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Pinen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8초

솔잎(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용매분획별 향기성분의 조성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Pinus densiflora Sieb and Zucc according to extracting solvents and steam distillation method)

  • 강성구;강성훈;최옥자;김영환;김용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3-408
    • /
    • 1996
  • 솔잎의 향기성분을 용매분획과 수증기증류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솔잎을 hexane, ethyl acetate 및 ethanol로 연속적으로 추출하였을 때, 29종의 향기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주요 성분은 hydrocarbon이었다. hexane 추출에 의한 솔잎의 주요 향기성분은 ${\alpha}$-pinene, ${\beta}$-thujene, trans-caryophyllene, ${\beta}$-cubebe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솔잎을 hexane으로 추출한 잔사에 ethyl acetate를 가하여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을 경우 추출된 향기성분은 ${\alpha}$-cubebene, 3,6,9,12,15-petaoxanonadecan-1-ol, camphene, 순으로 높았고, 솔잎을 hexane 및 ethyl cetate로 추출한 잔사에 ethanol을 가하여 분석한 경우는 ${\beta}$-D4-tetrahydropyran, ${\gamma}$-cadinene, 3-ethyl-1,4-hexadiene, ${\alpha}$-cubebene등이 주성분이었다. 솔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44종의 성분이 분리, 확인되었고, hydrocarbon류가 주성분이었다. ${\beta}$-cubebene, trans-caryophyllene, 2-hexenal, T-muurolol, ${\delta}$-cadinene 순이었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방법으로 추출 하였을 때 용매분획 추출시 보다 더 많은 성분이 검색되었고, 용매분획에 따라 추출되는 향기성분의 함량과 조성은 차이가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도 향 기성분의 조성비가 다르게 나타났다.

  • PDF

The Volatile Composition of Kiyomi Peel Oil (Citrus unshiu Marcov×C. sinensis Osbeck) Cultivated in Korea

  • Song, Hee-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4호
    • /
    • pp.292-298
    • /
    • 2008
  • The volatile composition of Kiyomi peel oil cultivated in Korea was studi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peel oil from the Kiyomi fruit was prepared by using a cold-pressing extraction method. Among the 65 components quantified in Kiyomi oil, 25 terpene hydrocarbons and 40 oxygen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peak weight percentages measuring 94.5% and 4.9%, respectively. Limonene was the predominant compound (87.5%), followed by myrcene (2.4%), sabinene (0.9%), $\alpha$-pinene (0.8%), $\beta$-sinensal (0.8%), (Z)-$\beta$-farnesene (0.7%), neryl acetate (0.6%), valencene (0.5%), $\alpha$-farnesene (0.5%), and $\alpha$-sinensal (0.5%).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volatile profile of the Kiyomi oil was the proportion of aldehydes (2.7%), which resulted from the relative abundance of $\alpha$- and $\beta$-sinensal. Another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Kiyomi oil was its relative abundance of $\beta$-sinensal, (Z)-$\beta$-farnesene, neryl acetate, valencene, $\alpha$-sinensal and nootkatone. Valencene and $\alpha$- and $\beta$-sinensal were regarded as the influential components of Korean Kiyomi peel oil.

섬백리향의 정유성분(精油成分) (Studies on the Essential Oil Components of Thymus magnus Nakai)

  • 한대석;김광욱
    • 생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1980
  • By means of prefractionation on a silicagel column and combination of GC-Mass spectrometry, the essential oil constituents of Thymus magnus Nakai were analysed. Ten terpenoid compounds, ${\gamma}-terpinene$, ${\alpha}-pinene$, ${\beta}-caryophyllene$, ${\beta}-bisabolene$, pcymene, 4-isopropyltropolone, thymol, carvacrol, terpinen-4-ol and Borneol, were identified by referring to the spectrums of their authentic specimens.

  • PDF

α-Pinene Attenuates Methamphetamine-Induced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in C57BL/6 Mice

  • Chan Lee;Jung-Hee Jang;Gyu Hwan Par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4호
    • /
    • pp.411-416
    • /
    • 2023
  • Methamphetamine (METH) is a powerful neurotoxic psychostimulant affecting dopamine transporter (DAT) activity and leading to continuous excess extracellular dopamine levels. Despite recent advances in the knowledge on neurob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METH abuse, there are few effective pharmacotherapies to prevent METH abuse leading to brain damage and neuropsychiatric deficits. α-Pinene (APN) is one of the major monoterpenes derived from pine essential oils and has diverse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nociceptive, anti-anxiolyt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APN in a METH abuse mice model. METH (1 mg/kg/day, i.p.) was injected into C57BL/6 mice for four alternative days, and a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CPP) test was performed. The METH-administered group exhibited increased sensitivity to place preferenc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dopamine-related markers such as dopamine 2 receptor (D2R) and tyrosine hydroxylase in the striatum of the mice. Moreover, METH caused apoptotic cell death by induction of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Conversely, APN treatment (3 and 10 mg/kg, i.p.) significantly reduced METH-mediated place preference and restored the levels of D2R and tyrosine hydroxylase in the striatum. APN increased the anti-apoptotic Bcl-2 to pro-apoptotic Bax ratio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protein Iba-1. METH-induced lipid peroxidation was effectively mitigated by APN by up-regulation of antioxidant enzymes such as manganese-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mylcysteine synthase via activation of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N may have protective potential and be considered as a promising therapeutic agent for METH-induced drug addiction and neuronal damage.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꽃의 개화 단계별 향기성분 조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Floral Volatile Components in the Flowering Stages of Robinia pseudoacacia L.)

