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linolenic\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2초

돌산 갓의 비휘발성 유기산, 무기질, 지방산 및 섬유소 조성 (Non-Volatile Organic Acids, Mineral, Fatty Acids and Fiber Compositions in Dolsan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 박석규;조영숙;박정로;전순실;문주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7
    • /
    • 1993
  • 국내 김치류 가운데 향토식품으로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있는 갓의 비휘발성 유기산, 무기질, 지방산조성 및 섬유소 등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는 비휘발성 유기산은 잎줄기보다 잎에 많았으며, 특히 malic acid의 함량이 79.lmg%로서 가장 높았고, citric acid는 23.7mg%로서 잎의 함량이 잎줄기보다 4배 정도 더 많았다. 잎과 잎줄기의 무기질은 칼슘(143.7, 81.3mg%)과 마그네슘(22.7, 14.5 mg%)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잎의 무기질함량은 잎줄기에 비하여 1~1.8배 정도 많았다. 특히 철 (6.9, 7.3mg%)은 다른 십자화과 채소에 비하여 상당히 많았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은 $\alpha$-linolenic acid, palmit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포화지방산에 비하여 3.7배 많으며, 잎과 잎줄기의 P/S비율이 각각 4.1과 2.9로서 잎이 1.4배 높았다. 식이성 섬유질 중 펙틴질에 있어서 잎과 잎줄기의 알코올불용성성분 (AIS)은 9.4및 6.7%로서 잎의 AIS함량이 1.4배 많았으며, 잎과 줄기에서 공통적으로 AIS는 열수수용성펙틴(HWSP), 인산염가용성펙틴(HXSP), 염산가용성펙틴(HSP)이 4.1 : 2.8 : 1의 비로 구성되며, HXSP와 HSP의 함량이 크게 차이를 보였다. 또한 총 식이성섬유질의 함량은 잎과 잎줄기에서 각각 1.2와 2.8%를 함유하며, ADF에 비하여 NDF함량이 많았으며, 리그닌이 가장 적었다. 셀루로스는 헤미셀루로스에 비하여 2.1배 많았으며, 대체로 잎줄기에는 잎에 비하여 각 식이성 섬유소의 함량이 약간씩 높았다.

  • PDF

현대인을 위한 기능성 영양균형선식의 제조와 품질 (Manufacture of Nutritionally Balanced 'Sunsik' for the Moderns: Its Quality Characteristics)

  • 김준한;박필숙;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3-129
    • /
    • 2005
  • 일반인의 식사대용이나 노약자의 영양공급용 기능성 영양균형선식을 제조하고 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영양학적 성분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단백질함량은 일반선식이 $21.96\%$로 영양균형선식의 $16.76\%$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된 유리당으로 sucrose 함량은 영양균형선식이 226.91 mg/100 g으로 일반 선식 74.82 mg/100 g 보다 높은 함유량이었다. 주요 유기산으로는 malic acid의 경우는 일반선식과 영양균형선식에 각각 15.41 mg/100 g과 36.76 mg/100 g로 높은 함량이었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영양균형선식에는 serine이 180.31 mg/100 g으로 일반선식의 serine 함량보다 약 2배정도로 높았다. 주요지방산으로 Linoleic acid의 함량은 일반선식에 $38.16\%$와 영양균형선식에 $29.30\%$로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주된 무기질로 P의 함량은 일반선식에는 641 mg/100 g으로 높은 함량이었으나 영양균형선식에서는 457.64 mg/100 g 함량 수준으로 낮았고, 또한 Ca함량은 일반선식에 290.08 mg/100 g과 영양균형선식에 234.78 mg/100 g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의 경우는 영양균형선식 개발제품은 BHA 200 ppm과 BHT 200 ppm에 비해 약$29\%$ 정도의 항산화력을, $\alpha-tocopherol$ 400 ppm에 비해 약 $40\%$ 정도의 항산화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영양균형선식이 외관적 색, 고소한 맛, 향미, 씹힘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들기름과 미강유 혼합 식용유의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및 식물성 스테롤 및 산화안전성 측정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of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and Oxidative Stability of Mixed Edible Oil of Perilla Seed and Rice Bran Oil)

