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ta-carotene,\

검색결과 674건 처리시간 0.027초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a 2C-methyl-D-erythritol 2, 4-cyclodiphosphate Synthase Gene from Ginkgo biloba

  • Gao, Shi;Lin, Juan;Liu, Xuefen;Deng, Zhongxiang;Li, Yingjun;Sun, Xiaofen;Tang, Kexuan
    • BMB Reports
    • /
    • 제39권5호
    • /
    • pp.502-510
    • /
    • 2006
  • 2C-methyl-D-erythritol 2, 4-cyclodiphosphate synthase (MECPS, EC: 4.6.1.12) is the fifth enzyme of the non-mevalonate terpenoid pathway for isopentenyl diphosphate biosynthesis and is involved in the methylerythritol phosphate (MEP) pathway for ginkgolide biosynthesis. The full-length mecps cDNA sequence (designated as Gbmecps) was cloned and characterized for the first time from gymnosperm plant species, Ginkgo biloba, using RACE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technique. The full-length cDNA of Gbmecps was 874 bp containing a 720 bp open reading frame (ORF) encoding a peptide of 239 amino acids with a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26.03 kDa and an isoelectric point of 8.83. Comparative and bioinformatic analyses revealed that GbMECPS showed extensive homology with MECPSs from other species and contained conserved residues owned by the MECPS protein family.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GbMECPS was more ancient than other plant MECPSs. Tissu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indicated that GbMECPS expressed the highest in roots, followed by in leaves, and the lowest in seeds. The color complementation assay indicated that GbMECPS could accelerate the accumulation of $\beta$-carotene. The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GbMECP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role of MECPS involved in the ginkgolides biosynthesis at the molecular level.

비파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방사선 조사 효과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and Its Irradiation Effect)

  • 김희정;조철훈;김태훈;김동섭;박문영;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84-69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파의 산업적 이용 평가를 목적으로 하여 부위별 비파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감마선 조사효과를 평가하였다. 비파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색도변화에서 명도 및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여 더 밝은 색을 띄었다. 총 페놀 함량은 비파 잎에서 94.1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씨, 과육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사후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항산화 효과로서는 electron donation ability, ${\beta}-carotene$ blcaching assay, FRAP assay 및 reducing power을 정하였는데 이와 같은 항산화 관련 실험에서 비파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 중 잎이 씨와 과육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감마선조사에 의한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본 실험에서의 결과로서 비파에서는 총 페놀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 비례 증가함을 시사하는 자료가 얻어졌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비파 잎이 39.6%, 씨가 35.4%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과육은 20.2%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조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부위별 비파 추출물의 항간효과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10에서 14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대장균에 대해서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유의적 변화 없이 가장 강한 항균 활성 나타냈었다. Ames test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는 $10,000\;{\mu}g/plate$이하 일 때 부위별 비파 메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비파의 생활 습관성병 예방 및 기능성 천연 소재로서의 개발이 기대되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비파 성분의 화학적 변형에 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식용피의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 이윤상;윤향식;이상영;이정관;박철수;서우덕;김소영;우선희;송인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44-649
    • /
    • 2012
  • The edible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which have essentially vanished in the farmhouses environment and in agricultural germplasm were evaluated with the aim of restoration as a crop. The proximate components and mineral elements of milled millet were nutritionally similar or better than brown rice, and the vitamin contents of $B_1$ and $B_2$ exceeded those of rice by 1.3 times and 2.3 times, respectively. ${\beta}$-Carotene which is absent from brown rice was detected at levels ranging from 15~31 ${\mu}g$ in millet samples. Nine essential amino acids, including histidine and arginine and eight non-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were detected. The sum of all amino acids was determined to be IEC518>525>510 in the range of 69~106 mg/g.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via their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revealed values ranging from 3.4~8.2%, with the total polyphenol component being 51.1~69.4 mg/g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bility determined as 8.3~10.9%. In terms of agronom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barnyard millet, three millet varieties(IEC510, 518, and 525) were suitable as edible crops. IEC525 was selected as optimum variety for cultivation on the basis of nutritional ingredients,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nd yield.

