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eudesmo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삼나무 정유의 표재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Cryptomeria japonica against dermatophytic fungi)

  • 김선홍;이수연;홍창영;정한섭;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76-28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표재성 진균에 의한 피부질환 개선용 소재로의 개발을 위해 삼나무 정유의 표재성 알레르기성 진균, Trichophyton schoenleinii, Trichophyton tonsuran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interdigitale), Trichophyton rubrum, Epidermophyton floccosum, Aspergillus fumigatus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여 삼나무 정유의 표재성 진균에 의한 피부질환 개선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진균 활성 평가는 삼나무 정유의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과 TLC bioassay, 한천희석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활성 성분의 주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GC/MS 분석을 실시하였다. 삼나무 정유 crude oil의 MIC는 모든 균에서 500 ppm 이하의 농도 값을 나타냈으며, TLC bioassay를 통해 spot 1에서 항진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한천희석법을 통한 항진균 활성은 A. fumigatus를 제외한 모든 진균에 대해 삼나무 정유 crude oil의 경우, 500 ppm 이상에서 100%의 활성을 나타냈고, 분획 D의 경우, 100 ppm에서도 100%의 활성을 나타냈다. TLC bioassay를 통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spot 1과 한천희석법을 통해 활성을 나타낸 분획 D를 GC/MS로 분석한 결과 주성분은 elemol, ${\gamma}$-eudesmol, ${\beta}$-eudesmol이었다. 따라서 elemol, eudesmol 등은 표재성 진균에 의한 피부질환의 개선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Flower and Seed of Safflower)

  • 최성희;임성임;장은영;조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6-201
    • /
    • 2004
  • 식품재료 및 약리 효과로 인한 약용재료로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꽃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테르펜류인 p-cymene, limonene,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camphor, 4-terpineol, selinene, ${\beta}-caryophyllene$, torreyol, ${\beta}-eudesmol$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phenylacetaldehyde, 2-phenylethylalcohol, 4-terpineol, ${\beta}-caryophyllene$, ${\gamma}-terpinene$, ${\alpha}-phellandrene$ 등 통상의 꽃향기 성분과 알데히드류인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pentanal, hexanal, octanal, nonanal 및 decanal, 알코올류인 2-pentanol 및 heptanol, 케톤류의 3-penten-2-one, 2-heptanone, 2,6,6-trimethyl cyclohexanone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이외 산류인 acetic acid, heptanoic acid, 2-methylbutanoic acid 및 rancid-cheese odor를 띄는 3-methylbutanoic acid(isovaleric acid) 등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홍화꽃에서의 이들 산류의 생성은 다른 꽃류에 비해 종류나 함량이 많았으며, 홍화꽃이 다른 꽃에 비해 좋지 않은 냄새를 내는 특징적인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홍화씨의 경우는 hexanal, (E)-2-heptenal,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등의 알데히드류가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일반성분 중 전체 함량의 약 30%의 지질을 함유하는 홍화씨는, 방향성과 관계된 torreyol, ${\beta}-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달콤한 향과 관계가 있는 3-methylbutanal 및 2-methylbutanal과 함께 산류의 생성도 있었으나, 지방산 산화 분해생성물인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이 전체 휘발성 함량의 약 75%를 차지하였다.

Angelica속 생약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IV) -강활의 정유성분-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V) -Essential Oils of Angelicae koreanae Radix-)

  • 지형준;김현수
    • 생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15
    • /
    • 1993
  • Essential oil of the root of Angelica koreana Max. (Umbelliferae) was investigated. Essential oil was obtained from the dried roots by steam distillation and fraction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Each isolate or fraction was identified by GC, GC-MS and spectral analysis. It was found to contain nine monoterpenes such as ${\alpha}-pinene$(7.0%), camphene, ${\beta}-pinene$, myrcene, ${\alpha}-phellandrene$, ${\Delta}-3-carene$, p-cymene, limonene(2.8%), terpinolene and also found to contain m-cresol(11.6%), citronellol, citral b, methylcinnamate, eudesmol and osthol. 2-Hydroxy-5-methylacetophenone and twelve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 PDF

생강과 생강나무의 향기성분조성 비교 (Volatile Aromatic Components of Ginger(Zingiber officinalis Roscoe) Rhizomes and Japanese Spice Bush(Lindera obtusiloba BL))

