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4}C$ and $^{15}N$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31초

수분부족 및 식물호르몬, ABA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되는 배추의 C-DH cDNA에 대한 분자적 특성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Chinese cabbage cDNA, C-DH, Predominantly Induced by Water-Deficit Stress and Plant Hormone, ABA)

  • 정나은;이균오;홍창휘;정배교;박정동;이상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0-246
    • /
    • 1998
  • A cDNA encoding desiccation-related protein was isolated from a flower bud cDNA library of Chinese cabbage (C-DH) and its nucleotide sequence was characterized. It contains 679 bp nucleotides with 501 bp open reading frame.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tative protein showed the highest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79 % identity) to dehydrin protein in Gossypium hirsutum. Also, the C-DH shares 48-52%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with the other typical dehydrin proteins in plant cells. Whe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ir proteins were aligned, several peptide motifs were well conserved, of which function has to be solved. Particularly the C-DH contains 15 additional amino acids at its N-terminus. Genomic Southern blot analysis using the coding region of C-DH showed that the C-DH consists of a single copy gene in Chinese cabbage genome. The C-DH mRNA, whose transcript size is 0.7 kb, was expressed with a tissue-specific manner. It was highly expressed in seed, flower buds and low expression as detected in root, stem or leaf tissues of Chinese cabbage. And the transcript level of C-DH was significantly induced by the treatment of plant hormone, abscisic acid and water-deficit conditions.

  • PDF

동일한 상시 호흡량의 $N_2-O_2$ 및 Heliox 투여 시 가스교환지표의 비교 (Comparison of Gas Exchange Parameters between Same Volume of $N_2-O_2$ and Heliox Inhalation)

  • 손장원;임채만;고윤석;이종덕;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1호
    • /
    • pp.169-175
    • /
    • 1998
  • 연구배경: Heliox는 기도 저항이 증가된 환자에서 분시환기량의 증가와 호흡일의 감소로 인해 $PaCO_2$가 감소함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과 이외에도 최고 호기 유량비의 증가와 가스 분포의 호전에 의한 사강 호흡률의 감소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저자등은 공기($N_2-O_2$)호흡 시와 통일한 분시환기량과 호흡일의 조건에서 heliox투여로 $PaCO_2$가 감소하는지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호흡 부전으로 기계호흡 중인 환자 중 기관지 천식이나 상기도 협착이 있으며 근 이완제 투여로 자신의 호흡일이 없는 8명(남 : 여 =5 : 3, 평균 6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각 15분씩 기저 $N_2-O_2$투여, heliox투여 및 washout순으로 진행하였다. Heliox는 Servo 900C기종의 저압입구(low pressure inlet)를 통해 공급하였다. 호흡 역학 지표는 CP-100 monitor(Bicore, USA)로 측정하였고 heliox 투여시 동일한 일호흡량 유지을 위해 $N_2-O_2$에 대한 상대유량 비로 상시 호흡량을 보정하였다. 사강 호흡률용 Bohr의 공식으로 구하였다. 결 과: 일호흡량, 분시환기량, 최고 흡기압 및 최고 흡기 유량 비는 $N_2-O_2$와 heliox투여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최고 호기 유량 비는 heliox투여 군에서 ($0.52{\pm}0.19$L/sec) $N_2-O_2$투여 군($0.44{\pm}0.13$L/sec)보다 높았다 (p=0.024). $PaCO_2$는 heliox투여 군 ($56.1{\pm}14.1$mmHg)이 $N_2-O_2$투여 군 ($60.5{\pm}15.9$mmHg) 보다 낮았고 (p=0.027), 사강 호흡률은 heliox투여군 ($71{\pm}10%$)이 $N_2-O_2$ 투여 군 ($73{\pm}9%$)보다 낮았다. 결 론: 분시환기량과 호흡일이 동일한 조건에서도 heliox투여 시 $N_2-O_2$투여에 비해 $PaCO_2$의 감소가 관찰되며 이는 사강 호흡률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육돈에 미생물제제 급여시 분뇨 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eeding Feed Additives Containing Microorganisms on Characteristics of Excreta in Finishing Pigs)

