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ta$-Pinene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3초

계절에 따른 울산지역 산책로의 피톤치드 특성연구 (Study on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Forest Phytoncide in Ulsan Metropolitan Trails)

  • 박흥재;유봉관;박선호;이진열;함유식;정성욱;변기영;김소희;정임수;이미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415-141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hytoncide in trail of Ulsan Metropolitan. 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1. They were collected using Tenax Ta tube and phytoncides were detected and quantified using a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er (GC/MSD).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asonal concentrations of phytoncide are Munsu Mt. 272.3 ${\mu}g/m^3$, Samho Mt. 192.4 ${\mu}g/m^3$, Shinbul Mt. 50.9 ${\mu}g/m^3$, Sibli Bamboo forest 22.4 ${\mu}g/m^3$ and Joongbu Fire Station 24.4 ${\mu}g/m^3$. In Munsu Mt., Samho Mt. and Shinbul Mt. major component ratio is ${\alpha}$-Pinene > ${\beta}$-Pinene+Myrcene >Limonene >Camphene > ${\gamma}$-Terpinene > ${\alpha}$-Terpinene. Bamboo forest and Joongbu fire station major component ratio is ${\alpha}$-Pinene >Limonene > ${\beta}$-Pinene+Myrcene >Camphene > ${\alpha}$-Terpinene. The variation of seasonal concentration is summer >spring >fall >winter. The phytoncide concentration of coniferous forest(Munsu Mt., Samho Mt.) is higher than broadleaf forest(Shinbul Mt.).

파슬리의 잎과 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arsley Leaf and Seed (Petroselinum crispum))

  • 김영희;김근수;홍종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62-67
    • /
    • 1990
  • 파슬리의 잎과 씨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잎과 씨에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각각 0.06 %와 3.11 %이었다. 잎에서는 mass spectrum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15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58종 그리고 씨에서는 23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 중 43종의 terpene화합물이 잎에서 분리한 휘발성 성분의 약 46.4 %를 차지하였고 씨에서는 49.3 %를 차지하였다 잎에서 양적으로 많이 함유된 terpene 화합물은 myrcene(3.01 %), 4-isopropenyl-1-methyl benzene(4.52 %), ${\rho}-1$, 3, 8-menthatriene(10.49 %)인 반면 씨에서는 ${\alpha}-pinene$(22.28 %)와 ${\beta}-pinene$(16.20%)이었다. 한편 두 oil에서 가장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myristicin으로서 잎과 씨에서 각각 전체 향기성분의 21.80 % 및 47.54 %를 차지하였다.

  • PDF

Angelica속 생약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 (I). -참당귀의 정유성분- (Studies on Essential Oils of Plants of Angelica Genus in Korea (I). -Essential Oils of Angelicae gigantis Radix-)

  • 지형준;김현수
    • 생약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9-247
    • /
    • 1988
  • Essential oil of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Umbelliferae) was investigated. Essential oil was obtained from the dried roots by steam distillation and fraction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Each isolate or fraction was identified by GC, GC-MS and spectral analysis. It was found to contain eleven monoterpenes such as ${\alpha}-pinene,\;camphene,\;{\beta}-pinene,\;myrcene,\;{\alpha}-phellandrene,\;{\Delta}-3-carene,\;{\alpha}-terpinene,\;p-symene,\;limonene,\;{\gamma}-terpinene$ and terpinolene and also found to contain 4-vinylguauacol, myristicin, elemol, ${\beta}-eudesmol,\;{\alpha}-eudesmol,\;four\;sesquiterpenes\;involving\;{\Delta}-elemene$. Four sesquiterpenes and five sesquiterpene alcohol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by comparison of their mass spectra.

  • PDF

건조 및 추출방법에 따른 오미자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of Schizandra chinensis Fruits According to Drying and Extracting Methods)

