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H-\

검색결과 66,668건 처리시간 0.069초

양이온교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라이소자임의 모멘트 분석 (Moment Analysis (MA) of Lysozyme in Cation Exchang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고관영;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87-493
    • /
    • 2016
  • 양이온교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라이소자임을 분석하고, 실험결과인 크로마토그램을 통해 모멘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용리 인산완충용액은 1.0, 0.75, 0.5 M의 소금을 포함하였다. 실험변수는 유량, 용리 완충용액중 소금 농도, 시료의 농도로 하였다. General rate (GR) model을 도입하여 1차와 2차 모멘트를 해석하였다. 1차 모멘트 해석에서 평형상수 K를 구할 수 있으며, 이는 $L/u_0$ vs. $({\mu}_1-t_0)/(1-{\varepsilon}_e)(1-{\varepsilon}_i)$]를 도식화했을 때의 기울기이다. 2차 모멘트 해석에서 입자내 확산계수는 이론단수 실험자료에서 계산하였다. 모멘트 분석결과를 통해 여러 물질전달 현상이 이론단 상당높이(HETP)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van Deemter plot을 작성하고, 총괄 이론단 상당높이($H_{total}$)에 기여하는 $H_{ax}$, $H_f$, 그리고 $H_d$를 조사하였다. 그 중 입자내 확산계수를 나타내는 $H_d$가 가장 지배적이었고, 외부 물질전달 계수를 나타내는 $H_f$의 영향이 가장 미미했다.

PET-CT 검사에서 방사선 종사자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of Decrease Exposure Dose for the Radiotechnologist in PET/CT)

  • 김빛나;조석원;이주영;유광열;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1호
    • /
    • pp.23-30
    • /
    • 2015
  • 양전자 방출핵종은 511 keV의 감마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기존 140 keV의 99mTc에 비해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의 증가로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환자에게로부터 일정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를 확인하고 차폐를 이용하여 외부선량률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환자 주변의 외부선량 분포에 대한 영 향을 분석하여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1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7.7{\pm}6.6$ 세였다. 환자의 키는 평균 $165.5{\pm}3.8cm$, 몸 무게 평균은 $65.9{\pm}1.4kg$으로 비슷한 몸무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 가슴, 복부, 무릎, 발끝 쪽의 위치에서 10 cm, 50 cm, 100 cm, 150 cm, 200 cm 위치에서 측정하였고 측정 후에 즉시 이동형 방사선 차폐체을 설치한 후 머리와 가슴, 복부 부분에서 100 cm, 150 cm, 200 cm 거리에서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와 차폐 전, 후의 투과율을 구하였다. 평균 10 cm 거리에서는 머리 부분이 $105.40{\mu}Sv/h$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 부분에서 $15.85{\mu}Sv/h$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 cm 거리에서는 머리, 가슴, 복부 부분에서 비슷한 선량률이 나타났다. 머리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9.56{\mu}Sv/h$, 150 cm에서 $5.23{\mu}Sv/h$, 200 cm에서 $3.40{\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24{\mu}Sv/h$, $1.67{\mu}Sv/h$, $1.27{\mu}Sv/h$로 측정되었다. 가슴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8.54{\mu}Sv/h$, 150 cm에서 $4.90{\mu}Sv/h$, 200 cm에서 $3.44{\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27{\mu}Sv/h$, $1.34{\mu}Sv/h$, $1.13{\mu}Sv/h$로 측정되었다. 복부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9.83{\mu}Sv/h$, 150 cm에서 $5.15{\mu}Sv/h$, 200 cm에서 $3.18{\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60{\mu}Sv/h$, $1.75{\mu}Sv/h$, $1.23{\mu}Sv/h$로 측정되었다. 투과율은 거리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량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폐를 하였을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1 / 4 정도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사를 진행하는 근무자는 환자와의 거리를 멀리 할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적절한 차폐를 한다면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mLTC-1 세포에 hCG 처리에 의해 유도된 소포체 스트레스가 IRE1/XBP1 경로의 활성화 유발 (hCG-induce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Leads to Activation of the IRE1/XBP1 Pathway in Mouse Leydig Tumor Cells (mLTC-1))