  • 이미진;조문구;오석흥;오찬호;최동성;우자원;박기홍;정문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5
    • /
    • 2014
  • 들기름 및 미강유를 베이스로 개발한 혼합 식용유는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 함량이 약 20% 정도로 매우 높다. 이는 기존의 일반 식용유 중 오메가-3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콩기름과 카놀라유의 리놀렌산 함량이 각각 6% 및 10%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식용유에 비하여 새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2~3배 높은 비율로 오메가-3 지방산을 제공할 수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부족한 현대인의 식단에서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 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토코페롤 함량도 약 46.77 mg/100 g oil 정도인데, 가장 주목할 일은 토코페롤 동족류 중 비타민 E의 활성이 가장 강한 알파-토코페롤(31.71 mg/100 g oil)이 가장 많이 존재하여, 총 토코페롤의 64%를 차지하고 있어서 비타민 E로서의 기능이 높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이 알려진 파이토스테롤 함량이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에 약 7,200 ppm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식용유의 3,000 ppm의 약 2.3배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일반적인 식용유인 콩기름과 거의 유사한 산화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일반 들기름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었다.

박과식물(科植物) 종자유(種子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s from Some Seeds of the Cucurbitaceae Family)

  • 김성진;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1996
  • 박과식물(科植物) 종실(種實)에는 총지질량(總脂質量)이 $21.9{\sim}50.7%$의 범위(範圍)로 비교적(比較的높았으며, 특(特)히 박, 하늘타리의 경우는 41.9%와 50.7%로 조사(調査)한 시료(試料)중에 제일 높았으며, 또 모든 시료(試料)가 약(約) 98% 이상(以上)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호박, 수세미오이, 수박, 참외, 오이 및 박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리놀산(酸)의 함량(含量)이 제일(第一) 많아 $56.8{\sim}84.0%$이였으며, ${\alpha}$-리놀레산(酸)의 함량(含量)은 0.0${\sim}$0.6%로 매우 적었고, 올레산(酸)이 주성분(主成分)인 모노엔산(酸)과 팔미트산(酸)이 대부분(大部分)인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은 그 함량(含量)이 각각(各各) 5.7${\sim}$22.2%와 9.9${\sim}$20.6%로 시료(試料)에 따라 심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하늘타리 종자(種子)의 총지질(總脂質)에는 $C_{18:2{\omega}6}$$_{9c.11t.13c-}C_{18:3}$(Punicic acid)이 40.5%와 34.9%로 주요(主要) 성분(成分)이였고, 그 다음으로 $C_{18:1{\omega}9$가 13.8%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그러나 $_{9c/11t.13t-}C_{18:3}$(${\alpha}-eleostearic$ acid)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한편 여주의 경우(境遇)에는 $_{9c.11t.13c-}C_{18:3}$이 66.9%로 제일(第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C_{18:1{\omega}9$$C_{18:1{\omega}6$이 17.7%, 10.4% 각각(各各)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하늘타리에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_{9c.11t.13c}-C_{18:3}$$_{9t.11t.13c-}C_{18:3}$(${\beta}-eleostearic$ acid)와 함께 1.1% 정도(程度)로 소량(少量) 포함(包含)되어 있었다. ${9c.11t.13c-}C_{18:3}$$_{9c.11t.13t-}C_{18:3}$와 같은 conugate trienoic acid는 여타시료(餘他試料)에서는 전연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하늘타리와 여주의 종자유(種子油)의 극성지질(極性脂質)에는 이틀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 다량(多量)으로 존재(存在)하는 conjugate trienoic acid가 극(極)히 소량(少量)밖에 존재(存在)하지 않는 것은 매우 특징적(特徵的)이며,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이 중성지질(中性脂質)(9.9${\sim}$20.6%)에 비(比)하여 극성지질(極性脂質)(25.0${\sim}$29.4%) 에 보다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다는 사실(事實)을 나머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박과식물(科植物) 종자(種子)는 리놀산(酸)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는 군(群)과, $_{9c.11t.13c}-C_{18:3}$$_{9c.11t.13t-}C_{18:3}$와 같은 conjugate trienoic acid를 가진 군(群)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었다.