  • 김관수;송지숙;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9-57
    • /
    • 2000
  •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ullion)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생체시료와 건조시료에 대한 SDE (steam distillation & extraction) 추출분석과 Headspace 분석을 하였다. 건조방법별 오미자의 정유함량은 생체시료에서 0.58%, 냉동건조시료에서 0.60%, 열풍건조 $(60^{\circ}C)$ 시료에서 0.30%를 나타냈다. SDE 추출된 정유의 성분조성을 조사한 결과, 생체시료의 주요 성분은 terpinen-4-ol(9.01%), ${\gamma}-terpinene(7.02%),\;{\beta}-myrcene(7. 55%)$, 기타 sesquiterpene류(28.48%) 등으로 나타났다. 냉동 건조시료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열풍 건조시료에서는 ${\gamma}-terpinene(5.40%),\;{\beta}-elemene(8.28%)$, 기타 sesquiterpene류(50.38%)등을 주로 함유하여 열풍건조에 의해 성분 조성이 달라졌다. Headspace 분석의 경우 SDE 분석과는 다른 성분조성을 보였는데 생체시료는 ${\beta}-myrcene(22.05%),\;{\gamma}-terpinen(9.47%),\;{\alpha}-pinene(8.91%)$, sabinene (8.48%) 등이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의 성분조성은 대체적으로 냉동건조, $(60^{\circ}C)$ 열풍건조, $(80^{\circ}C)$ 열풍건조 순으로 ${\beta}-myrcene,\;{\alpha}-terpinene$ 등은 감소하였고, ${\alpha}-ylangene,\;{\alpha}-pinene$, camphene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건조조건에 따라 정유성분의 함량과 조성 이 SDE 분석과 Headspace 분석 모두에서 변화하였는데, 전반적으로 monoterpene류와 알코올류의 조성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고비점 화합물인 sesquiterpene류의 조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Pseudotsuga menziesii의 Monoterpenoid가 질화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seudotsuga menziesii Monoterpenoids on Nitrification)

  • 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251-260
    • /
    • 1994
  • Pseudotsuga menziesii 임상에서 질화작용의 억제제로서의 monoterpenoids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토양에서의 질화작용과 식물체잎, 낙엽 및 무기토양에서의 monoterpenoids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Pseudotsuga menziesii잎이나 임상에서 분석된 monoterpenoids는 대략 16종 이었으며, 그 중 ${\alpha}$-pinene, ${\beta}$-pinene, ${\gamma}$-terpinene 그리고 terpenolene이 대표적인 것들이었다. 임상에 있는 monoterpenoids의 양은 무기토양층에 비해 항상 많았으며, 계절적 변이가 있었으나 토양층은 항상 일정하였다. 질화작용 과정 중 ammonium oxidation 과정은 낙엽층이 보다 더 많은 저해를 받았으나, nitrite oxidation 과정은 두층별간 별 차이가 없었다. 또한 4가지 monoterpenoids(${\alpha}$-pinene, ${\beta}$-pinene, ${\gamma}$-terpinene, terpenolene)를 인위적으로 첨가한 토양에서의 질화작용에 역시 am-monium oxidation 과정은 심히 저해를 받는 반면 nitrite oxidation 과정은 저해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모든 결과들은 Pseudotsuga menziesii 임상에 있는 monoterpenoids의 영향으로 질화작용에 관여하는 미생물, 특히 Nitrosomonas europaes의 증식이 억제되어 am-monium oxidation 과정이 저해되었음을 시사한다.

  • PDF

산림휴양지 유형에 따른 피톤치드(모노테르펜) 농도 비교 (Comparison of Phytoncide (monoterpene) Concentration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 이용기;우정식;최시림;신은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1-248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and effective information on phytoncides, which are associated with forest healing, and to activate recreational forests. Methods: The target sites were natural recreation forests, a forest park and an arboretum, and the control sites were three urban parks.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a volume of 6.0 L and a flow rate of 0.1 L/min for one hour using a low volume pump and the solid adsorbent sampling method. The phytoncide compounds adsorbed in the Tenax TA tube were analyzed by a automatic heat desorption unit and GC-MS. Results: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the annual concentrations of phytoncide (monoterpene) for the forest park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with $1.450{\mu}g/m^3$, while those for the arboretum showed the lowest concentration at $0.892{\mu}g/m^3$, and thus the concentration of the forest park was approximately 1.6 times higher than the arboretum. The season show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hytoncides was summer (June) and the forest park was the highest among the recreational forests. The concentrations of major components for phytoncide showed in descending order: ${\alpha}-pinene$, ${\beta}-pinene$, camphene, 3-carene and limonene. The seasonal concentration of ${\alpha}-pinene$, camphene and ${\beta}-pinene$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increased in April, which is characterized by low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seasonal concentration of camphene decreased with higher humidity. The meteorological factors which had the high correla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total terpene were temperature and humidity. $CO_2$ and $O_2$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Conclusion: The major components of phytoncide were ${\alpha}-pinene$, ${\beta}-pinene$, camphene, 3-carene and limonene in descending order of concentration. Further and systematic study on the chemical nature of individual phytoncides, and on the effect of phytoncides on humans needs to be performed.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Pla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 acutiloba Kitagawa)

