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Pinen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6초

Evaluation of Nigella sativa Seed Constituents for Their in vivo Toxicity in Mice

  • EI-Hadiyah, T.M.;Raza, M.;Mohammed, O.Y.;Abdallah, A.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22-27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in constituents of Nigella sativa (NS) seed on the survival and CNS responses in experimental animals. The toxicolog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for the determination of median lethal doses $(LD_{50})$ of NS seed constituents [i.e. aqueous extract (AE), fixed oil (FO), volatile oil (VO)] and main components of its VO [i.e. thymoquinone (TQ), ${\alpha}-pinene$ (AP) and p-cymene (PC)]. A part of this study includes evaluation NS constituents in the induction of minimal neurological deficit (MND) as a parameter for neurotoxicity using chimney test. In this study, the i.p. $LD_{50}$ values of AE, FO, VO, TQ (suspended In 0.5%CMC), TQ (dissolved in corn oil), AP and PC, were 3020, 3371, 1853, 616.6, 90.3, 1726 and 1523 mg/kg, respectively. All the NS constituents can be considered moderately toxic ($LD_{50}$ ranged from 616.6 to 3371 mg/kg), except the oily solution of TQ, which was very toxic ($LD_{50}$ was 90.3 mg/kg). It appeared that the toxicity of the whole VO is mainly due to its content of TQ and to some extent PC. All the NS constituents induced different degrees of MND at certain dose levels. The median neurotoxic (or sedating) doses $(TD_{50})$ of AE, FO, VO, TQ (suspended in CMC) and AP and PC, were 950, 1403, 306, 88.1, >173 and 368 mg/kg, respectively. TQ was the most potent component in inducing MND, whereas the FO and AE were the least. Neurotoxicity induced by the VO in the chimney test may refer basically to its contents of TQ and to some extent PC and AP.

초피(Zanthoxylum piperitum DC)의 과피와 잎의 방향성분 (Flavor Components of the Fruit Peel and Leaf Oil from Zanthoxylum piperitum DC)

  • 김정한;이경석;오원택;김경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2-568
    • /
    • 1989
  • 9월 중에 채취한 성숙한 초피 (Zanthoxylum piperitum DC)의 과피와 잎성분의 변성을 고려한 방법인 gas co-distillation으로 추출하고, GC/MS와 함께 workstation BASIC program들을 사용하여 극성이 다른 두 column(FFAP, HP-1)에 대한 authentic standard들의 retention index(RI) 값들을 구하여 HP-1 및 FFAP, RI reference library를 만든 후 초피의 정유성분들의 두 column library 탐색을 병행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피에서 myrcene외 14 hydrocarbon들, linalool외 8 alcohol들, citronellal외 3 aldethyde들, carvone외 2 ketone들, methyl salicylate외 7 ester들 그리고 1,8-cineol 외 3 oxide를 확인하였고, 잎에서 limonene외 7 hydrocarbon들, citronellol외 7 alcohol들, cumin aldehyde외 1 aldehyde, carvone, 그리고 estragole외 1 oxide를 확인하였다. 과피에서는 1,8-cineol(25.47%), limonene(11.9%), geranylacetate(9.01%), myrcene(6.15%), geraniol(2.88%), citronellal(2.25%)등이 주성분이었고, 잎에서는 citronellal(23.11%), 1,8-cineol(18.38%), citronellol(6.04%), methyl cinnamate(4.08%)등이 주성분이었다.

  • PDF

목질제품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Wood-based Panels)

  • 박현주;손윤석;임보아;김조천;박상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16-623
    • /
    • 2010
  • Recently, interests in indoor air quality (IAQ) have been increased; however,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mainly focused on anthrop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AVOC)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Therefore, the properties of natural VOC (NVOC) and anthropogenic VOC (AVOC) emitted from wood-based panels was investigated in this work. VOCs emitted from these panels were sampled through Tenax TA/Cabotrap and analyzed by GC-MS and GC-FID. Comparisons were made concerning TVOC, NVOC, and composition ratios of NVOC. It was revealed that TVOC emission rates of midium density fiber (MDF) were the highest. Besides, it was found that emissions of NVOC from wood-based pan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anthropogenic AVOC except for plywood of Oceania timber.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composition ratio of NVOC emitted from plywood of Pinus radiata was the highest as 65% of TVOC. Major NVOC components were monoterpene compounds such as $\alpha$-pinene, $\beta$-pinene, d-limonene, camphene and $\alpha$-terpinene. It was concluded that the composition rates of VOC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were clear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러시아산 고수종자에서 추출한 정유성분 및 구성성분의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살충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of Russia coriander oils and these constituents against Sitophilus oryzae and Sitophilus zeamais)

