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Pinen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2초

금귤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Kumquat(Fortunella margarita))

  • 곽재진;김도연;이근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23-427
    • /
    • 1992
  • 감귤의 향기성분을 분석코져 SDE법에 의해 휘발성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10개 성분이며 이 중 limonene이 전체 휘발성성분의 96.5%를 차지하였고 분리된 휘발성성분의 향기특성 역시 limonene에 의해 발현되는 향기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외 ${\beta}-pinene$(1.93%), ${\alpha}-terpineol$(0.42%) 등이 확인되었다. limonene을 제외한 미량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n-pentane과 diethyl ether 100 ml를 각각 용출시켜 휘발성 정유성분을 세분하였다. 이중 diethyl ether 분획에서 alcohol류 9종, terpene 및 terpene alcohol류 22종, aldehyde 및 ketone류 7종, ester류 7종과 기타 1종의 46개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중 양적인 면(peak area%)에서 ${\alpha}-terpineol$(31.98%), ${\beta}-terpineol$(7.37%), geranyl acetate(9.69%) 및 p-menthadien-9-ol(4.12%) 등이 diethyl ether 분획의 주류를 이루었다.

  • PDF

Acaricidal Abili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orsythia suspense Fruit Oil against Storage and Pyroglyphid Mites

  • Lee, Hwa-wo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05-108
    • /
    • 2015
  • This research is aimed at evaluating the potential abilities of the natural acaricide of F. suspense oil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and Dermatophagoides spp. Based on the $LD_{50}$ values, in contact bioassay, F. suspense oil (8.19, 3.28, and $4.35{\mu}g/cm^2$) showed acaricidal effects against T. putrescentiae,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Fumigant toxicities of F. suspense oil showed similar patterns as those observed with contact toxicities. GC/MS analysis showed the major components of F. suspense oil to be ${\beta}$-pinene (45.88%), myrtenol (13.86%), (+)-${\alpha}$-pinene (13.09%), (-)-trans-pinocarveol (7.34%), sabinene (6.64%) and pinocarvone (4.13%).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 suspense oil has potential as a natural acaricide.

제비쑥(Artemisia japonica) 잎에서의 Monoterpenes의 계절적 변이 (Seasonal Variation of Monoterpenes in Artemisia Japonica Leaf)

  • 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3호
    • /
    • pp.263-268
    • /
    • 1998
  •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monoterpenes in the leaves of Artemisia japonica were determined. And seasonal variation in monoterpenes of A. japonica were investigated. Samples were taken from five sites at Mt. Muhak. Monoterpenes in the leave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leaf monoterpene fractions were dominated by R.T. 5.026, ${\alpha}-thujene$, sabinene, ${\beta}-pinene$, cyclohexane (R.T.=12.859) and R.T. 23.149. There were marked seasonal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leaf monoterpenes. There were many kinds of monoterpenes in leaf of spring time, however most of monoterpenes concentration was small.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t many kinds of monoterpenes in late time, but monoterpene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 PDF

Likens-Nickerson 장치로 추출한 솔가지의 휘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extracted from Twigs of Pinus densiflora with Likens-Nickerson Apparatus)

  • 이양봉;이미정;양지영;권혜순;윤정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8-573
    • /
    • 1998
  • Volatile compounds in Pinus densiflora were extracted with Likens-Nickerson apparatus for three hours, and were separat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GC) and mass selective detector(MSD). Twenty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dentified by GC-MSD and twelve compounds were confirmed by matching retention times of the pure comounds. The main valatile compounds were terpenoids such as limonene(36.2%), $\beta$-pinene(16.9%), $\beta$-myrcene(12.6%) and $\alpha$-pinene(10.9%), and the total amount of these main compounds was 367.9$\mu\textrm{g}$ per 1g of pine twigs.