  • 박선지;김태신;이동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39-10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 레이디히 세포인 mLTC-1 세포에 사람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인 hCG를 처리하여 유도되는 소포체 스트레스가 IRE1/XBP1 경로를 통하는지 분석하는 것 이다. 이전 연구에서 hCG처리에 의해 레이디히 세포는 소포체 스트레스 매개의 세포자멸사가 유도될 뿐만 아니라 ATF6경로를 조절함으로써 UPR이 성호르몬 합성효소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UPR 경로는 또한 IRE1/XBP1 경로를 통하여 조절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레이디히 세포에서 hCG에 의한 소포체 스트레스에 의해 IRE1/XBP1 경로의 활성화가 유도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mLTC-1세포에서 hCG 처리 후 IRE1/XBP1경로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산화된 IRE1 단백질 확인하기 위한 western blot, XBP1 mRNA splicing 확인하기 위한 RT-PCR을 수행하였다. 또한 우리는 IRE의 활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소포체 스트레스-활성 표지자(ERAI) construct를 이용하고 이를 형광현미경과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hCG 처리에 의해 인산화된 IRE1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F-XBP1-venus/F-$XBP1{\Delta}DBD$-venus가 도입된 mLTC-1 세포에서, hCG 처리에 의해 녹색 형광을 띄는 세포들이 유도되었고 각각 핵/세포질에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hCG 처리 후에 XBP1 mRNA의 splicing 또한 상당히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을 통하여 종합해 볼 때 레이디히 세포에서 hCG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소포체 스트레스가 IRE1/XBP1 경로의 활성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dentification of Reassortant Pandemic H1N1 Influenza Virus in Korean Pigs

  • Han, Jae-Yeon;Park, Sung-Jun;Kim, Hye-Kwon;Rho, Se-Mi;Nguyen, Giap Van;Song, Dae-Sub;Kang, Bo-Kyu;Moon, Hyung-Jun;Yeom, Min-Joo;Park, Bong-K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5호
    • /
    • pp.699-707
    • /
    • 2012
  • Since the 2009 pandemic human H1N1 influenza A virus emerged in April 2009, novel reassortant strain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out the world. This paper describes the detection and isolation of reassortant strains associated with human pandemic influenza H1N1 and swine influenza H1N2 (SIV) viruses in swine populations in South Korea. Two influenza H1N2 reassortants were detected, and subtyped by PCR. The strains were isolated using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s, and genetically characterized by phylogenetic analysis for genetic diversity. They consisted of human, avian, and swine virus genes that were originated from the 2009 pandemic H1N1 virus and a neuraminidase (NA) gene from H1N2 SIV previously isolated in North America. This identification of reassortment events in swine farms raises concern that reassortant strains may continuously circulate within swine populations, calling for the further study and surveillance of pandemic H1N1 among swine.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채내에서 Flupyrazofos의 대사 (In vivo Metabolism of Flupyrazofos into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Yponomeutidae) and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 이상계;이회선;황창연;한만종;박형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24-229
    • /
    • 2002
  •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에 대한 flupyrazofos의 작용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화학연구소에서 분양을 받아 실내에서 19세대 누대 사육한 배추좀나방과 포장에서 채집하여 실내에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25세대 누대 사육한 파밤나방을 대상으로 $^{14}C$-flupyrazofos를 처리하여 두 종간의 생체내 대사물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lupyrazofos의 생체내 대사물은 flupyrazofos-oxon, flupyrazol, unknown으로 분리되었으며, 대사량은 약제처리 1시간 후와 4시간 후에 배추좀나방에서 flupyrazofos가 80.3%와 53.5%, flupyrazofos-oxon이 0.5%와 5.3%, flupyrazol이 1.1%와 1.3%, unknown이 4.5%와 11.6%, 전개되지 않은 물질이 5.3%와 18.5%이었고, 파밤나방에서 flupyrazofos가 48.0%와 23.8%, flupyrazofos-oxon이 1.3%와 3.2%, flupyrazol이 4.8%와 16.0%, unknown이 11.0%와 26.5%, 전개되지 않은 물질이 13.7%와 23.1%이었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flupyrazofos-oxon이 배추좀나방에서는 크게 증가한 반면 파밤나방에서는 적게 증가하였고, 배추좀나방에서는 flupyrazol, unknown, 전개되지 않은 물질 등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파밤나방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파밤나방에서는 일반적으로 곤충에서 생화학적 저항성 기구로 잘 알려진 가수분해효소의 일종인 esterase의 활성이 증가하여 alkyl 결합을 끊어 무독화 시키거나 flupyrazofos와의 결합체 역할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Paddle-wheel유형의 2차 쌓음 단위 $Zn_2(CO_2R)_4$에 기초한 2차원 아연 배위 고분자: [Zn(ATP)(DMF)] $(ATP=2-aminoterephthalate,\;H_2N-C_6H_3-1,4-(COO)_2;\;DMF\;=\;N,\;N-dimethylformamide)$ (Two-dimensional Zinc Coordination Polymer Based Paddle-Wheel Type Secondary Building Units of $Zn_2(CO_2R)_4$: [Zn(ATP)(DMF)] $(ATP=2-aminoterephthalate,\;H_2N-C_6H_3-1,4-(COO)_2;\;DMF\;=\;N,\;N-dimethylformamide)$)