  • 정제원;이현숙;노광래;김문섭;이안도성;김세현;권형욱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9-146
    • /
    • 2017
  • 식물의 향기성분에 대한 프로파일은 기본적으로 추출법의 효율성에 기반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SPME 방식은 한 개체의 식물로부터 반복적인 시료의 채취가 가능하고, 사용하는 fiber의 종류에 따라 극성과 비극성 성분 모두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넓고 재현성이 강하다.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꽃으로부터 발산되는 휘발성 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관찰한 결과(Aronne et al., 2014; Xie et al., 2006) 아까시나무 꽃의 향기성분은 대다수 terpenoids와 benzenoids 화합물로 밝혀졌다. Pinene, (Z)-${\beta}$-ocimene, linalool, benzaldehyde가 대표적인 아까시나무 꽃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beta}$-myrcene, limonene, farnesene, methyl benzonate, indole, methyl anthranilate, phenylethyl alcohol 등은 아까시나무 꽃 특유의 강한 향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휘발성분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개화의 단계별로 발산하는 향기성분과 그 구성비율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꽃이 생합성 하는 향기성분의 조성은 정적인 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꽃잎의 발달과 함께 동적인 비율로 구성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아까시나무 꽃의 향기성분 생산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 향기성분 발산의 주기성, 꽃의 노화와 수분 후(post-pollination)의 향기 발산, 화색과 향기성분과의 연관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 조성(組成) (Essential Oils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 and Thymus magnus Nakai)

  • 김영회;이종철;최영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34-240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코저 SDE방법(方法)에 의해 정유(精油)를 분리(分離)한 다음 GC-MS 및 GC에서 표준품(標準品)과의 머무름 시간(時間) 비교(比較)에 의해 성분(成分)을 확인(確認)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리향(百里香)의 정유함량(精油含量)은 건물중앙(乾物重量)으로 1.94% 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의 경우 배엽부위(輩葉部位)에서는 1.91%인데 비하여 꽃에서는 0.68%이었다. 2. 3종류(種類)의 시료(試料)에서 38종(種)의 성분(成分)이 확인(確認)되었는데 그중 백리향(百里香)에서 분리(分離)한 정유(精油)에서는 thymol(39.8%), ${\gamma}-terpinene(10.0%)$, ${\rho}cymene(9.2%)$, camphor(5.9%), ${\alpha}-terpinene+borneol(4.5%)$ 및 bornyl acetate(4.0)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에서는 thymol(54.7%), ${\gamma}-terpinene(15.8%)$, ${\rho}cymene(6.7%)$ 및 carvacrol (3.2%)등이 주성분(主成分)이 었다. 3.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을 비교(比較)했을때 ${\alpha}-pinene,\;camphene,\;camphor,\;bornyl\;acetate$${\alpha}-terpineol+borneol$ 등(等)은 백리향(百里善)에 서 많이 검출(檢出)된 반면 ${\gamma}-terpinene$, thymol은 섬백리향(百里香)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섬백리향(百里香)을 부위별(部位別)로 비교(比較)했을 때 thymol, ${\gamma}-terpinene$은 잎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나 f-cymene은 잎보다는 꽃에서 특징적(特徵的) 으로 많이 검출(檢出)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제주산 애플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Jeju Apple Mango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안미란;금영수;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75-783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산 애플망고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추출법으로 SE법, SDE법 및 SPME법을 이용하여 제주산 애플망고 시료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 분석하여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대해 비교하였다. 제주산 망고의 조단백질이 $0.22{\pm}0.01$, 조지방 $0.09{\pm}0.00$, 회분이 $0.27{\pm}0.02%$였으며, 유리당 함량은 sucr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높았고 maltose, lactose, galac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법을 달리하여 SE법, SDE법 및 SPME법에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각각 51종, 59종 및 71종이었으며, 추출된 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각 방법에 따라 11.44%, 15.68% 및 73.54%가 추출되었고 확인된 화합물의 종류 및 추출량에서 SPME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테르펜류와 그 유도체가 44.49~94.57%로 확인되어 망고의 향기성분을 판단하는 중요한 화합물의 조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 관능기별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망고의 주 향기성분인 ${\delta}$-3-carene의 경우 각 추출방법에서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trans-${\beta}$-ocimene, ${\alpha}$-terpinolene, limonene, ${\alpha}$-pinene, furaneol 등은 망고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SPME법으로 추출 시에 가장 높았다.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이용한 녹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Green Tea(Camellia sinensis L. var. Yabukita) by Purge and Trap Headspace Sampler)