자폐아동에 있어서 항산화 영양소 보충이 모발의 미네랄 함량 및 자폐성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oxidative Vitamin Supplementation on Mineral Contents in the Hair and Autistic Related Behaviors in Autistic Children)

  • 송원영;홍정희;박은주;이한우;최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37-24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아정신과에서 자폐로 진단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항산화비타민을 공급하기 전후를 비교하여 신체 계측과 모발 내 유해 무기질 함량, 혈장 내 항산화 체계를 관찰하였고 혈장 지질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향 측정 및 사회성숙도를 비교하였다. 항산화비타민 섭취 전과 후의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섭취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폐아동에게 3개월간 항산화 비타민을 공급한 후 유해중금속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As, Pb 및 Al의 경우에는 항산화 비타민 공급 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Cd와 Hg은 항산화 비타민 공급 후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습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미네랄인 Na, Cr도 항산화 공급 후 감소되어지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여러 항산화 효소들의 구성요소인 Fe, Zn, Mn 및 Se을 관찰한 결과 항산화비타민 공급 후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중 serotonin을 측정한 결과는 항산화 비타민 섭취 전에 비해 섭취 후 serotonin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free radical 함량은 항산화비타민 섭취 전에 비해 섭취 후 free radical 함량이 2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항산화 비타민이 모발 내 미네랄함량, 중금속 함량, free radical 함량 및 자폐성향 및 사회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자폐아동에게 항산화비타민의 보충이 자폐아동의 행동 및 발달장애를 개선시킨 것이라고 사료되어진다.

A Major Locus for Quantitatively Measured Shank Skin Color Traits in Korean Native Chicken

  • Jin, S.;Lee, J.H.;Seo, D.W.;Cahyadi, M.;Choi, N.R.;Heo, K.N.;Jo, C.;Park, H.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1호
    • /
    • pp.1555-1561
    • /
    • 2016
  • Shank skin color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shows large color variations. It varies from white, yellow, green, bluish or grey to black, whilst in the majority of European breeds the shanks are typically yellow-colored. Three shank skin color-related traits (i.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were measured by a spectrophotometer in 585 progeny from 68 nuclear families in the KNC resource population. We performed genome scan linkage analysis to identify loci that affect quantitatively measured shank skin color traits in KNC. All these birds were genotyped with 167 DNA markers located throughout the 26 autosomes. The SOLAR program was used to conduct multipoint variance-component quantitative trait locus (QTL) analyses. We detected a major QTL that affects $b^*$ value (logarithm of odds [LOD] = 47.5, $p=1.60{\times}10^{-49}$) on GGA24 (GGA for Gallus gallus). At the same location, we also detected a QTL that influences $a^*$ value (LOD = 14.2, $p=6.14{\times}10^{-16}$). Additionally, beta-carotene dioxygenase 2 (BCDO2), the obvious positional candidate gene under the linkage peaks on GGA24, was investigated by the two association tests: i.e., measured genotype association (MGA) and quantitative transmission disequilibrium test (QTDT).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detected between BCDO2 g.9367 A>C and $a^*$ ($P_{MGA}=1.69{\times}10^{-28}$; $P_{QTDT}=2.40{\times}10^{-25}$). The strongest associations were between BCDO2 g.9367 A>C and $b^*$ ($P_{MGA}=3.56{\times}10^{-66}$; $P_{QTDT}=1.68{\times}10^{-65}$). However, linkage analyses conditional on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dicated that other functional variants should exist. Taken together, we demonstrate for the first time the linkage and association between the BCDO2 locus on GGA24 and quantitatively measured shank skin color traits in KNC.

