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oxidas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7초

Bioluminescent Assay of ${\alpha}$-Oxidase from Cucumis sativus using Bacterial Luciferase-Coupled Reaction

  • Cho, Ki-Woong
    • BMB Reports
    • /
    • 제33권4호
    • /
    • pp.353-357
    • /
    • 2000
  • A new assay method of ${\alpha}-Oxidase$ (fatty acid : oxygen dioxygenase, 1-decarboxylating) was developed using a bioluminescence reaction system of marine luminous bacterium, Photobacterium phosphoreum. ${\alpha}$-Oxidase was isolated from a cucumber (Cucumis sativus). Pentadecanoic acid was used as a substrate, and the product, tetradecanal, was analyzed with a bacterial luciferase-coupled reaction. Initial light intensity was directl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tetradecanal in the range of 1 nM to 10 ${\mu}M$. Optimal pH and temperature were 7.5 and $25^{\circ}C$, respectively. Optimal pentadecanoic acid concentration in a standard assay of ${\alpha}$-oxidase was 0.1 mM. The Km value of pentedecanoic acid was $85{\mu}M$. This method is straightforward, rapid, convenient, and easy. Its needs no treatment or extraction of reaction mixture.

  • PDF

Modulation of the Cytochrome c Oxidase Activity by ATP: Implications for Mitochondrial Respiratory Control

  • Park, Nan-Hyang;Chun, Sun-Bum;Han, Tae-Young;Han, Sang-Hwa
    • BMB Reports
    • /
    • 제29권4호
    • /
    • pp.300-307
    • /
    • 1996
  • ATP and ADP are potential regulators of mitochondtial respiration and at physiological concentrations they affect the rate of electron transfer between cytochrome c and cytochrome c oxidase. The electron transfer, however, depends on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roteins. In order to exclude any nonspecific ionic effects by these polyvalent nucleotides, we used 2'-O-(2,4,6)trinitro(TNP)-derivatives of ATP and ADP which have three orders of magnitude higher affinity for cytochrome c oxidase. A simple titration of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NP by cytochrome c oxidase showed a binding stoichiometry of 2:1 cytochrome c:cytochrome c oxidase. Higher ionic strength was required for TNP-ATP than for TNP-ADP to be dissociated from cytochrome c oxidase, indicating that the negative charges on the phosphate group are at least partially responsible for the binding. In both spectrophotometric and polarographic assays, addition of ATP (and ADP to a less extent) showed an enhanced cytochrome c oxidase activity. Both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and fluorescence spectra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ytochrome c-cytochrome c oxidase interaction. Instead, reduction levels of the cytochromes at steadystate suggest that the increased activity of nucleotide-bound cytochrome c oxidase is due to faster electron transfer from cytochrome ${\alpha}$ to cytochrome ${\alpha}_3$, which is known to be the fate limiting step in the oxygen reduction by cytochrome c oxidase.

  • PDF

식이섬유 첨가가 흰쥐의 간 Xanth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Rats)

  • 윤종국;이영순;이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43-847
    • /
    • 1995
  • 식이섬유가 단백질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pectin 및 ${\alpha}-cellulose$를 첨가(0%, 15%, 30%)한 식이로 5주간 사육한 후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 및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장기 무게와 사육기간 중 사료효율의 변동은 관찰하여 이들을 상호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기간 중 체중의 변동은 대조군에서는 처음 체중의 약 3.6배, 10%, 30%,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두군 모두 약 3.5배, 15% pectin 첨가군은 약 2.9배, 30% pectin 첨가군은 약 1.9배로 증가되었다. 세 군간에 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는 대조군과 ${\alpha}-cellulose$ 첨가군 간에는 체중 증가율이 거의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15%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 보다 약 24%(p<0.01) 저하되었으며 30% pectin 첨가군은 15% pectin 첨가군에 비하여 약 38%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한편 사료효율은 ${\alpha}-cellulose$ 및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섬유는 첨가 함량에 비례하여 사료효율이 역시 떨어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장기의 체중당 백분율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pectin 첨가군이 대조군 및 ${\alpha}-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높은 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간장에 있어서 그 차이가 심했다. 이때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은 15%, 30% pectin 첨가군의 두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약16% 감소되었으며 간 xanthine oxidase 활성치는 15% pectin 첨가군과 30% pectin 첨가군 공히 대조군 보다 약 40%의 유의한(p<0.01) 감소를 보였다. 또한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