  • 곽정훈;최동윤;박치호;김재환;정광화;양창범;유용희;천현식;라창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3-160
    • /
    • 2007
  • 본시험은 비육돈사료에 미생물제제를 사료에 미생물제제 A 및 B 0.1 미생물제제 C를 0.2% 혼합 급여할 경우 사료섭취량 및 돈분의 오염물질 배설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4처리$\times$반복당 5두로서 총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육돈의 일일 평균사료섭취량은 대조구 3.15 kg/일.두였고 미생물A, B, C구는 각각 3.14kg/일/두, 3.31, 3.42로 미생물제제 C구에서 일일 사료섭취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2. 일일평균 음수량은 사료섭취량이 높았던 미생물 C구에서 3.95kg/일/두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p<0.05). 3. 미생물제제 처리구별로 분뇨배설량은 사료섭취량이 높았던 미생물제제 C구에서 가장 많이 배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5), 돈뇨의 배설량도 미생물제제 C구에서 2.23kg/일/두에서 높았다(p<0.05). 4. 돈분뇨의 수분 함량은 및 비료성분인 T-N, $P_{2}O_{5}$, $K_{2}O$ 성분도 처리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5. 돈분뇨의 평균 BOD 농도는 돈분의 경우 미생물제제 B, C제제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5). 그리고 돈뇨의 BOD의 경우에는 대조구에서 $8,657.5mg/{\ell}$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6. COD 농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돈뇨의 경우에는 미생물제제 A급여구에서 평균 $9,545mg/{\ell}$로 가장 높았다(p<0.05). 7. SS 농도는 미생물제제 B급여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p<0.05), 돈분뇨중의 T-N 농도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리고 T-P 농도의 경우에는 미생물제제 C급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비육돈에 미생물제제 혼합급여시 사료섭취량과 음수량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비료성분 배설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BOD 등 오염물질농도의 경우에는 미생물제제 A급여구에서 가장 낮게 조사되어 비육돈사료에 미생물제제 급여시 오염물질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의 산란생태,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발달 (Embryonic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Hemitripterus villosus)

  • 박애전;한경호;이성훈;김희진;김승용;임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4-41
    • /
    • 2014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spawning ecology and early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Hemitripterus villosus. The natural spawning ground consisted of bedrock and pebbles was the intertidal coast at Taean (Chungnam) and its depth was about 5~10 m. Spawning period was mainly from the end of October to Decemb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6.0{\sim}15.8^{\circ}C$ and mean 32.0‰,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 of the body shape and color between female and male of Hemitripterus villosus, however its reproductive organs showed clear differences. The male had tube shaped genital papilla, which was connected with testis, and the female had seminal recepacle, which was the lower part of oviduct connected with ovary. Genital papilla of male came out of its body at spawning period and then male copulated. After copulation, female stored the sperm in its seminal recepacle and fertilized when it spawned. Fertilized eggs were reached 8 cells stage after fertilization at rearing water temperature $8.2{\sim}14.9^{\circ}C$. At 29 hours after fertilization, it reached morula stage, and at 146 hours after fertilization, its embryo was clearly formated. Hatching was begun from 1,488 hours (62 days) after fertilization with $8.2{\sim}14.9^{\circ}C$ water temperature.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12.99~15.46mm(mean $14.16{\pm}0.65$ mm) in TL (Total Length), and its mouth and anus were open. At 7 days after hatching, its yolk sac was completely absorbed and the myotomes were 15+25=40, measuring 15.23~15.54mm(mean $15.39{\pm}0.22$ mm, n=5) in TL. At 75~80 days after hatching, it was measured mean $30.06{\pm}0.76$ mm in TL, and it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with the complete set of fin rays.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OF THE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

