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ig-h3$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고장초 추출 용매의 에탄올 함량에 따른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미백 활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allergy, and Whitening Effect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Zizania latifolia)

  • 박세호;이재열;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94-10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장초 줄기 ethanol 추출물 5종(10, 30, 50,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 대한 다양한 효능을 평가하여 원료제조를 위한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산화능 평가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RC_{50}$ 값은 감소하여 소거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염증 평가 결과, ethanol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ipopolysaccharide (LPS)로 처리한 RAW 264.7에서 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250{\mu}g/ml$의 농도에서의 NO 생성능 비교 시, 15.69, 14.13, 11.86, 8.64, $10.09{\mu}M$로 7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에서 가장 높은 NO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항알러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를 IgE-항원으로 활성화 시킨 결과, 1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beta}-hexosaminidase$ 방출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30% Z. latifolia ethanol extract부터 농도의존적으로 ${\beta}-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00{\mu}g/ml$ 추출물 처리 시 ${\beta}-hexosaminidase$ 방출은 각각 94.20, 57.10, 46.70, 36.38, 27.45%로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의 항알러지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미백 효능 평가 결과, ethano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도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500{\mu}g/ml$ 농도의 70%, 90% Z. latifolia ethanol extracts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은 양성대조군인 arbutin ($250{\mu}M$)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Z. latifolia ethanol extracts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능과 관련된 다양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원료 제조 조건에 대한 활성 결과는 향후 피부건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 원료 제조를 위한 기초 결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박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Ethyl Acetate Extract of Korean Rice Wine Lees Inhibits IgE-Mediated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Mice)

  • 강여진;박세진;배기호;유정민;표형배;최지호;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364-1369
    • /
    • 2011
  • 제 1형 과민반응은 비만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알러지 반응으로서, 예기치 못한 알러젠에 의해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어 탈 과립 되면서 히스타민등과 같은 여러 가지 매개체들을 분비하면서 과도하게 면역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주박(Korean rice wine lees)은 청주, 약주 등의 술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기는 양조 부산물로서, 최근들어 청주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기는 술 지게미의 생리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박의 ethyl acetate (EA)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박 EA 추출물이 탈과립의 표지인 ${\beta}$-hexosaminidase의 양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탈과립억제 현상이 다양한 사이토카인 중 IL-3과 IL-13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매개된다는 사실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쥐에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를 유도하여 EA를 경구투여 했을 때 anaphylactic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박 EA 추출물이 항 알러지 약물의 개발에 잠재적인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are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May Explain Low Stomach Cancer Incidence: Ecological Observations in Bali, Indonesia

  • Tanaka, Tsutomu;Mulyadi, I Ketut;Moestikaningsih, Moestikaningsih;Oka, Tjok Gede;Soeripto, Soeripto;Triningsih, FX Ediati;Triyono, Teguh;Heriyanto, Didik Setyo;Hosono, Akihiro;Suzuki, Sadao;Tokudome, Shink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979-984
    • /
    • 2016
  • The incidence rate of stomach cancer in Bali, Indonesia, is estimated to be strikingly lower than that in Japan. We conducted an on-site ecolog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omach cancer incidence and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Recruiting 291 healthy persons (136 men and 155 women) from the general population in Bali, Indonesia, we conducted a urea breath test (UBT) to examine H. pylori infection, along with a pepsinogen test to detect chronic atrophic gastritis and urine analysis to estimate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UBT positivities were 9% (2-15, 95% confidence interval) for men and 7% (1-12) for women, and positive cases for H. pylori IgG antibodies were 1% (0-3) for men and 3% (0-5) for women,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spective values in Japan. Positive pepsinogen tests in Bali were 0% (0-0) for men and 1% (0-4) for women,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Japanese figures. Computed values for daily salt excretion were $13.3{\pm}4.1g$ (mean${\pm}$SD) for men and $11.1{\pm}3.1g$ for women, as high as corresponding Japanese consumption values. Moreover, the estimated potassium excretion was $3.2{\pm}0.7g$ for men and $2.8{\pm}0.6g$ for women in Bali,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igures in Japan. There were no associations across genetic polymorphisms of IL-beta, TNF-alpha, and PTPN11 with UBT positivity. The low incidence of stomach cancer in Bali may thus mainly be due to the rare H. pylori infection. Namely, the bacterium infection seems to be a critical factor for gastric cancer rather than host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천연물 추출물이 대식세포 및 호염구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Product Extracts on Inhibition of Macrophage and Basophil)