Aspergillus oryzae에 있어서 L-Tyrosine의 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gradation of L-Tyrosine by Aspergillus oryzae)

  • 정동효;박성오;김영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31-135
    • /
    • 1971
  • 1. Aspergillus oryzae의 균체에는 L-tyrosine-${\alpha}$-ketoglutaric acid transaminase와 p-hydroxyphenlypyruvic acid oxidase가 존재해 있다. 2. L-Tyrosine 산화효소는 액침배양한 Aspergillus oryzae의 acetone powder, cell free extract 및 배양액에도 존재하며 L-tyrosine은 ${\alpha}$-ketoglutaric acid의 첨가로 더욱 빨리 전환되었다. 3. ${\alpha}$-Ketoglutaric acid와 pyridoxal phosphate는 transamination의 amino기의 수용체로 생각되었다. 4. 이들 효소계는 L-tyrosine와 p-hydroxyphenlypyruvic acid를 homogentisic acid로 산화시켰다. 5. Ascorbic acid는 p-hydroxyphenlypyruvic가 homogentisic acid로 산화되는데 특별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 6. L-Tyrosine-${\alpha}$-ketoglutaric acid transaminase와 p-hydroxyphenlypyruvic acid oxidase의 최적 pH는 각 각 pH $6.0{\sim}6.5$와 pH 7.5이었다.

  • PDF

바이칼호에서 분리한 빈영양성 세균과 저온성 세균의 탄소원 이용 특성 (Sole-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of Oligotroph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Lake Baikal.)

  • 이건형;배명숙;박석환;송홍규;안태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8-253
    • /
    • 2004
  • 2000년 9월부터 2002년 12월 사이에 바이칼호에서 분리된 빈영양성 세균 168균주와 저온성 세균 132균주를 대상으로 BIOLOG Microplate를 이용하여 탄소원의 이용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빈영양성 세균 중 oxidase 양성 (GN-NENT 그룹)의 86% (56균주)와 oxidase음성 (GN-ENT그룹)의 89% (92균주), 저온성 세균 중 oxidase 음성 (GN-ENT 그룹)의 82% (85균주)는 다앙한 탄소원 중에서 $\alpha$-D-glucose를 이용할 수 있었으며, 저온성 세균 중 oxidase 양성 (GN-NENT 그룹)의 93% (26 균주)는 bromosuccinic acid를 이용하였다. $\alpha$-D-lactose는 빈영양성 GN-ENT 그룹의 일부만이 이용하였으며 나머지 균주들은 전혀 이용하지 못하였다. BIOLOG Microplate를 이용하여 동정된 균들을 속별로 살펴보면, Pseudomonas속이 49균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Salmonella 속, Serratia속, Buttiauxella 속, Pantoea 속, Yersinia 속, Brevundimonas 속, Hydrogenophaga 속, Photorhabdus 속, Sphingomonas 속, Xenorhabdus 속이 동정되었다.

폴리페놀산화효소를 활용한 Gallic Acid 반응물의 라디칼 소거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 평가 (Evaluation of Radical Scavenging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Gallic Acid Reactants Using Polyphenol Oxidase)