  • 최선아;이회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39-243
    • /
    • 2018
  •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고수 종자에서 추출한 정유의 살충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3가지 추출법(수증기증류, 용매 및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 정유를 추출하였다. 용매 및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는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해 살충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수증기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는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수종자의 수증기증류 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를 GC-MS를 통해 분석한 결과 linalool (59.92%)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camphor (7.94%), linalool oxide (7.70%), p-cymene (7.44%), ${\alpha}-pinene$ (6.44%), limonene (3.29%), geranyl acetate (3.19%)의 순으로 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들 중 camphor와 linalool은 쌀바구미 및 어리쌀바구미에 대해 가장 우수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성분들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고수종자의 수증기증류 추출법에 의한 정유와 구성성분인 camphor 및 linalool이 저곡해충에 대한 살충제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신선초 김치 숙성 중 Chlorophyll 함량 및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lorphyll Contents and Volatile Compounds of Angelica keiskei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전순실;조영숙;심선엽;손미예;최성희;이상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9-65
    • /
    • 2000
  • Changes in the contents of volatiles and chlorphylls of Angelica keiskei Kimchi during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Total chlorphyll contents decreased gradually during the fermentatin period. Chlorphyll a decreased rapidly from 1.38 to 0.5$\mu\textrm{g}$/cm by the 5th day of fermentation with no further changes at 7th day, while chlorophyll b did not show any change by 3rd day and decomposed rapidly thereafter. Major voltile compounds identified in the kimchi were sabinene, $\alpha$-pinene and $\alpha$-terpinolene, which were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nce in color, sourness, bitt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sernsory evauation of Angelica keiskei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 PDF

Comparative Chemical Composition of Domestic and Imported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Oils

  • Chang, Kyung-Mi;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88-1292
    • /
    • 2009
  •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gamguk) produced in Korea and China by the hydro distillation, an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 of oils from Korean and Chinese gamguk were 2.0 and 0.5%(v/w), respectively. Sixty-three volatile compounds of Korean gamguk representing 89.28% of the total peak area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cluding 35 hydrocarbons, 12 alcohols, 6 ketones, 3 esters, 5 aldehydes, 1 oxide, and 1 miscellaneous component. Thirty-six volatile components of Chinese gamguk constituted 58.15% of the total volatile composition were tentatively characterized, consisting of 19 hydrocarbons, 7 alcohols, 2 ketones, 2 esters, 4 aldehydes, 1 oxide, and 1 miscellaneous component. The predominant components of Korean oil were ${\alpha}$-pinene, 1,8-cineol, and chrysanthenone. Whereas, camphor, ${\alpha}$-curcumene, and ${\beta}$-sesquiphellandrene were the main aroma compounds of Chinese gamguk.

대기 중 모노테르펜 (α-피넨, 3-카렌, R-리모넨, 1,8-시네올) 측정을 위한 혼합표준가스개발 (Development of Primary Standard Gas Mixtures for Monitoring Monoterpenes (α-pinene, 3-carene, R-(+)-limonene, 1,8-cineole) Ambient Levels (at 2 nmol/mol))

  • 강지환;김미언;김용두;이영우;이상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0-328
    • /
    • 2016
  • Among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in the natural ecosystem, monoterpenes, along with isoprene, play important roles in atmospheric chemistry and make significant impacts on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especially due to their contribution to secondary organic aerosol production and photochemical ozone formation. It is essential to measure monoterpene concentrations accurately for understanding their oxidation processes, emission processes and estim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biosphere and atmosphere. Thus, traceable calibration standards are crucial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of monoterpenes at ambient levels. However, there are limited information about developing calibrations standards for monoterpenes in pressured cylinders. This study describes about developing primary standard gas mixtures (PSMs) for monoterpenes at about 2 nmol/mol, near ambient levels. The micro-gravimetric method was applied to prepare monoterpene (${\alpha}$-pinene, 3-carene, R-(+)-limonene, 1,8-cineole) PSMs at $10{\mu}mol/mol$ and then the PSMs were further diluted to 2 nmol/mol level. To select an optimal cylinder for the development of monoterpene PSMs, three different kinds of cylinders were used for the preparation and were evaluated for uncertainty sources including long-term stability. Results showed that aluminum cylinders with a special internal surface treatment (Experis) had little adsorption loss on the cylinder internal surface and good long-term stability compared to two other cylinder types with no treatment and a special treatment (Aculife). Results from uncertainty estimation suggested that monoterpene PSMs can be prepared in pressured cylinders with a special treatment (Experis) at 2 nmol/mol level with an uncertainty of less than 4%.

Purge and Trap Headspace 법에 의한 솔잎(Pinus densiflora S.)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 by Purge and Trap Headspace)