  • 민동원;이희근;이순원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8-82
    • /
    • 2004
  • 벤젠 존재 하에서, DMF와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서 zinc(II) nitrate $(Zn(NO_3)_2\;{\cdot}\;6H_2O)$$ATP(2-aminoterephthalate,\;H_2N-C_6H_3-1,4-(COO)_2)$의 용매열 반응으로 2차원 배위 고분자 [Zn(ATP) (DMF)] (1)이 얻어졌다 X-ray구조 결정 결과, 2개의 아연 금속과 4개의 ATP 리간드가 paddle-wheel유형의 2차 쌓음 단위들을 형성하고, 이것들은 ATP 리간드에 의해서 연결되어 2차원 4각 망을 이룬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연 금속을 기준으로 각 4각형의 크기는 약$11.1\times11.1\;{\AA}$효이다. 고분자 1을 양질의 결정 상태로 얻기 위해서는 벤젠이 요구되었다.

First-Principles Investigation on the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of Monolayer 1H Pb-Dichalcogenides

  • Nguyen Hoang Linh;Nguyen Minh Son;Tran The Quang;Nguyen Van Hoi;Vuong Thanh;Do Van Truo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89-194
    • /
    • 2023
  • This study uses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ffect of strain on the electronic properties of the 2D material 1H-PbX2 (X: S, Se). Firstly, the stability of the 1H Pb-dichalcogenide structures was evaluated using Born's criteria. The obtained results show that the 1H-PbS2 material possesses the greatest ideal strength of 3.48 N/m, with 3.68 N/m for 1H-PbSe2 in biaxial strain. In addition, 1H-PbS2 and 1H-PbSe2 are direct semiconductors at equilibrium with band gaps of 2.30 eV and 1.90 eV, respectively. The band gap was investigated and remained almost unchanged under the strain εxx but altered significantly at strains εyy and εbia. At the fracture strain in the biaxial direction (19 %), the band gap of 1H-PbS2 decreases about 60 %, and that of 1H-PbSe2 decreases about 50 %. 1H-PbS2 and 1H-PbSe2 can convert from direct to indirect semiconductor under the strain εyy. Our findings reveal that the two structures have significant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nanoelectronic devices.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Herposiphonia (Rhodomelaceae, Rhodophyta) from Korea, with the description of three new species