  • 정윤희;김태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85-1390
    • /
    • 2016
  • 폴리페놀 화합물은 천연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천연 화합물로 과일, 주스, 야채 등에 존재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이들 화합물의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 효과로 오랫동안 주목을 받고 있다.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및 항당뇨 개발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효소 저해,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배유래의 polyphenol oxidase를 이용하여 천연에 존재하는 단순 페놀성 화합물인 gallic acid의 산화 축합반응을 실온에서 1, 3, 5, 7, 10시간 동안 유도하여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라디칼을 활용한 항산화 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능을 통해 항당뇨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gallic acid의 5시간 반응물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84.9%의 활성을 나타내어, 양성대조군인 (+)-catechin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시간 및 10시간 반응물의 경우 라디칼 소거 활성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반응 1, 3, 5시간 반응물에서 양성대조군인 (+)-catechin보다 강한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7시간 반응물부터는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5시간 반응물의 $250{\mu}g/mL$ 농도에서 87.4%의 가장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활성은 같은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acarbose의 81.8%보다 강한 활성이었다. 향후 이들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화합물의 대량생산을 통한 물질 분리 및 구조 동정을 통하여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과 추가적인 메커니즘 검증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Glucose Oxidase의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의 대량생산 및 고효율 분비 (Overproduction and High Level Secretion of Glucose Oxid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홍성용;최희경;이영호;백운화;정준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8-75
    • /
    • 1998
  • A. niger의 GOD(Glucose Oxidase) 대량생산과 효율적인 분비를 protein의 대량생산에 많이 사용되는 strain인 S. cerevisiae에서 시도하였다. S. cerevisiae의 ADH1과 GAL 10 promotor, 그리고 ${alpha}$-MF signal sequence와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 및 S. cerevisiae의 GAL7과 A. niger의 GOD terminator를 이용하여 4개의 expression vector를 합성한 후 S. cerevisiae 2805에 auxotroph 방법으로 형질변환시켰다. 변이체들을 배양하여 세포내와 세포외의 GOD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GAL 10 promotor가 삽입된 pGAL변이체들이 ADH1 promotor가 삽입된 pADH 변이체들 보다 GOD 생산성이 높았다. GAL 10 promotor와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가 삽입된 pGALGO2에서 115시간 배양시 GOD의 생산이 가장 높았다($GOD_{total}$: 10.3 unit/mL, $GOD_{ex}$: 8.7 unit/mL). 이 수치는 같은 promotor인 GAL 10 promotor와 ${alpha}$-MF signal sequence가 삽입된 pGALGO1보다 3배정도 높다. 이 결과는 ADH 1 promotor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일치하였다. 또한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가 S. cerevisiae의 ${alpha}$-MF signal sequence보다 GOD를 더 효과적으로 분비시켰다. 상기 결과로 미루어 보면 signal sequence가 단백질의 분비 외에도 단백질 합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pGALGO1과 pGALGO2의 GOD분비효율은 각각 89%, 84%이었다. S. cerevisiae에서는 일반적으로 과당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S. cerevisiae에서 합성된 재조합 GOD의 분자량은 250 kDa으로 A. niger의 GOD(170 kDa)보다 더 컸다.

  • PDF

Isolation of Xanthine Oxidase Inhibitors from Ginkgo biloba Leaves-Derived Components

  • Baek, Bong-Rae;Kim, Moo-Key;Lee, Sung-Eun;Hwang, Young-Hee;Lee, Hoi-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8-21
    • /
    • 2002
  • The extract of Ginkgo biloba leaves was measured fo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xanthine oxidase. Aceton extract of G. biloba leaves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y.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fractionated extract were in the order of water > ethyl acetate fractions. Two fractions exhibiting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ware further purified via repeated silica gel, Amberlite IRN-78, Polyclar AT,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Active component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rough $^1$H-NMR and $^{13}$ C-NMR. The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as kaempferol 3-Ο-$\alpha$-(6$^{"′}$-p-coumaroylglucosyl-$\beta$-1,4-rhamnoside), and quercertin 3-Ο-$\alpha$-(6$^{′}$-p-coumaroylglucosyl-$\beta$-1,4-rhamnoside).

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NADH Oxidase from Pyrococcus horikoshii OT3

  • Koh, Jong-Uk;Chung, Hyun-Jung;Chang, Woo-Young;Tanokura, Masaru;Kong, Kwa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2984-2988
    • /
    • 2009
  • A gene (PH0311) encoding a hypothetical protein from the genome sequence data of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Pyrococcus horikoshii OT3 was cloned and over-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was found to possess FAD-dependent NADH oxidase activity, although it lacked sequence homology to any other known general NADH oxidase family. The product of the PH0311 gene was thus designated PhNOX (NADH oxidase from Pyrococcus horikoshii), with an estimated molecular weight of 84 kDa by gel filtration and 22 kDa by SDS-PAGE, indicating it to be a homotetramer of 22 kDa subunits. PhNOX catalyzed the oxidation of reduced ${\beta}$-NADH with subsequent formation of $H_2O_2$ in the presence of FAD as a cofactor, but not ${\alpha}$-NADH, ${\alpha}$-NADPH, or ${\beta}$-NADPH. PhNOX showed high affinity for ${\beta}$-NADH with a Km value of 3.70 ${\mu}$M and exhibited optimum activity at pH 8.0 and 95$^{\circ}C$ as it is highly stable against high temperature.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아질산 소거능 및 α-Glucosidase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조혜은;최영주;조은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81-486
    • /
    • 2010
  •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2.5 mg/mL에서 49.0%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5 mg/mL 농도에서 69.2%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통풍과도 관련이 있는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g/mL에서 88.8%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mg/mL의 농도에서 86.2%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오미자 열수 추출물 1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각각 54%와 42%, pH 6.0에서는 34%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오미자 열수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과,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혈당강하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