유자씨유의 지방산분석 및 Nitric Oxide 생성, 지방축적능, 렙틴분비 조절효과 (Fatty acid analysis and regulatory effect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oil on nitric oxide producti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21-228
    • /
    • 2014
  • 본 연구는 유자씨유 (Citron seed oil, CSO)의 지방산분포와 생리활성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함으로서 기능성 식용유 소재로서의 CSO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oleic acid 32%, linoleic acid 34%, palmitic acid 19.2%, stearic acid 3.8%, linolenic acid 2.0%, palmitoleic acid 0.6%, arachidic acid 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어 CSO의 독성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HUVECs과 3T3-L1 세포에서 생리활성을 확인하기위해 nitric oxide 생성, Oil Red O 염색을 이용한 지방적형성, leptin 분비를 관찰하였다. CSO는 HUVEC에서 TNF-${\alpha}$의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된 nitric oxide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0.1 mg/ml에서 control 수준까지 nitric oxide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CSO는 MDI solutio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mu}M$ dexamethasone, $10{\mu}g/ml$ insuli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3T3-L1 adipocyte에서 control (100%) 대비 0.05 mg/ml에서 약 27.5%, 0.1 mg/ml에서 약 15.1%의 지방적 (lipid droplet) 형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S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leptin 방출이 control군 (100%)대비 CSO 0.05 mg/ml에서 144.5%, 0.1 mg/ml에서 138.3%로 증가하여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CS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몇 가지 생리활성효과를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Uuganbayar, D.;Bae, I.H.;Choi, K.S.;Shin, I.S.;Firman, J.D.;Yang, C.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2호
    • /
    • pp.1769-1774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green tea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hens. A total 180 'Tetran Brown' laying hens aged 40 weeks were assigned to 6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ach treatment consisted of five replicates accommodating six layers per replicatio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a negative control containing no green tea, a positive control diet containing antibiotics (0.05% chlortetracycline) and diets containing 0.5%, 1.0%, 1.5% and 2.0% green tea powder. Egg production rate of layers fed the diets containing green tea powde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s (p>0.05). Egg weigh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fed the diet containing 0.5% green tea powder (p<0.05). Feed intake of layer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diet containing 1.5% green tea powder compared to that of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 diets (p<0.05). The eggshell thickness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layer group fed the diets containing green tea powder regardless of dietary levels (p<0.05). Green tea powder tended to reduce egg yolk cholesterol in this experiment. Particularly, dietary 2% level of green tea powder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holesterol contents of the egg yolk (p<0.05). Thiobarbituric acid value (TBA) of egg yolk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green tea diets (p<0.05). The yellowness of egg yolk was increased in the layers fed the 2.0% green tea diet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diet (p<0.005). The Linoleic and $\alpha$-linolenic acids tended to increase in the group fed diets containing 1.5% green tea powder even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p>0.05). The oleic and docosahexaenoic acid contents of the egg yolk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is concluded that green tea powder inclusion in the diet for layers at 2.0% level can reduce the cholesterol content and TBA value of the egg yolk, implying its potential effect on egg quality parameters.

Meat Quality, Digestibility and Deposition of Fatty Acids in Growing-finishing Pigs Fed Restricted, Iso-energetic Amounts of Diets Containing either Beef Tallow or Sunflower Oil

  • Mitchaothai, J.;Everts, H.;Yuangklang, C.;Wittayakun, S.;Vasupen, K.;Wongsuthavas, S.;Srenanul, R.;Hovenier, R.;Beynen, A.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7호
    • /
    • pp.1015-1026
    • /
    • 2008
  • The influence of dietary beef tallow (BT) versus sunflower oil (SO) on meat quality and apparent digestibility and deposition of individual fatty acids in the whole carcass was investigated in pigs fed diets containing either BT or SO. The diets contained equal amounts of energy in the form of the variable fats and were fed on an iso-energetic, restricted basis. Crude fat in the SO diet was better digested (p<0.001) than in the BT diet. The dietary fat type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arcass and meat quality. The pigs fed the BT diet showed lower (p<0.001) apparent digestibilities for palmitic and linoleic acid, but those of oleic and ${\alpha}$-linolenic acid were not affected. The ratio of deposition in the carcass to intake of digestible fatty acids for the whole feeding period was decreased (p<0.01) for oleic and linoleic acid in pigs fed the SO diet. The pigs fed the SO diet instead of the BT diet had a lower (p<0.05) deposition:intake ratio for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he calculated minimum de novo synthesis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increased for the SO diet, but tha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as not different. In conclusion, the iso-energetic replacement of BT by SO had a marked impact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issues, but did not affect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spite of the marked difference in the deposition of linoleic acid in adipose tissues, loin muscle and the whole body. In addition, it became clear that the type of dietary fat had marked, specific effects on the synthesis and oxidation of fatty acids.