  • PDF

천연정유 Cajuput (Melaleuca cajeputi) 유래 Benzaldehyde의 살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Benzaldehyde in Cajuput (Melaleuca cajeputi) Essential Oil)

  • 이사은;윤미선;연보람;최정섭;조남규;황기환;왕해영;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1-1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하여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 화합물을 발굴하는데 있었다. Amyris(Amyris balsamifera), cajuput (Melaleuca cajeputi), geranium(Pelargonium graveolens), lavender(Lavendula spp.), mandarin(Citrus reticulata), pine(Pinus spp.) 및 rosemary(Rosmarius officinale) 정유에 대한 살초력을 유채(Brassica napus)를 대상으로 in vitro에서 수행한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력이 가장 높았다($GR_{50}$ 값, $425{\mu}g\;g^{-1}$). Cajuput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주된 생리활성물질들은 eucalyptol 37,2%, ${\alpha}$-terpineol 11.6%, benzaldehyde 5.2%, linalool 4.1%, ${\alpha}$-pinene 2.5%, ${\beta}$-pinene 2.4%이었으며, 이들 생리활성물질의 살초력($GR_{50}$ 값)은 각각 2,731, 500, 50, 372, 4,363, $4,671{\mu}g\;g^{-1}$이었다. Benzaldehyde의 살초력은 기 보고된 eucalyptol (1,8-cineole)과 ${\alpha}$-pinene보다 높았으므로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Cajuput 정유와 이에 함유되어 있는 가장 높은 살초력을 보였던 benzaldehyde를 80kg $ha^{-1}$ 토양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어떠한 살초효과도 관찰할 수 없었으나, 경엽처리 하였을 때에는 화본과 잡초인 수수, 돌피, 바랭이는 100% 고사되었다. 그러나 살초효과는 20kg $ha^{-1}$ 이하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cajuput 정유와 benzaldehyde의 높은 휘발성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의 결과 cajuput 정유의 살초효과는 높은 약량에서만 나타났으므로 약량저감을 위한 처리시기 재설정과 살초력을 높일 수 있는 제형개발이 요구된다.

당근의 재배지역별 부위별 휘발성 Terpenoids 함량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Terpenoid Content from Carrot Cultured Area and Carrot Portions)

  • 박신;박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3-318
    • /
    • 1998
  • 당근의 재배지역별 부위별 휘발성 terpenoids의 함량을 direct headspace sampling 방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당근 심부(xylem)와 표피부(phloem)의 terpenoids 함량을 비교한 결과, ${\alpha}-pinene$의 경우 심부에 1.06ppm 표피에 2.73ppm, ${\beta}-pinene$은 각각 0.45ppm, 1.71ppm, ${\beta}-myrcene$은 0.85ppm, 1.84ppm, limonene은 0.48ppm, 1.34ppm, ${\gamma}-terpinene$은 1.60ppm, 3.01ppm, terpinolene은 2.71ppm, 21.15ppm, total terpenoids는 7.15ppm, 31.76ppm으로 모든 휘발성 terpenoids가 당근 심부에 비해 표피부에 다량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당근을 윗부위(crown), 중간부위(midsection), 말단부위(tip)로 3등분한 후 각각에서 휘발성 terpenoids 성분을 분석한 결과, ${\alpha}-pinene,\;{\beta}-pinene,\;{\beta}-myrcene,\;{\gamma}-terpinene$의 경우 말단부위에 비해 윗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erpinolene과 total terpenoids의 경우 말단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근 재배 지역별 terpenoids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제주에서 재배된 당근이 양산 및 해남에서 재배된 당근에 비해 다량의 휘발성 terpenoids를 함유하고 있었는데, total terpenoids의 경우 품종에 따라 양산에 비해 $1.6{\sim}2.3$배, 해남에 비해 $1.5{\sim}2.4$배나 높았다. 제주에서 재배된 당근의 휘발성 terpenoids가 높은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제주, 양산, 해남에서 당근이 재배된 토양을 채취하여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3개 지역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기탄소 함량, 전질소 함량, 양이온 치환용량, 치환성 양이온 등에서 제주토양이 양산토양에 비해 $2.4{\sim}3.0$배, 해남토양에 비해 $3.9{\sim}7.1$배나 높았다. 토양의 물리성을 조사한 결과, 제주의 당근 재배토양은 미사가 많은 양토(loam)였으며, 양산의 당근 재배토양은 모래가 많은 사양토(sandy loam), 해남의 당근 재배토양은 점토가 많은 식양토(clay loam)로 밝혀졌다.