  • Koh, Young Ho;Kim, Myung Sook
    • ALGAE
    • /
    • 제33권1호
    • /
    • pp.69-84
    • /
    • 2018
  • We examined the species diversity of Herposiphonia on Korean coasts, based on a combination of morphology and molecular analyses of the mitochondrial COI-5P DNA barcode marker and plastid rbcL gene. We report the presence of eight species including three novel species: H. donghaensis sp. nov., H. jejuinsula sp. nov., H. sparsa sp. nov., H. caespitosa, H. fissidentoides, H. insidiosa, H. parca, and H. subdisticha. Specimens were separated into eight clades in both the COI-5P and rbcL gene analyses, with 1.3-19.6 and 6.6-15% interspecific sequence divergence, respectively. These eight species are also distinguishable by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branching pattern (d/i pattern in H. donghaensis sp. nov. and H. sparsa sp. nov.; d/d/d/i pattern in others), shape of determinate branch (ligulate in H. fissidentoides; terete in others), number of vegetative trichoblasts (1-2 in H. insidiosa and H. sparsa sp. nov.; 3-4 in H. caespitosa; absent in others), and number of segments and pericentral cells in determinate branches. About three novel species revealed by our analyses, H. donghaensis sp. nov. is newly discovered, and H. jejuinsula sp. nov. and H. sparsa sp. nov. were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as H. nuda and H. secunda, respectively. Our results show that DNA barcoding and rbcL analyses are useful for delimiting species boundaries and discovering cryptic species diversity in the genus Herposiphonia.

H2AX의 BRCA1 NLS domain과 BARD1 BRCT domain 각각과의 in vitro 상호 결합 (H2AX Directly Interacts with BRCA1 and BARD1 via its NLS and BRCT Domain Respectively in vitro)

  • 배승희;이선미;김수미;최태부;김차순;성기문;진영우;안성관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403-40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H2AX의 생리학적인 기능 및 분자세포 생물학적 기전 해석에 대한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H2AX 관련 단백질들을 literature review 및 생물정보학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결합 단백질체를 40개를 예측하곤 이들 가운데 상호작용 가능성이 높은 BRCA1와 BARD1 단백질을 선별하여 in vitro 결합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다. 이들 두 가지의 유전자를 발굴하여,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두 가지 단백질을 발현 및 정제하였으며, 단백질들의 자체적인 구조에 의한 결합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in vitro binding assay법을 실시하였다. 단백질의 구조적 안정과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하는 detergent만이 포함된 상태에서, 구조학적 및 물리학적 상호 결합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BRCA1과 BARD1은 모두 H2AX에 결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단백질에 대해 H2AX와의 최적 결합 부위를 알아내기 위해 각 유전자의 domain을 생물정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RING domain, NES, NLS 및 BRCT domain에 해당하는 유전자 부분을 새로 클로닝하여, 다시 in vitro 결합실험 및 실험결과에 대한 literature review를 통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H2AX는 BRCA1의 NLS, BARD1의 BRCT domain 부분과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2AX에 대한 BRCA1과 BARD1과의 결합은 DNA repair에 있어 BRCA1의 NLS와 BARD1의 BRCT domain을 통해 H2AX foci의 관련 세포 신호전달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전체적으로 genomic stability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농후할 것으로 사료된다.

EBP1 regulates Suv39H1 stability via the ubiquitin-proteasome system in neural development

  • Kim, Byeong-Seong;Ko, Hyo Rim;Hwang, Inwoo;Cho, Sung-Woo;Ahn, Jee-Yin
    • BMB Reports
    • /
    • 제54권8호
    • /
    • pp.413-418
    • /
    • 2021
  • ErbB3-binding protein 1 (EBP1)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associated with neural development. Loss of Ebp1 leads to upregulation of the gene silencing unit suppressor of variegation 3-9 homolog 1 (Suv39H1)/DNA (cytosine 5)-methyltransferase (DNMT1). EBP1 directly binds to the promoter region of DNMT1, repressing DNA methylation, and hence, promoting neural development. In the current study, we showed that EBP1 suppresses histone methyltransferase activity of Suv39H1 by promoting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dependent degradation of Suv39H1. In addition, we showed that EBP1 directly interacts with Suv39H1, and this interaction is required for recruiting the E3 ligase MDM2 for Suv39H1 degradation. Thus, our findings suggest that EBP1 regulates UPS-dependent degradation of Suv39H1 to govern proper heterochromatin assembly during neur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