  • 문형인;이재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13
    • /
    • 1997
  • 생강나무의 향기성분 조성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C상에서 생강나무는 꽃, 잎, 줄기 각각 60, 80, 83개의 peak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성분군은 생강나무의 경우는 꽃의 경우는 sabinene, $eta$-myrcene, 1-limonene, cir-3-hexanal, ${\gamma}$-terpinene,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1-borneol, $\delta$-guaiene, ledene, $\delta$-ca-dinene, elemol, 9-octadecanal, 1-(1,5diNe-4-hexenyl ) -4-mebenzene, $\alpha$-chamigrene, ${\gamma}$-selinene, $\beta$-endesmol, 1-phellandrene, 3-Me-6-(1-Me, ethyl ) -2-cyclohexen-1-one, epiglobulol의 성분이, 잎의 경우는 phellandrene, $\alpha$-terpinolene,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cis-3-hexanal, ${\gamma}$-terpinene,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1-borneol, $\delta$-guaiene, ledene, $\delta$-cadinene, olemol, 9-octadecanal, ${\gamma}$-selinene, o-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beta$-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beta$-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alpha$-terpinene, ledene, 1-borneol, ${\gamma}$-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gamma}$-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gamma}$-elemene, $\delta$-guaiene, $\delta$-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beta$-endesmol, $\alpha$-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 PDF

아미리스 정유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myris (Amyris balsamifera))

  • 윤미선;연보람;조해미;최정섭;김성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44-4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미리스 정유의 제초활성을 검정하는데 있다. 아미리스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값은 8.8 ${\mu}g\;g^{-1}$ 이었으며, 온실 제초활성 검정 결과 바랭이에 대한 완전고사 경엽처리 약량은 1,250 ${\mu}g\;ml^{-1}$ 이었다. 화본과잡초 4종과 광엽잡초 5종을 대상으로한 온실실험에서 4,000 ${\mu}g\;ml^{-1}$ 약량처리시 아미리스 정유는 수수, 돌피, 자귀풀에 대해 각각 90%, 70% 그리고 70%의 약효를 나타내었으며, 아미리스 정유에 처리된 잎은 모두 건조되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 아미리스 정유 5%의 피, 냉이, 토끼풀에 대한 제초효과는 모두 70%이었으며, 10%에서는 100%이었다. 아미리스 10% 정유의 제초활성은 처리후 6시간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였으며, 아미리스 정유 처리구 잡초의 지상부위 생체중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41.5%이었으나 지하부위 생체중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아미리스 정유에는 총 15종의 화학물질이 검출되었으며 주된 화합물은 calarene(27.24%), elemol(19.38%), ${\gamma}$-eudesmol(9.24%), curcumene(5.85%), ${\beta}$-sesquiphellandrene(5.63%), zingiberene(5.50%), selina-3,7(11)-diene(5.29), 1,3-diisopropenyl-6-methyl-cyclohexene(4.18), ${\beta}$-bisabolene(4.13%), ${\beta}$-maaliene(3.62%)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아미리스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적, 비이행성 제초특성을 갖는 것으로 추론된다.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obovata

  • Min, Byung-Sun;Youn, Ui-Joung;Bae, Ki-H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90-94
    • /
    • 2008
  • Two sesquiterpenes (1 - 2), a tetralone (3), and two phenylpropanoids (4 - 5) were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obovata Thunberg (Magnoliace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beta}-eudesmol$ (1), cryptomeridiol (2), 4R-4,8-dihydroxy-${\beta}-tetralone$ (3), trans-pcoumaryl aldehyde (4), and p-coumaric acid (5)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two dimensional NMR and mass. Compounds 1 - 3 were tested in vitro for their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K562, HeLa, A549, and HCT116 cancer cell lines. However, compounds 1 - 3 were inactive in this assay system.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Chrysanthemum sibiricum, and Cytotoxic Properties

  • Lee, Kyung-Tae;Choi, Jong-Won;Park, Jong-Hee;Jung, Won-Tae;Jung, Hyun-Ju;Park, Hee-Juh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33-136
    • /
    • 2002
  • GC-MS data on the volatile oil (CS-oil) of Chrysanthemum sibiricum herb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2-methoxythioanisol, (+)-camphor, geraniol, citral, thymol, eugenol, ${\beta}-caryophyllene$ oxide, ${\beta}-caryophyllene$, ${\beta}-eudesmol$, juniper camphor together with an unknown substance using the mass spectral library and literature data. CS-oil exhibited significant cytotoxicities on HL-60 $(IC_{50}\;12.5\;{\mu}g/ml)$ cell and mild on HepG-2 cell $(IC_{50}\;102.4\;{\mu}g/ml)$, though the antioxidant ability was found not to be potent $(IC_{50}\;97.2\;{\mu}g/ml)$. However, the component eugenol showed potent antioxidant ability but mild cytotoxicity. Methyleugenol with no phenolic OH showed less potent cytotoxic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than eugenol suggesting that phenolic OH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cytotoxic and antioxidant abilities. The oil-pretreatment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bromobenzene in the rat. Therefore, it was demonstrated that CS-oil could be a cytotoxic agent with antioxidant properties.