  • 이재곤;권영주;장희진;곽재진;김옥찬;최영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0
    • /
    • 1997
  • Purge와 trap headspace sampler를 사용하여 녹차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 확인한 후 성분조성을 동시증류추출장치로 추출된 성분가 비교하였다. Headspace법으로는 88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methyl butanal(3.1%), 1-penten-3-ol(5.48%), 2-penten-1-ol(2.89%), hexanal(5.77%), heptanal(2.24%) 등의 비교적 비점이 낮은 성분들과 2,4-heptadienal(4.28%), linalool(2.27%), nonanal(2.06%), 2,6-dimethyl cyclohexanol(2.57%) 및 $\alpha$-pinene(1.52%), caryophyllene(1.70%) 등의 hydrocarbon 화합물, $\beta$-cyclocitral(2.0%), $\alpha$-ionone(2.62%), $\beta$-ionone(2.98%) 같은 carbonyl 화합물이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으로는 64개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저비점 성분들보다는 benzyl alcohol(3.79%), linalool(9.52%), terpineol(2.16%), geraniol(2.75%), nerolidol(6.50%) 등의 alcohol 성분들과 $\alpha$-ionone(1.77%), $\beta$-ionone(4.80%), geranyl acetone(1.82%) 등의 ketone 화합물, hexanoic acid(1.45%), nonanoic acid(1.11%) 등의 acid 화합물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 PDF

원료 첨가를 달리한 오가피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gapi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 최향숙;민경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25-53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원료 첨가(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를 달리하여 오가피주를 제조하여 영양성분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고 기타 주류의 품질요인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 관능검사를 수행함으로서, 제조한 오가피주의 다양한 품질 평가를 수행하여 민속주로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주정도는 오가피 및 기타의 기능성 소재의 함량을 달리한 4가지 시료에서 각각 14.5-15.3%로 큰 차이를 볼 수는 없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오가피주가 일반 약주 보다 훨씬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며 반면 오가피 및 기타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시료에서 citric acid와 tartaric acid는 오히려 약간 양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졌다. 오가피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histidine이 가장 많았으며, 총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당 함량은 시료 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료 A 및 B에서는 총 49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시료 C와 D에서는 각각 48 및 31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무첨가군인 시료 D의 경우 alcohol류의 함량이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보여졌으며 ethanol의 함량이 79.59%로, iso-butyl alcohol이 0.35%로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보여졌다. 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이 함유된 시료 A, B, 및 C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테르펜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이는 주류 고유의 향기성분 외에 첨가된 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에 의해 더욱 다양한 향기성분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는데, 특히 ${\alpha}-copaene$의 함량이 시료 D에서보다 A, B 및 C에서 2배 이상 높게 다량 확인되었다. GC-O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관능적으로 동정한 결과 기능성 소재의 배합 비율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관능적 특성은 상당히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가피 함량이 높은 술일수록 명도가 높아 밝고 황색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고, 오가피를 0.1%첨가한 오가피주가 좋은 맛과 감칠맛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Cones of Pinus koraiensis

  • Lee, Jeong-Ho;Yang, Hye-Young;Lee, Hong-Sub;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497-502
    • /
    • 2008
  • The essential oil from the cones of Pinus koraiensis was prepared after removing the seed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Hydrodistillation of the P. koraiensis cones yielded 1.07% (v/w) of essential oil, which was almost three times the amount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needles of the same plant. Moreov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oil against the growth of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fungi were evaluated using the agar disc diffusion method and broth microdilution method. Eighty-seven components, comprising about 96.8% of the total oil, were identified. The most abundant oil components were limonene (27.90%), ${\alpha}$-pinene (23.89%), ${\beta}$-pinene (12.02%), 3-carene(4.95%), ${\beta}$-myrcene (4.53%), isolongifolene (3.35%), (-)-bornyl acetate (2.02%), caryophyllene (1.71%), and camphene (1.54%). The essential oil was confirmed to have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ies, especially against pathogenic fungal strains such as Candida glabrata YFCC 062 and Cryptococcus neoformans B 42419.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essential oil from the cones of Pinus koraiensi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nontoxic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disinfec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