한국 토착 미세조류 클로렐라 불가리스 KNUA027 균주의 생화학적 조성 (Biochemical Composition of a Korean Domestic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KNUA027)

  • 홍지원;김오홍;조승우;김현;정미랑;박경목;이경인;윤호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0-407
    • /
    • 2016
  • 인삼 유묘 뿌리 주변에서 자라고 있는 단세포 녹색 조류, 클로렐라 불가리스 KNUA027을 순수분리한 후 본 분리균주의 생물공학적 활용 가능성에대해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 결과, 본 균주에는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알파 리놀렌산(C18:3 ω3, 45.8%, 50.8 mg/g) 및 헥사데카트리엔산(C16:3 ω3, 11.8%, 13.1 mg/g)과 같은 다가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국내 토착 미세조류는 잠재적인 오메가-3 다가불포화지방산 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팔미트산(C16:0, 37.1%, 41.2 mg/g) 역시 본 균주에 의해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생합성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사분석 결과 KNUA027 균주의 휘발성물질 함량은 88.5%였으며, 원소분석 결과 고위발열량은 19.8 MJ/kg으로 나타났다. 본 KNUA027 균주를 이용한 연구결과는 미세조류 기반 바이오연료와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imulatory Effect of Essential Fatty Acids on Glucose Uptake Involves Both Akt and AMPK Activation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 Park, So Yeon;Kim, Min Hye;Ahn, Joung Hoon;Lee, Su Jin;Lee, Jong Ho;Eum, Won Sik;Choi, Soo Young;Kwon, Hyeok Yi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3호
    • /
    • pp.255-261
    • /
    • 2014
  • Essential fatty acid (EFA) is known to be required for the body to function normally and healthily. However, the effect of EFA on glucose uptake in skeletal muscle has not yet been ful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two EFAs, linoleic acid (LA) and ${\alpha}$-linolenic acid (ALA), on glucose uptake of C2C12 skeletal muscle cells and investigated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stimulatory effect of polyunsaturated EFAs in comparison with monounsaturated oleic acid (OA). In palmitic acid (PA)-induced insulin resistant cells, the co-treatment of EFAs and OA with PA almost restored the PA-induced decrease in the basal and insulin-stimulated 2-NBDG (fluorescent D-glucose analogue) uptake, respectively. Two EFAs and OA significantly protected PA-induced suppression of insulin signaling, respectively, which was confirmed by the increased levels of Akt phosphorylation and serine/threonine kinases ($PKC{\theta}$ and JNK) dephosphorylation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In PA-untreated, control cells, the treatment of $500{\mu}M$ EFA significantly stimulated 2-NBDG uptake, whereas OA did not.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one of its downstream molecules, acetyl-CoA carboxylase (ACC) was markedly induced by EFA, but not OA. In addition, EFA-stimulated 2-NBDG uptak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pre-treatment of a specific AMPK inhibitor, adenine 9-${\beta}$-D-arabinofuranoside (araA). These data suggest that the restoration of suppressed insulin signaling at PA-induced insulin resistant condition and AMPK activation are involved at least in the stimulatory effect of EFA on glucose uptake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자주복 유어의 필수지방산 요구 및 적정함량 (Requirement of Young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for Essential Fatty Acids and Its Optimal Level)

  • 한경남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3-361
    • /
    • 1996
  • 자주복 유어의 필수지방산 요구 및 사료중의 적정함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45g의 유어를 사용하여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사육실험의 결과, 성장은 실험개시 4주부터 실험구들 사이에 차이가 보여 실험 종료시에는 $0.5\~1\%$ n-3 HUFA 실험구와 $0.5\%$ DHA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교하여 우세한 성장을 보였다(P<0.05). 또한, EPA, DHA 및 n-3 HUFA 실험구 사이에 효율성의 비교에서 EPA$1\%$ EPA실험구는 사료중에 $0.5\%$에서 $1\%$로 지방산을 증량시킴에 의해 첨가효과가 인정되었으나, DHA와 n-3 HUFA실험구는 EPA실험구와 상이하게 $1\%$ DHA실험구에서 급격한 성장의 저하와 $1\%$ n-3 HUFA 실험구에서는 성장의 정체가 나타났다. 실험기간동안에 생잔률은 $73\~93\%$의 범위로 지방산과의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사료효율은 n-3 HUFA실험구와 $0.5\%$ DHA실험구에서 높았고, $1\%$ LNA실험구는 $0.5\~1\%$ EPA실험구와 $0.3\%$ DHA실험구와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유어기의 자주복은 EPA나 DHA등의 n-3 HUFA를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함이 사료되며, 사료중의 $0.5\%$ 정도의 HUFA 또는 $0.5\%$ DHA가 적정함량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