  • 박재현;장지민;차상률;백효신;이주연;이유희;류세민;양세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9-197
    • /
    • 2022
  • 천식은 호흡곤란, 기침, 가슴통증과 같은 증상을 가지는 만성질환으로써 세포내 염증으로 인한 조직 리모델링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천식은 잘 조절되지 않을 시 치료제의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일상 기능 및 삶의 질 저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천식은 여러 면역세포들에 의한 염증반응이 주원인으로 대식세포와 호염구 또한 천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염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산화질소를 통한 DNA 손상과 점액 생성을 유도하여 천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 호염구는 호산구 침윤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히스타민 및 IgE에 대한 높은 친화력을 가진 FcεRIα 수용체로 인해 천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8여 가지의 천연물의 각 분획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가지고 이러한 세포들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한 산화질소 생성 억제력 및 레트 호염구세포인 RBL-2H3 세포에서 IgE 감작에 의한 β-hexosaminidase 생성 억제력을 평가하였다. 4가지 천연물 추출물이 산화질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19가지 천연물 추출물이 β-hexosaminidase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 중 두 실험 모두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던 천연물 추출물은 질경이(Plantago asiatica), 병풀(Centella asiatica),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이렇게 3가지이었다. 본 연구는 여러 천연물 추출물이 천식에 관여하는 대식세포 및 호염구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천식뿐 아니라 대식세포 및 호염구가 관여하는 타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천연물 추출물에 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한다.

순천만 갯벌 토양의 섬유소 분해능 및 체외효소 활성 (Cellulose Degradation and Extracellulat Enzymatic Activity of the Mud Flat in Sunchon Bay)

  • 백근식;최지혁;성치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5
    • /
    • 2000
  • 순천만 갯벌의 3개 지점의 표층(5cm)과 심층(20 cm)토양의 물리화학적 요인과 종속영양세균의 분포, 섬유소 분해율과 체외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온도, 수분함량, 인산염 인 그리고 유기물함량은 각각 -1~$30^{\circ}C$, 42.1~53.1%, 0.0779~0.1961mg/g, 그리고 1.99~7.64%로 나타나었다. 섬유소 films의 분해율은 7.7%~100%/month 범위로 1~2월에 최저 그리고 8~9월에 최고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0.87{\times}10^6 ~ 3.6{\times}10^7 $CUFs/g dry soil의 범위에 속해Tdmu 심층의 경우 표층에 비해 낮았다. MUF-기질의 분해율로 측정한 phoshatase, $\alpha$-D-gluocosidase, $\beta$-D-glucosidase, cellobiohydrolase 활성의 변화는 각각 152.23~1779.80 nMi/hr 2.67~202.18 nM/hr, 5.03~258.26 nM/hr, 3.42~63.07 nM/hr으로 모두 하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섬유소 분해는 수온상승이 주된 요인이었으며, 정점간, 깊이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외효소의 활성은 온도 및 섬유소 분해율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섬유소 분해와 체외효소의 활성과 높은 상괸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Poly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Blood Parameters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Genes in Challenged Weaned Piglets

