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representa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헤어 태도.헤어 관여의 중요도와 연령에 따른 차이 (Hairdo Attitude.Hairdo Involvement Importance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 이혜원;김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6호
    • /
    • pp.917-928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hairdo attitude and hairdo involvement importance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For the experimental work, questionnaires for research are prepared and asked to people who are women living in Seoul and Kyoung-Ki Do. They a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6. 406 questionnaires are used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software with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paired T-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hairdo attitude and the hair involvement depending on different age groups, two groups were identified: one group of women aged $20{\sim}35$, and the other group of those aged $45{\sim}60$. 1. When the hairdo attitude factors were prioritized, orientations toward 'constancy' and 'consciousness of others' were found to be most critical, followed by those toward 'leader's fashion conformity' and 'distinct individuality'. When the hairdo involvement factors were prioritized, 'interests and pleasure in hairdo' were found to be most important, followed by 'symbolic representation', 'risk awareness', 'coordination of hairdo', and 'fashionableness'. 2. When difference in the hairdo attitude was analyze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orientations toward 'leader's fashion conformity' and 'consciousness of others'. 3. As for the hairdo involvement of the group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coordination of hairdo', signalling that the younger women put more focus on the coordination.

  • PDF

The Factorial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sian Effort-Reward Imbalance Questionnaire

  • Babamiri, Mohammad;Siegrist, Johannes;Zemestani, Mehd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3호
    • /
    • pp.334-338
    • /
    • 2018
  • Background: With global changes in the current state of work and employment, the role of health-advers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developed as well as in rapidly developing countries. Thus, there is a need to apply valid measurement tools for monitoring and preventive purpos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ial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sian version of the effort-reward imbalance (ERI) questionnaire, assessing one of the internationally leading concepts of stressful work. Methods: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of a random sample of 202 white collar employees in an industrial company in Iran analyzes the ERI scales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reover, aspects of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are tested. To this end, correlations of ERI scales with subscales of organizational injustice, a complementary work stress model, and also the correlations of ERI scales with a questionnaire assessing psychosomatic symptoms are performed. Results: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hree ERI scales was satisfactoryy (Cronbach ${\alpha}$ effort: 0.76, reward: 0.79, overcommitment: 0.75). Fit indic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sis pointed to an adequate representation of the theoretical construct (e.g., adjusted goodness of fit index (AGFI): 0.73, goodness of fit index (GFI): 0.78). Negative correlations with subscales of organizational injustice supported the notion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ERI scales, and positive correlations of ERI scales with psychosomatic symptoms indicated preliminary criterion validity. Conclusion: The Persian version of the ERI questionnaire has acceptabl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an be used as a valid instrument in research on this topic.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 문항 분석을 통한 문항의 질 향상 방안 (Analysis of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Items for the Enhancement of Item Quality)

  • 이기영;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11-52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 문항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1회와 2회 예선 및 본선 문항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문항 분석을 위해 내적 및 외적 문항 분류틀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고전 검사이론을 적용하여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상관계수, 그리고 신뢰도를,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일반화가능 도를 각각 추정하였다. 문항 분류틀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 차원에서는 지질 영역과 천문 영역에, 지식 및 탐구과정 차원에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맥락 차원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문항이 교과서적인 상황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2) 요구 사고 수준에서 예선과 본선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문항 표현 범주에서는 그림의 사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문항 유형 범주에서는 예선은 선다형과 단답형의 비율이, 본선은 서술형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문항 형식 범주에서는 중학부와 예선은 단독형의 비율이 높고, 고교부와 본선은 복합형의 비율이 높았다. 문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부는 대체로 난이도가 낮고, 변별도는 적절하였다. 그러나 고교부는 일반고와 과학고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2) 중학부는 대기 영역과 총점과의 상관이, 고교부는 천문 영역과 총점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다. (3) 양호한 문항이 가장 많은 일반고부의 문항 내적 일관성신뢰도와 일반화가능도가 가장 높았다. (4) 일반 고는 출제된 문항 수로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 도에 도달되나, 중학부나 과학고는 출제된 문항보다 2배 이상 많은 문항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장식이 돌잔치 고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ower decoration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visit of a baby's first birthday)

  • 김정희;임영희;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68-76
    • /
    • 2011
  • 화훼장식이 돌잔치 고객의 만족도와 장소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남녀나 기혼자와 미혼자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연령은 20대와 30대가 주류를 이루었고, 학력은 대졸자가 가장 많았다. 요인분석 결과 7개의 중요 변수 즉,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의 스타일과 구성, 디자인의 조화와 색감, 접근성, 시설, 서비스와 가격, 만족도, 그리고 재방문 의도로 이론적 모형이 구성되었다. 모형화한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SPSS 14.0K를 이용하여 탐색요인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형의 모든 인과관계의 경로계수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조 분석방법을, 타당성 평가를 위해서는 AMOS 7.0의 측정 모형을, 그리고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적 통계, 빈도분석, 크론바하 알파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만족도에 가장 큰 항목을 차지하는 항목은 화훼장식의 스타일과 구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화훼장식의 조화와 색감이었다. 그리고 서비스와 가격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접근성과 시설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돌잔치의 기획 및 연출을 위해서는 화훼장식이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의미하는 한편, 이 중요 변수를 잘 활용하면 고객의 만족도가 증가하게 되고 만족도가 증가하게 되면 재방문 의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DeNERT: Named Entity Recognition Model using DQN and BERT

  • Yang, Sung-Min;Jeong, Ok-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29-3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개체명 인식 DeNERT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는 방대한 양의 말뭉치로 사전 학습된 언어 표현 모델을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자연어처리 분야 중 하나인 개체명인식은 대부분 지도학습 방식을 사용하는데, 충분히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 세트와 학습 연산량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강화학습은 초기 데이터 없이 시행착오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방식으로 다른 기계학습 방법론보다 조금 더 사람이 학습하는 과정에 가까운 알고리즘으로 아직 자연어처리 분야에는 많이 적용되지 않은 분야이다. 아타리 게임이나 알파고 등 시뮬레이션 가능한 게임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 BERT는 대량의 말뭉치와 연산량으로 학습된 구글에서 개발한 범용 언어 모델이다. 최근 자연어 처리 연구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언어 모델이며 많은 자연어처리 하위분야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DQN, BERT 두가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개체명 인식 DeNERT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범용 언어 모델의 장점인 언어 표현력을 기반으로 강화학습 모델의 학습 환경을 만드는 방법으로 학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된 DeNERT 모델은 적은 양의 학습 데이터세트로 더욱 빠른 추론시간과 높은 성능을 갖는 모델이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모델의 개체명 인식 성능평가를 위해 실험을 통해서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