  • PDF

국내산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제초활성 (Herb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Pine, Nut Pine, Larch and Khingan Fir in Korea)

  • 윤미선;조해미;연보람;최정섭;김성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30-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제초활성을 이해하는데 있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의 기내 종자발아 제초활성 검정 결과, 유채에 대한 $GR_{50}$ 값은 각각 0, 4,766, 1,865, $5,934{\mu}g\;ml^{-1}$으로 소나무를 제외하고는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조건에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 정유 10%를 5종의 화본과 잡초와 5종의 광엽잡초에 처리한 결과 도꼬마리를 제외하고는 24시간 내에 완전 고사되었으며, 처리 식물의 부위는 타는 듯한 화염상 증상을 나타내었고, 처리 3일 이후에는 신초가 재생하여 4종 식물 정유는 속효성, 비선택성, 비이행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분비나무의 정유를 GC-MS로 분석한 결과 각각 16종, 25종, 25종, 16종의 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정유에는 탄화수소,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가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정유 4종의 주 화합물은 3-carene, bornyl acetate, camphene, limonen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이었다.

조리방법에 따른 허브의 향 성분 변화 (Flavor Changes of Her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 천덕상;이현자;강근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8-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생 허브 4종류, 즉 로즈마리, 바질, 애플민트 및 마조람과 이들을 튀기고, 끓이고, 굽고, 마이크로웨이브 등의 가열 방법으로 조리하였을 때의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즈마리에서 18가지의 향기 성분을 분리하였는데 이 중 ${\alpha}$-pinene(소나무향) 함량이 37.4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상쾌한 단맛의 1,8-cineol이 23.34% 였다. 바질에서는 1,8-cineol의 함량(32.9%)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꽃향기를 내는 3-hexen-1-ol이 20.6%를 차지하였다. 조리 방법에 따라서는 끓였을 때 가장 향기 성분의 소실이 적었고 튀기는 조리 방법에서는 약 10% 내외 정도의 향만 잔존하였다. 애플민트에서는 trans-${\beta}-ocimene(16.66%),\;{\beta}-pinene(12.99%)$ 등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다른 허브에 비해 가열에 의한 손실량이 가장 많았는데 튀길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소실되었다. 그리고 총 21가지 향이 분리된 마조람에서는 sabinene 함량이 18.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gamma}-terpenene(15.61%)$ 이었으며 가열 조건에 따라서는 다른 허브에 비해 향의 잔존량이 가장 많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볼 때 시료 허브 중 로즈마리와 마조람이 다른 시료에 비해 가열 조리시 열에 더 안정적이며, 가열 조리 방법에 있어서는 허브를 굽거나 끓일 때 향의 잔존률이 더 높았고 튀겼을 때는 거의 대부분의 향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i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 이장원;천상욱;한승관;류정;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3-209
    • /
    • 2007
  • 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cdot}$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1,4-terpineol, and ${\beta}$-terpinene 등 이었다.

식물정유의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에 대한 살선충활성 및 방향성성분 분석 (Chemical Compositions and Nematicid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on Meloidogyne hapla (Nematoda: Tylenchida)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전주현;고형래;김세종;이재국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0-34
    • /
    • 2016
  • 본 연구는 뿌리혹선충의 친환경적 방제를 위하여 9종의 식물정유를 선발하여 당근뿌리혹선충 2령기 유충과 알에 대한 살선충 및 부화억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당근뿌리혹선충의 2령기 유충에 대해 $125{\mu}g/mL$로 검정한 결과, Alpinia galanga 정유가 100% 살선충활성을 나타냈고, Carum carbi (22.3%), Eugenia caryophyllata (9.4%), Cinnamonum zeylanicum (7.2%), Mentha pulegium (2.4%) 및 Foeniculum vulgare (2.1%)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A. galanga 정유를 이용하여 당근뿌리혹선충 알의 부화억제 활성을 검정한 결과, $500{\mu}g/mL$ 농도로 처리 후 7, 14, 21 일째까지 낮은 부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우수한 활성을 보인 A. galanga 정유의 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methyl cinnamate 함유율이 가장 높았으며, 1,8-cineole, ${\beta}$-pinene, ${\alpha}$-pinene, p-cymene이 주요 방향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발한 A. galanga 정유가 당근뿌리혹선충의 친환경적 방제수단으로 활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