  • 조민구;방진기;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52-357
    • /
    • 2003
  • 참당귀의 전초 (꽃봉우리, 줄기, 잎)와 뿌리의 정유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초의 정유 함량은 0.063%로 뿌리의 0.389%에 비해서 아주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성분에 있어서 전초와 뿌리의 정성적 차이는 없었으나, 함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은 nonane, ${\alpha}$-pinene, limonene + ${\beta}-phellandrene$이였으며, 이 중 nonane과 ${\alpha}-pinene$의 경우 전초에서는 각각 7.5%와 14.6%이었으나, 뿌리에서는 각각 24.5%와 31.7%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gamma}-terpinene$, germacrene-d, (E,E)-${\alpha}-farnesene$, ${\beta}- eudesmol$의 경우 전초에서는 5%에서 8% 사이로 나타났으나, 뿌리 에서는 1% 안팎의 적은 함량을 보였다. 참당귀와 일당귀를 분석한 결과 줄기와 잎에서 각각 0.068%, 0.127%와 0.153%, 0.243%로 정유의 함량은 일당귀가 더 높았고, 부위별로는 잎이 줄기의 약 2배 정도 높았다. 참당귀 줄기와 잎의 성분으로는 각각 18개, 32개로 잎에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분포되어 있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lpha}-pinene$, myrcene, limonene, germacrene-d, eudesmol and butylphthalide로 잎에서 germacrene-d가 높았고, butylphthalide가 낮은 차이를 보였다. 일당귀줄기와 잎의 휘발성 정유 성분으로는 각각 21개, 32개로 참당귀와 같이 잎에서 더 다양했고, 성분은 ${\gamma}-terpinene$과 butylphthalide로 butylphthalide가 70%에 육박하는 주성분을 차지했다. 그러므로 Angelica gigas와 Angelica acutiloba는 관능적으로 확연히 다른 차이를 느낄 수 있지만, 분석결과로도 전혀 다른 향기성분임을 알수 있었다.

양하의 항산화 효과 및 향기성분 (Effects of Antioxidant and Flavor Compionents of Zingiber mioga Rosc)

  • 이장원;천상욱;한승관;류정;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3-209
    • /
    • 2007
  • 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cdot}$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1,4-terpineol, and ${\beta}$-terpinene 등 이었다.

건생강에 함유된 키랄성 향기성분의 이성질체 조성 분석 (Analysis of Enantiomeric Composition of Chiral Flavor Components from Dried Ginger (Zingiber afficinale Roscoe))

  • 서혜영;노기미;심성례;류근영;한규재;라젠드라 게왈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74-880
    • /
    • 2006
  • 건생강 제품의 진위판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건조된 생강으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향기특성을 분석하고, MDGC/MS에 의해 키랄성 휘발성분의 enantiomeric composition을 분석하였다. 건생강에서 총 57종을 동정하였으며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zingiberene, ${\beta}-sesquiphellandrene$, ${\beta}-bisabolene$, (E,E)-${\alpha}-farnesene$${\alpha}-curcumene$이었다. 건생강에 함유된 키랄성 향기성분 중에서 enaniomeric composition을 측정하기 위해 선택된 키랄화합물 중 ${\alpha}-pinene$ 및 nerolidol은 높은 enantiomeric purity(>96%)로 검출되었으며, ${\beta}-pinene$은 (R)-enantiomer만이 검출되어 특이적이었다. ${\alpha}-Terpineol$은 (R)-enantiomer가 72%로 높게 나타났으며 linalool과 4-terpineol은 두 이성질체가 혼합된 것으로 나타났다. Limonene의 enantiomeric excess(ee, %)는 17.2%로 (S)-enantiomer가 주요 이성질체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키랄성 향기성분의 enantiomeric composition은 건생강의 진위평가를 위한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one Volatile oil of Cupressus macrocarpa Hartwig from Nilgiris, India

  • Manimaran, S.;Themozhil, S.;Nanjan, M.J.;Suresh, B.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279-282
    • /
    • 2007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ous chemical components present in the cone volatile oil of Cupressus macrocarpa and also determine its antimicrobial activity. Totally 13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99.99% by GC-MS analysis. The major compounds identified were terpinene-4-ol (19.42%), dinopol (15.63%), ${\alpha}$-pinene (13.58%), and ${\beta}$-pinene (12.16%).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carried out for the oil and a 2% cream formulation using cup plate method by measuring the zone of inhibition. The gram positive organisms used were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megaterium, and Bacillus cogulans. The gram negative organisms used were Escherichia coli, Kleibsei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nd Salmonella typhi. In vitro antifungal studies were also carried out by using organisms,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flavus, Trichoderma lignorum and Cryptococcus neoformans. The standard drugs used were penicillin ($100{\mu}g/mL$), gentamycin ($100{\mu}g/mL$) and griseofulvin ($100{\mu}g/mL$) for gram positive bacteria, gram negative bacteria and fungi respectively. Both oil and cream formulation showed good activity against fungi than bacteria. This study is being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cone volatile oil of this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