녹차 건분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이 9개월령과 12개월령 흰쥐의 부위별 뇌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r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ation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9 Month- and 12 Month-old Rat Brain Regions)

  • 장남수;최지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31-4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건분 식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가 뇌 조직의 항산화능 증진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고자, 생후 9개월령과 12개월령 Sprague-Dawley종 실험동물에게 3% 녹차 건분식이와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를 3주간 공급하였다 희생 후 뇌 조직을 대뇌, 소뇌, 선조체, 해마로 나누어 malondialdehyde (MDA)의 함량과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3% 녹차 건분 식이의 공급은 선조체 내 SOD활성과 대뇌 내 GSH-Px활성을 12개월령에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녹차군과 항산화 비타민군의 항산화능에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령에 따라 부위별 뇌조직의 MDA 함량은 증가하였고, GSH-Px 활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3% 녹차 건분 식이의 항산화능 증진효과가 녹차 건분에 함유된 항산화 비타민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 가령에 따라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가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출 조건을 달리한 감잎과 녹차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노령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Different Condition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 김성경;이혜진;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5호
    • /
    • pp.499-512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12-month-old rats. Fif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42$\pm$4.5g were block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weight and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the diets containing 5%(w/w) dried leaf powders of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and green tea(Camellia Sinensis O. Ktze), water or 75% and 95% ethanol extracts from same amount of each dried tea powder.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but weight gain of green tea powd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of all the tea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Especially, 7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decreased liver total lipid level.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groups and 95% ethanol extracts groups in lipid metabolism.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were remarkably increased by all the green tea diets.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in liver were increased by the feeding of ethanol extracts from green tea and persimmon leaf powder.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not different among all groups. Plasma Thiobarbirut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s of all the green tea die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 It was thought that high flavonoids in green tea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promoting SOD, catalase activities in erythrocyte. 95%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also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by high vitamin E and beta-carotene. Persimmon leaf powder decreased liver TBARS concentration by vitamin E, betacarotene and vitamin C and by increasing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with flavonoids. In conclusion, dried leaf powders, water, 75% and 95%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in 12-month-old rats. Above all,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decreased plasma and liver lipid levels and persimmon leaf powder effectively inhibited liver lipid peroxidation. Extracts of green tea leaf inhibited plasma lipid peroxidation.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ethanol extracts were more effective than water extrac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75% ethanol extracts and 95% ethanol extracts in lipid metabolism. (Korean J Nutrition 34(5) : 499~512, 2001)

  • PDF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 한귀정;신동선;장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0-6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생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땅두릅이 적정 출하시기가 끝나면 기온상승으로 인하여 생식용으로 부적합한 제품이 다량 발생하고, 땅두릅 잎 또한 가축의 사료로 쓰이거나 그대로 버려지고 있어 가공적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땅두릅과 땅두릅잎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 비타민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일반성분에 있어서 땅두릅은 수분이 94.50%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이 2.20%, 조섬유가 0.90%로 나타났고 조단백질은 1.60%, 조지방은 0.20%, 회분은 0.70% 이었다. 또한 땅두릅잎은 수분이 85.70%, 탄수화물이 7.00%이었고 조섬유가 1.50%, 조단백질이 4.30%, 조지방이 0.30%, 회분이 1.20%로 나타났다. 특히 무기성분은 K가 땅두릅에 264.00 mg%과 땅두릅잎에 172.00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음으로 Ca, P, Na, Mg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베타카로틴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비타민 C의 함유량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땅두릅이 63.7 mg/g, 땅두릅잎은 63.5 mg/g으로 비교적 많은 조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산화활성능은 페놀성 화합물이 각각 58.25, $79.32{\mu}g/m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11.25, $15.36{\mu}g/mg$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32.23, $28.06{\mu}g/mg$으로 우수한 소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이섬유 함유량은 땅두릅의 경우 총 식이섬유 함량이 2.13%, 땅두릅잎은 총 식이섬유가 5.98%로 비교적 높은 식이섬유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총 클로로필 함량도 땅두릅이 92.58 mg%와 땅두릅잎이 147.25 mg%로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해동피 및 유사생약 추출물의 위 손상에 대한 효과 (Effects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and Their Related Origin on Gastric Lesions)