  • 변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7-198
    • /
    • 1970
  • 1970년 7월 11일에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인공 부화를 실시하여 조이야 유생으로부터 성체형 꽃게 새끼로 된 후 9회 탈피할 패까지의 성장 과정을 조사하였다. 1. 어미 게의 갑폭(C)과 포란수(E)와의 관계는 E=27.9049C-281.8155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체(W)과 포란수 (E)와는 E=0.5682W-116.4606의 관계식으로 표시되었다. 2. 조이야 유생은 수온 $21.4\~25.2^{\circ}C$ 범위에서 5회를 탈피하여 $13\~14$일만에 메갈로파 유생기로 변태하였고, 조이야 유생기의 1회 탈피 기간은 평군 $2\~$일이 소요되었다. 3. 메갈로파 유생의 배갑폭 평균 길이는 1.70mm였고, 배갑 후면에서부터 전두극 끝까지의 길이는 평균 2.78mm였으며 메갈로파 유생기에서 탈피하여 성체형 게로 되는 데까지는 수온 $25.3\~26.9^{\circ}C$범위에서 $5\~6$일이 소요되었다. 4. 최초의 성체형 꽃게 새끼로 변태한 것은 부화 후 18일째였고, 이 때의 평균 갑폭은 4.48mm, 평균 갑장은 2.62mm 였다. 5. 성체형으로 변태한 새끼 꽃게는 $4\~5$일만에 첫회의 탈피를 하였으며, 탈피 후의 평균 갑폭은 6.47mm, 평균 갑장은 4.66mm 였다. 6. 유생 사육은 염분 농도가 높은 실내 수조보다 낮은 야외 탱크가 효과적이었고, 유생 기간의 폐사율은 조이야 1기에서 2기로 탈피할때 가장 높았으며, 새끼 꽃게로 된 후 9회 탈피기까지의 잔존율은 $55\~65\%$였다. 7.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40일간의 경과 일순(D)에 대한 각 수조별 성장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되었다. 갑폭(C)은 실내 수조에서 C=1.1250D+1.7227 야외 수조에서 C=1.3465D-0.2449 갑장(L)은 실내 수조에서 L=0.6654D+1.6712 야외 수조에서 L=0.7893D+0.6919 이상과 같이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W)은 야외 수조에서 $W=1.15e^{0.12423D}$, 실내 수조에서는 새끼 게 변태 후 9일부터 19일까지는 $W=6.759\times10^{-2}D^{1.2598}$이었고, 21일부터 40일 까지에서는 $W=4.136\times10^{-2}D^{1.6024}$ 등 의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8.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의 탈피 기간 중 탈피 회수(N)에 따른 갑폭(C)과 갑장(L) 및 체중(W)과의 성장 관계는 $C=5.2e^{0.28119N}$ $L=3.65e^{0.26372N}$ $W= 0.14e^{0.7037N}$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9. 성체형으로 변태한 후 9회 탈피까지의 갑장(L)에 대한 갑폭(C)과 체중(W)과의 상대 성장식은 갑장 2.62mm부터 27.17mm(변태 후 40일)까지는 L=1.6864C-1.0387의 회귀 직선으로 표시되었고, 체중은 갑장 7.47mm부터 18.53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23일)는 $W=9.367\times10^{-5}C^{3.5567}$였고, 갑장 22.11mm부터 27.17mm까지(새끼 게 변태 후 40일)는 $W=3.406\times10^{-5}C^{3.8571}$ 등의 지수 곡선으로 표시되었다.

  • PDF

Prediction of Carcass Fat, Protein, and Energy Content from Carcass Dry Matter and Specific Gravity of Broilers

  • Wiernusz, C.J.;Park, B.C.;Teeter, R.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42-48
    • /
    • 1999
  •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equations for predicting carcass composition. In the first study using 52 d-old Cobb ${\times}$ Cobb male broilers, twenty four carcasses were selected from 325 processed birds based upon visual appraisal for abdominal fat (low, medium, high) and assayed for specific gravity (SG), dry matter (DM), fat, protein, and ash. In experiment 2, 120 birds were fed rations containing 2 caloric densities (2,880 and $3,200kcal\;ME_n/kg$ diet) and assayed as described above on weeks 2,3,4,5, and 6. Carcass fat was elevated (p < 0.05) with increased caloric density. In both studies predictiv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emically determined carcass fat, protein, and ash contents. Pooled across the 2 studies, data were used to form SG, DM, and or age based equations for predicting carcass composition. Results were tested in experiment 3, where 576 birds reared to 49-d consumed either 2,880, 3,200, or $3,574kcal\;ME_n/kg$ diet while exposed to constant $24^{\circ}C$ or cycling 24 to $35^{\circ}C$ ambient temperatures. Both dietary and environmental effects impacted (p < 0.05) carcass composition. The fat content analyzed chemically was enhanced from 12.4 to 15.7%, and predicted fat was also elevated from 13.4 to 14.8% with increasing caloric density. Heat distress reduced (p < 0.05) analyzed carcass protein (18.9 vs 18.3%) and predicted protein (18.2 vs 17.5%). Predicted equation values for carcass fat, protein, ash, and energy were correlated with the chemically analyzed values at r=0.96, 0.77, 0.86, and 0.79, respectively. Results suggest that prediction equations based on DM and SG may be used to estimate carcass fat, protein, ash, and energy contents of broilers consuming diets that differ in caloric density (2,800 to $3,574kcal\;ME_n/kg$) and for broilers exposed to either constant ($24^{\circ}C$) or cycling high (24 to $35^{\circ}C$) ambient temperatures during 49-d rearing period tested in the present study.