  • Han, Jie;Bian, Lianquan;Liu, Xianjun;Zhang, Fei;Zhang, Yiran;Yu, N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7호
    • /
    • pp.1035-1043
    • /
    • 201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Acanthopanax senticosus polysaccharide (ASPS)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blood parameters and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immunologically challenged piglets, an experiment employing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concerning dietary ASPS treatment (0 or 800 mg/kg) and immunological challenge (lipopolysaccharide [LPS] or saline injection) was conducted with 64 crossbred piglets (weaned at 28 d of age,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7.25{\pm}0.21kg$) assigned to two dietary ASPS treatments with 8 replicates of 4 pigs each. Half of the piglets of per dietary treatment were injected with LPS or saline on d 14.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t 3 h after immunological injection on d 14 and piglets were slaughtered to obtain spleen samples on d 21. Dietary ASPS did not affect average daily gain (ADG) (p = 0.634),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p = 0.655), and gain:feed (p = 0.814) prior to LPS challenge. After LPS challenge, for LPS-challenged pigs those fed ASPS had higher ADG and ADFI than the non-supplemented group (p<0.05), and an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observed on the two indices (p<0.05). Dietary ASPS improved lymphocyte proliferation among saline-injected and LPS-injected pigs (p<0.05).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also revealed on lymphocyte proliferation (p<0.05). Circulatory concentration of IgG was influenced neither by ASPS (p = 0.803) or LPS (p = 0.692), nor their interaction (p = 0.289). Plasma concentration and spleen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1beta (IL-$1{\beta}$),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were induced to increase (p<0.05) by LPS challenge, in contrast, these indices were decreased by dietary ASPS (p<0.05), and interactions were found on these cytokines (p<0.05). For LPS-challenged pigs, dietary ASPS also reduced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and spleen mRNA expression of IL-$1{\beta}$, IL-6 as well as TNF-${\alpha}$ (p<0.05). The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also observed on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alpha}$-acid glycoprotein (${\alpha}$-AGP),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glucose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ietary ASPS can modulate the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during immunological challenge, which might enable piglets to achieve better growth performance.

$^{111}In$-표지 갈락토즈 접합 항체의 체내분포 및 간에서의 대사 : $^{111}In$-표지 항체와의 비교연구 (Biodistribution and Hepatic Metabolism of Galactosylated $^{111}In-Antibody-Chelator$ Conjugates: Comparison with $^{111}In-Antibody-Chelator$ Conjugates)

  • 곽동석;정규식;하정희;안병철;이규보;백창흠;이재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02-417
    • /
    • 2003
  • 목적: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단클론항체를 수용체에 결합하는 수송체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간의 asialoglycoprotein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갈락토즈접합 단클론항체를 $^{111}In$로 표지하여 체내에서의 분포와 간을 중심으로 한 체내대사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갈락토즈를 접합하지 않은 $^{111}In$ 표지 항체와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인체 림프 구성백혈병 세포에 대한 T101 단일클론항체를 cyclic DTPA dianhydrate(DTPA) 나 2-p-isothiocy-anatobenzyl-6-methyl-DTPA(IB4M) 로 접합하고 갈락토즈를 붙인후 $^{111}In$으로 표지하였다. 생쥐와 흰쥐에서 갈락토즈를 접합한 화합물과 접합하지 않은 화합물의 체내분포와 간대사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11}In$ 표지 T101항체와 갈락토즈 접합체는 투여량의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간에 섭취되었다. DTPA 접합자를 사용한 경우 IB4M 접합자를 사용한 경우보다 간에 오랫동안 저류되어 주사 후 44시간 간 섭취율이 각각 55%와 20% 였다. 이 기간동안의 DTPA화합물의 방사성 대사산물은 24%가 소변으로 17%가 대변으로 배설되어 유사하였으나 IB4M 화합물은 68%가 대변으로 8%가 소변으로 배설되어 배설경로에 차이가 있었다. 1B4M화합물을 주사후 3시간의 담즙과 간 현탁액을 HPLC로 분석한 결과 IgG와 저류시간(Rt)이 같은 첫 절정에 35%,유리 $^{111}In$과 유사한 절정의 Rt에 65%가 관찰되어 대사산물이 빠르게 답즙으로 배출됨을 알 수 있었고, DTPA 화합물 주사후 3시간 대사산물은 90%가 $^{111}In-DTPA$와 유사한 Rt의 절정을 보였다. 그러나 대변의 $^{111}In$ 의 축적량은 낮아 DTPA 접합화합물은 담도를 통한 빠른 배설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단일클론항체에 갈락토즈를 접합한 경우보통의 항체에 비하여 간 섭취가 많고, 간에서의 대사가 촉진된다. 이 경우 사용되는 접합자의 선택에 따라서 대사산물의 성분이 달라지고 간에서의 제거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대사의 차이점은 향후 종양세포나 조직의 탐색에 이용할 방사능 표지 항체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성분분석과 면역효능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Component and Immunological Efficacy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 김정희;이승욱;도국배;지원대;김선건;백영두;김극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7-43
    • /
    • 2018
  • 본 연구는 전라도 장성지역의 편백나무 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in vitro에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은 $50^{\circ}C$에서 감압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25.89{\pm}0.31mg\;GAE/g$로 나타났다. 설정된 GC-MS 분석법으로 편백나무잎 추출물의 6종 성분에 대한 함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alpha}-Terpinene$ 3.03 mg/g, ${\alpha}-Terpineol$ 9.48 mg/g, limonene 5.96 mg/g, borneol 59.78 mg/g, myrcene 4.85 mg/g, sabinene 11.31 mg/g로 borneol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H_2O_2$$ABTS^+$ 라디칼에 대한 추출물의 $RC_{50}$이 각각 $5.47{\pm}0.13mg/mL$$4.00{\pm}0.01mg/mL$로 나타났다. 또한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 LPS 100 ng/mL을 처리를 통한 염증유도 군에서 주요 인자인 NO 생성이 $28{\pm}0.38{\mu}M$까지 증가하였으나 편백나무 잎 추출물 $150{\mu}g/mL$ 처리 농도에서 $IC_{50}$ 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항염증 작용이 있음을 시사한다. 알레르기 주요 인자인 ${\beta}-hexosaminidase$의 경우 처리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어 항알레르기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 대해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100{\sim}800{\mu}g/mL$ 범위에서 세포독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이 향후 기능성 화장품, 연고 등의 산업화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ative study on the cellular activities of osteoblast-like cells and new bone formation of anorganic bone mineral coated with tetra-cell adhesion molecules and synthetic cell binding peptide