GC-MS를 이용한 침향류의 성분 비교 연구 (GC-MS Analysis of Chemical Constituents from Various Agarwood)

  • 신광호;최규열;조성용;안덕균;박성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2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four different kinds of agarwood and analysis chemical constituents by GC-MS. Methods : Four source plants were two of Vietnamese agarwood, Indonesian agarwood and Myanmar agarwood. These plant materials were named sample No. 1-4.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each agarwood were analysed by GC-MS. Results : GC-MS analysis showed that ${\beta}$-selinene was found in all the samples. The Vietnamese agarwood, Sample 1, and 4 has contained 6.861% and 7.497% of ${\beta}$-selinene and reached the highest level at the retention times 46.245 and 46.274 (min). Sample 2, the Myanmar agarwood has contained 1.608%, the lowest level of ${\beta}$-selinene, and it also has contained about 20% of ${\alpha}-,{\beta}-,{\gamma}$-eudesmol and 4.076% of valerianol. Sample 3, the Indonesian agarwood has contained 9.59% of ${\beta}$-selinene, 9.493% of ${\beta}$-selinene and shown its highest level (more than 19%) at the retention time 43.998 (min). Conclusion : It suggested that ${\beta}$-selinene could be a standard marker to evaluate agarwood by GC-MS analysis.

한우 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체외성숙의 생물학적 요인 III.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에 있어서 단백질 변화

  • 박용수;이재협;변명대;박흠대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17-117
    • /
    • 2003
  • 체외에서 한우 난포란의 감수분열과 배발달 능력의 획득에는 단백질 합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관련된 연구 보고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실험은 난자의 핵성숙과 관련된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시간에 다른 배발달율과 세포질내 단백질을 비교하여 배발달능력 획득과 관련 있는 단백질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난소에서 2-8mm의 가시난포로부터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난포란은 10% FBS와 호르몬이 첨가된 TCM199 용액에서 18시간 또는 24시간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난자 세포질내 단백질 변화는 2D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였고,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낸 spot은 peptide mass fingerprinting을 통하여 단백질 동정을 실시하였다. 체외수정은 fer-TALP 용액을, 체외배양은 CR1aa 용액을 배양 3일째까지는 0.3% BSA, 그 이후에는 10% FBS와 난관상피세포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다. 난자의 세포질에 대한 이차원전기영동 결과 29개의 단백질 spot들을 확인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18시간째에 PB가 출현된 난자는 PB가 출현되지 않은 난자에 비하여 15개의 spot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들 중 4개의 단백질 spot은 낮았고, 11개 spot의 수준은 높은 경향이었다. 체외성숙 18시간째와 24시간째의 배발달율을 조사한 결과 18시간째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체외성숙 18시간과 24시간째 난자의 세포질내 단백질 spot들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PB가 출현된 난자 세포질에서 단백질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2개의 단백질 spot은 상반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난자의 핵성숙과 관련 있는 15개의 spot을 확인하였고, 이들 단백질 spot중에서 2개가 배발달 능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보다는 육질등급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육질 1등급에서 배발달율이 낮은 이유는 육질 향상을 목적으로 암소를 비육 하는 경우 발생하는 번식장애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각각 가장 높았다. 배양 8일째 배반포의 세포수에 있어서 총세포수와 TE 세포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ICM 세포수가 l0mg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 결과에서 체외성숙 배지에 NEAA와 EAA 첨가가 배발달율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ICM 세포수가 증가하였다. 한편 체외성숙 배지에 LAH 첨가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배발달율은 낮았지만 ICM 세포수는 증가하였다.에 Csk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적 성숙에 따른 생쥐 정소 내 Src-Csk loop의 발현과 Src kinase 활성의 변동은 정소 내 간충조직, 세정관 상피의 증식 및 기능적 분화 과정을 매개하는 생리적 활성분자 수용체 하위의 신호전달 과정에 Src-Csk loop에 의한 조절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beta$-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beta$-eudesmol, $\delta$-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beta$-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났고, 복부 비만의 지표인 허리엉덩이둘레비는 GPT, alkaline phosphatase, 공복시 혈당 및 MCV 등 다양한 건강지표와 관련성을 나타내어 향후 비만에 있어 다양한 혈액 성상의 변화 및 역할규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hat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생강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 Roscoe)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재곤;장희진;곽재진;이동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6-70
    • /
    • 2000
  • The volatile components of Korea ginger were compared by using different isolation methods, head-space sampling procedure(HSSP),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ction(SDE) and soild pahse micro-extractions(SPME). Sixty-one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GC-MSD in the extracts obtained from each extraction methods. However, the components identified showed a difference in their composition wit the extraction methods. In the extract by HSSP, fifty-five components including a high volatile compound such as acetaldehyde, ethylacetate, 2,3-butandione were detected, and thirty-one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 by SPME. While, the low volatile components such as elemol, zingiberenol and ${\beta}$-eudesmol were detected only in the extract by SDE method. The results suggest that SDE method is the best for the analysis of low volatile components, whereas HSSP is a proper method for the analysis of high volatile components from natural resour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