태평양 다랑어 어장의 어획량과 수온과의 관계-청룡 제27호의 열대해역 동부어장에서의 조업결과-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es and the Water Temperature of Tuna in the Pacific Ocean - The Operating Results of M . S #27 Cheng Rong at Eastern Fishing Ground of Tropical Rigion -)

  • 김광홍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2권1호
    • /
    • pp.24-32
    • /
    • 1996
  • This paper described on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and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of eastern fishing ground of Tropical region in the Pacific Ocean. The data of catches and water temperature used in this paper were based log book which # 27 CHENG RONG(Gross tonnage : 399 ton) had been worked eastern fishing ground(Lat : 09$^{\circ}$N- 14$^{\circ}$S, Long : 115$^{\circ}$- 149$^{\circ}$W)from January to October, 1991. The obtained result are as follows : 1.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circ}$- 9$^{\circ}$N, Long 135$^{\circ}$- 139$^{\circ}$W area in the equatorial counter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7.5$^{\circ}C$ to 27.9$^{\circ}C$,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circ}$- 9$^{\circ}$S, Long 145$^{\circ}$- 149$^{\circ}$W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8.$0^{\circ}C$ to 28.4$^{\circ}C$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10$^{\circ}$- 14$^{\circ}$S, Long 120$^{\circ}$- 124$^{\circ}$W area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temperature was range of 26.5$^{\circ}C$ to 26.9$^{\circ}C$ 2. On the relation between catches and distribution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0^{\circ}C$ to 12$^{\circ}C$ on depth layer between 300m and 360m,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5$^{\circ}C$ to 19$^{\circ}C$ on depth layer between 180m and 280m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2$^{\circ}C$ to 14$^{\circ}C$ on depth layer between 280m and 310m. Above the result, it seemed that bigeye tuna distributed deeper layer than yellowfin and albacore tuna.

  • PDF

Nanocomposite Coating with TiAlN and Amorphous Carbon Phases Synthesized by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 Kim, Bom Sok;Kim, Dong Jun;La, Joung Hyun;Lee, Sang Yong;Lee, Sang Yul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11호
    • /
    • pp.801-808
    • /
    • 2012
  • TiAlCN coatings with various C contents were synthesized by unbalanced magnetron sputtering. The characteristics, the crystalline structure, surface morphology, hardness, and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oatings as a function of the C content we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XR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 microhardness tester, and a wear test. In addition, their corrosion behaviors in a deaerated 3.5 wt% NaCl solution at $40^{\circ}C$ were investigated by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i_{14.9}Al_{15.5}C_{30.7}N_{38.9}$ coating had the highest hardness, elastic modulus, and a plastic deformation resistance of 39 GPa, 359 GPa, and 0.55, respectively, and it also had the lowest friction coefficient of approximately 0.26.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TiAlCN coatings indicated that a wide range of coating properties, especially coating hardness, could be obtained by the synthesis methods and processing variables. The microhardness of the coatings was much higher than that from previously reported coating using similar magnetron sputtering processes. It was almost as high as the microhardness measured from the TiAlCN coatings (~41 GPa) synthesized using an arc ion plating process. The potentiodynamic test showed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TiAlCN coating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TiAlN coatings, and their corrosion current density ($i_{corr}$), corrosion potentials ($E_{corr}$) and corrosion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C content in the coatings. The much denser microstructure of the coatings due to the increased amount of amorphous phase with increasing C contents in the coatings could result in the the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coatings.