  • Yu, Hyeon-Seok;Noh, Woo-Chang;Park, Jin-Woo;Lee, Jae-Mok;Yang, Dong-Jun;Park, Kwang-Bum;Suh, Jo-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6호
    • /
    • pp.293-301
    • /
    • 2011
  • Purpose: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tetra-cell adhesion molecule (T-CAM) markedly enhanced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like cells grown on anorganic bone mineral (ABM). T-CAM comprises recombinant peptides containing the Arg- Gly-Asp (RGD) sequence in the tenth type III domain, Pro-His-Ser-Arg-Asn (PHSRN) sequence in the ninth type III domain of fibronectin (FN), and the Glu-Pro-Asp-Ilu-Met (EPDIM) and Tyr-His (YH) sequence in the fourth fas-1 domain of ${\beta}$ig-h3.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ellular activity of osteoblast-like cells and the new bone formation on ABM coated with T-CAM, while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of synthetic cell binding peptide (PepGen P-15). Methods: To analyze the cell viabilit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was performed, andto analyze gene expression, northernblot was performed. Mineral nodule formations were evaluated using alizarin red stain. The new bone formations of each group were evaluated using histologic observation and histomorphometrc analysis. Results: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mRNA was similar in all groups on days 10 and 20. The highest expression of osteopontin mRNA was observed in the group cultured with ABM/P-15, followed by those with ABM/T-CAM and ABM on days 20 and 30. Little difference was seen in the level of expression of collagen type I mRNA on the ABM, ABM/T-CAM, and ABM/P-15 cultured on day 20. There were similar growth and proliferation patterns for the ABM/T-CAM and ABM/P-15. The halo of red stain consistent with $Ca^{2+}$ deposition was wider and denser around ABM/T-CAM and ABM/P-15 particles than around the ABM particles. The ABM/T-CAM group seemed to have bone forming bioactivity similar to that of ABM/P-15. A complete bony bridge was seen in two thirds of the defects in the ABM/T-CAM and ABM/P-15 groups. Conclusions: ABM/T-CAM, which seemed to have bone forming bioactivity similar to ABM/P-15, was considered to serve as effective tissue-engineered bone graft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