  • 황인영;황선아;정춘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7-375
    • /
    • 2013
  • 해동피는 약리학적으로 진통, 소염작용이 있어, 허리와 무릎의 통증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동피(Kalopanax pictus)의 국산 및 중국산과 그 유사생약으로 사용되는 절동피(znthoxylum ailanthoides)의 국산과 중국산, 목면피(bombax malabaricum)의 $H_2O$ 및 70% EtOH 추출물의 항위염 효과와 항산화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HCl EtOH로 유발한 흰쥐위염 모델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였고, 위염 및 위궤양, 위암의 원인으로 잘 알려진 H. pylori에 대한 colony 억제작용과 대표적 공격인자인 과다한 산에 대한 억제작용을 확인 하고자 제산력 시험법을 실시하였다. 항위염 효과에 대한 항산화 기전으로는 DPPH 시험법, 환원력 시험법, ${\beta}$-carotene/linoleic acid syetem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실험에 사용한 추출물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해동피 국산 추출물을 이용하여 superoxide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 작용을 확인하였다. Indomethacin으로 유발한 흰쥐 위궤양 모델에서는 해동피 국산 $H_2O$ 및 70% EtOH 추출물에서 각각 73.1%, 53.5%로 손상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흰쥐를 이용한 gastric secretion 실험으로는 해동피 국산 $H_2O$ 및 70% EtOH 추출물이 위액의 분비를 줄이고, pH를 상승 시켰으며 총 산도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해동피국산 및 중국산, 절동피국산 및 중국산, 목면피중국산 해동피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해동피 국산은 위염 및 위궤양에서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고,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천연물 의약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를 토대로 오랜 세월 한약재로 사용되어 온 해동피의 기원이 다른 유사품 및 불량약재의 무분별한 유통, 정확한 기원의 약재에 대한 기준 설정, 높아지는 한약재 수입 의존도에 따른 위품, 저질품의 혼입 방지와 객관적, 신뢰성 있는 표준규격 설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주요 참나무류 종실의 탄닌 및 영양성분 비교 (The Comparison of Tannins and Nutritional Components in the Acorn of Major Oak Trees in Korea)

  • 이위영;나성준;박응준;한상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79-285
    • /
    • 2014
  • 참나무류 종실에 대한 수종별 성분함량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 환경조건에서 생산된 채종원산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및 신갈나무 종실의 전체 페놀, 탄닌류, 아미노산, 무기원소, 식이섬유소, 베타카로틴 등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탄닌의 함량은 수종간에 유의적 차이(p<0.05)가 있었다. 졸참나무에서 79 mg/g으로 가장 높았고, 이외 수종은 62 mg/g 전후로 유사한 함량을 나타냈다. 수용성 탄닌 함량은 졸참나무가 71 mg/g을, 이외의 수종은 45 mg/g 전후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용성 탄닌 함량은 졸참나무가 8.2 mg/g으로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 23.5 mg/g으로 가장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식이섬유소 함량은 신갈나무 종실이 42%로 가장 높았고 졸참나무 38%, 상수리 및 굴참나무가 26% 전후로, 특히 졸참나무와 상수리나무의 클론간의 식이섬유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두 수종간에 유의적 차이(p<0.01)가 있었다. 무기성분 및 아미노산 함량은 신갈나무 종실이 다른 수종에 비해 높게 함유하는 경향이었다. 반면 베타카로틴은 신갈나무가 $10{\mu}g/100g$으로 가장 낮았고 굴참나무가 $520{\mu}g/100g$으로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참나무 수종에 따른 도토리의 페놀성 화합물이나 영양성분의 함량은 수종 간에 차이가 있어 참나무 도토리의 종류에 따라 맛이나 영양학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