초저체온하 대동맥수술 환자에서 완전 순환차단의 안전한 체온 및 기간에 대한 연구 - 뇌파 Compressed Spectral Array의 임상적 응용 - (Clinical Application of Compressed Spectral Array During Deep Hypothermia)

  • 장병철;유선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752-759
    • /
    • 1997
  • 복합 심장질환이나 대동맥궁 수술시 뇌손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정지법 을 이용하고 있다. 수술후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들을 이용하여 왔으며, 1994년이후 저자들은 뇌대사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술중 뇌파감시를 하고 있다. 저자들은 심장수술실에 사용이 편리한 뇌 파 압축 스펙트럼 정렬(compressed spectral array; CSA)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대동맥수술시 초저체온 및 설 전순환차단하에 뇌파감시에 적용하여 이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초저체온하 뇌파를 연속감시하여 뇌파가 소 실되고 다시 나타나는 온도를 확인하여 순환정지의 안전한 온도와 시간을 연구하였다. 급성 대동맥박리증 3 례와 대동맥궁 대동맥류 3례(2례는 가성)의 대동맥질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직장과 식도체온을 연 속 감시하였으며,마취후 뇌파를 연속감시하였다. 대상환자들중 3례는 초저체온하 완전순환차단하에 수술을 하였으며, 3례는 초저체온하 선택적 뇌관류하에(500 700Ml분) 수술을 하였다. 환자의 체온을 하강하여 뇌 파가 소실된 후 약 3분 후에 순환정지나 선택적 뇌관류를 하였다. 뇌파가 소실된 체온은 직장\ulcorner온이 $16.1^{\circ}C-22.1^{\circ}C(평균:$ $18.4\pm2.0),$ 식도체온이 $12.7^{\circ}C~16.4^{\circ}C(평균:$ $14.7\pm1.6)였다.$ 완전순환차단 환자의 경우 뇌 허혈 시간은 각각 30, 36, 및 56분이었으며, 뇌관류 환자의 경우 각각 41, 56, 92분이었다. 수술중 뇌파가 다시 나 타난 시간 및 체온은(증례 3~6) 5~23분후에 직장체온이 $14.1^{\circ}C~20.3^{\circ}C,$ 식도체온이 $11.7^{\circ}C~15.4^{\circ}C에서$ 나타났다. 수술후 뇌손상의 증상은 없었으며,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식도체온이 $16^{\circ}C이하에서도$ 뇌파가 23분이내에 다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식도체온이 $15^{\circ}C이하는$ 되어야 약 30분간의 완전순환 차단에 안전하리라 생각되었으며, 대동맥 수술시 CSA를 이용한 뇌파감시는 전기뇌활동을 감시하는데 유용 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ompounds Isolated from Schisandra chinensis)

  • 서원세;박소연;민병선;김세현;송정호;심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65-670
    • /
    • 2014
  • 오미자 추출물의 n-hexane 분획으로부터 open column chromatography, 분취용 HPLC 등 여러 가지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총 15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들은 각각의 기기분석 데이터를 문헌치와 비교하여, 각각 wuweizisu C (1), gomisin N (2), deoxyschisandrin (3), gomisin A (4), schisandrin (5), chamigrenal (6), schisanlactone D (7), methylgomisin O (8), angeloylgomisin O (9), (-)-gomisin $L_2$ (10), schisandronic acid (11), (-)-gomisin $L_1$ (12), (+)-gomisin $K_3$ (13), gomisin J (14), tigloylgomisin H (15)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methylgomisin O (8)는 이 식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은 HL-60 (human leukemia), HeLa (human cervical carcinoma) 및 MCF-7 (breast cancer cells) 세포주에 대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7, 8 및 9는 HL-60 세포주에 대하여 각각 7.37, 6.60 및 $8.00{\mu}M$$IC_{50}$로 비교적 강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다. 화합물 6은 MCF-7에 대하여 $IC_{50}$ $30.50{\mu}M$로 적정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화합물 8은 HeLa cells에 대하여 $IC_{50}$ $1.46{\mu}M$로 비교적 강한 세포 독성으로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