  • 이재곤;이창국;장희진;곽재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0-265
    • /
    • 2004
  • 솔잎(Pinus densiflora S.)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시간과 온도를 달리하면서 headspace(purge & trap)-GC/MS로 분석하여 총61개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을 관능기별로 분류하여 보면 hydrocarbons 35종, alcohols 16종, carbonyls 4종, ethers 3종, esters 2종, acid 1종으로 나타났다. 솔잎에서 확인된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lpha$-pinene(1.5~15.7%), $\beta$-pinene(0.4~5.4%), $\beta$-myrcene(13.2~15.6%), $\beta$-phellandrene (12.0~16.0%), cis-3-hexenol(4.0~18.3%), $\beta$-caryophyllene (3.6~6.8%)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headspace(purge & trap)법에 의해 솔잎의 휘발성 성분 분석시 최적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실온에서 2시간과 20시간동안 추출한 것과 6$0^{\circ}C$에서 2시간과 20시간동안 각각 추출했을 때 실온에서 2시간 추출시 가장 많은 56개의 성분이 확인되었고, 실온에서 2시간 추출시 가장 적은 45개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시험조건에 따른 휘발성분 분석에서 비점이 낮은monoterpenes화합물들은 추출시 초기에 주로 추출되어 지고 alcohols류와 비점이 높은 sesquiterpenes 화합물들은 추출시간을 길게 했을 때 더 많은 성분이 추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가지 추출조건을 종합해 볼 때 고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6$0^{\circ}C$에서 20시간 추출이 가장 양호하나, 전반적으로 실온에서 20시간 추출이 가장 적합한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조건에 따른 당귀의 정유성분 변화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 최성희;김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3-518
    • /
    • 2000
  • 당귀의 정유물을 Nickerson 동시 중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정유량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저장 60일째의 각 시료의 휘발성 성분을 GC 및 GC-MS법으로 분석, 동정하였다. 당귀의 정유함량을 비교한 결과 저장 10일째는 저온저장$(1{\sim}5^{\circ}C)$과 상온저장한 당귀는 저장직전에 분석한 당귀의 정유량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20일 이후에는 저온저장한 당귀 시료의 정유량이 상온저장한 당귀의 정유량보다 함량이 많았다. 상온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유량의 중가가 완만하다가 60일에는 정유량이 증가하였다. 저온 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 20일째는 정유량의 현저한 중가추세를 보였으나 60일까지는 유지 혹은 완만한 중가추세를 보였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당귀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극성 컬럼에서는 ${\beta}-elem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trans-myrtanyl acetate ester 등이 둥정되었다. 비극성 컬럼에서는 camph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alpha}-eudesmol$ 둥의 terpene alcohol류, butylidene phthalide 등이 동정되었다. 특히 eudesmol류는 상온저장에서 전체 정유량의 45%, 저온저장에서 48%를 차지했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으로 극성과 비극성 컬럼에서 함량이 많은 eudesmol과 terpene alcohol류 등은 독특하고 상쾌한 당귀의 향에 기여하리라고 생각된다. 저장 방법 면에서 상온저장한 시료와 저온 저장한 시료를 비교해보면 당귀의 대부분의 향기성분의 함량은 저온저장한 시료에서 많았다. 그리고 eudesmol은 전체적으로 상온저장 시료와 저온저장 시료 양쪽에서 많았으나 저온저장한 시료 쪽의 함량이 더 많았다.

  • PDF

솔잎 향미유의 제조와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ine Needle Flavor oil)

  • 원종숙;안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8
    • /
    • 2001
  •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생하고 있어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고 예로부터 약용, 향료, 구급 식료품 등으로 사용되어 온 소나무잎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을 분석한 후 솔잎의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utoclaving법을 사용하여 솔잎 및 솔잎분말 향미유를 제조하여 저장중의 색도 변화와 산화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솔잎과 솔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이 각각 54.5와 8.2%, 조지방량은 4.9와 8.1%, 조단백질량은 1.4와 2.9%, 조회분은 0.8과 2.3%, 조섬유는 2.3과 4.9%, 탄수화물은 36.2와 73.7%였다. 2. 옥배유를 기질로 하여 제조한 솔잎 향미유의 산패도는 솔잎과 솔잎분말로 만든 솔잎 향미유들의 유도기간이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유의 유도기간보다 각각 1.1 및 1.2배 증가되어 산패 억제가 인정되었으며 그 효과는 솔잎보다 솔잎분말로 제조된 향미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솔잎향미유의 저장중 색도의 변화는 기기적인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육안적으로는 PNO(pine needle falvor oil)는 저장에 따라 투명해지는 반면 PPNO(flavor oil from powdered pine needle)는 혼탁해짐을 알 수 있었다. 4. 솔잎 분말 향미유에서 33종의 향기 성분들이 분리되었으며 주 된 성분은 $\alpha$ -pinene 20. 1ppm(31.1%), pentane 6.4ppm(9.8 %), tricyclene 4.8ppm(7.5%) camphene 4.4ppm(6.8%), hexanal 4.0ppm(6.2%), propane 3.9ppm(6.0%), $\beta$ -pinene 3.6ppm (5.6%), limonene 2.5ppm(3.9%)등 8종이었으며, 이들 주요성분의 총량은 49.6ppm으로 전체 검출량의 76.8%를 차지하였다. 5. 솔잎 분말 향미유를 송편 제조시 솔잎 향을 주는 참기름의 대체 기름으로 사용가능성의 관능 검사 결과, 기호성이 낮았으나 솔잎 분말 향미유와 참기름을 1 : 1v/v로 혼합한 경우는 기호도가 참기름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또한, 이 혼합유에 대해서 정량적 묘사검사를 실시한 결과 참기름의 고소한 향과 맛, 솔잎 분말 향미유의 솔잎향과 맛 등과 같은 특성들을 비교적 강한 것으로 인지(p<0.01)되어 송편의 맛과 향을 줄 수 있는 참기름대체 향미유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