always scored with 7 to 9 points (10=excellent, 1=very poor). Two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3.6\%$) were noted. One was a leak of the gastrojejunostomy site which was successfully managed conservatively, and the other was a stricture of the gastrojejunostomy site which was managed by reoperation (side-to-side jejunojejunostomy). Conclusion: GCT seems to be an applicable suture material for various gastrointestinal anastomoses and clos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