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linoleic acid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C18 Fatty Acids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RBL-2H3 Cells

  • Kim, Myung Chul;Kim, Min Gyu;Jo, Young Soo;Song, Ho Sun;Eom, Tae In;Sim, Sang S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3호
    • /
    • pp.241-247
    • /
    • 2014
  •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C18 fatty acids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on mast cells, we measured the effect of C18 fatty acids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RBL-2H3 mast cells. Stearic acid rapidly increased initial peak of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whereas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gradually increased this mobilization.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2+}$, stearic acid ($100{\mu}M$) did not cause any increase of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oth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increas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ut the increase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presence of extracellular $Ca^{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18 fatty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is mainly dependent on extracellular $Ca^{2+}$ influx. Verapamil dose-dependently inhibited stearic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ut did not affect both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underlying mechanism of stearic acid,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may differ.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histamine release. Linoleic acid (C18:2: ${\omega}$-6)-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were more prominent than ${\alpha}$-linolenic acid (C18:3: ${\omega}$-3). These data support the view that the intake of more ${\alpha}$-linolenic acid than linoleic acid is useful in preventing inflammation.

AOT/isooctane 역미셀계내에서의 lipoxygenase 반응 특성 (Characterization of Lipoxygenase in AOT/Isooctane Reversed Micelles)

  • 장판식;이광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dioctyl sulfosuccinate (aerosol-OT, AOT)와 비극성 유기용매인 isooctane으로 구성된 역미셀계를 이용하여 lipoxygenase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질로 사용되는 ${\alpha}-linoleic\;acid$가 5%(w/v) cupric acetate-pyridine 용액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발색됨을 확인하였는 바, 기질이 단위시간당 소모되는 정도로서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Lipoxygenase 효소반응을 위한 최적 pH, 온도 및 R값 ([water]/[AOT]) 등을 측정한 결과 각각 5.0, $25^{\circ}C$, 10.0 등이었으며 $K_m$$V_{max}$값은 각각 0.31 mM of ${\alpha}-linoleic\;acid$$384.16{\mu}mol$ of ${\alpha}-linoleic\;acid\;decomposed/min$임을 확인함으로써, 역미셀계내에서 lipoxygenase 효소활성을 예민하고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었다. 한편, 지용성 항산화제의 일종인 ${\alpha}-tocopherol$을 역미셀계에 적용시킨 결과 최대 72%까지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는 대두 가공품 및 곡류 가공품에 ${\alpha}-tocopherol$을 첨가함으로써 가공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코페롤류의 항산화작용과 Linoleic Acid Methylester에서 생성된 cis/trans-, trans/trans-Hydroperoxide Isomer (Antioxidant Effect of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and cis/trans-, trans/trans-Hydroperoxide Isomer from Linoleic Acid Methylester)

  • 이형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12
    • /
    • 1993
  • Linoleic acid methylester와 토코페놀류$({\alpha}-,\;{\beta}-,\;{\gamma}-,\;{\delta}-tocopherol$${\alpha}-,\;{\gamma}-,\;{\delta}-tocotrienol)$를 사용한 model system에서의 자동산화과정에서 온도$(40,\;60,\;80^{\circ}C)$와 산소의 양 $(0,\;10,\;20%\;O_2)$에 따르는 항산화효과를 고찰하였다. Linoleic acid methylester에서 생성된 주요 산화생성물인 13-cis/trans-, 13-trans/trans-, 9-trans/cis-, 9-trans/trans-hydroperoxide를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양적 변화로 항산화정도를 비교하였다. 모든 토코페롤류$({\alpha}-tocotrienol$제외)는 $60^{\circ}C$ 범위에서 항산화효과가 있었다. ${\alpha}-tocopherol$, ${\alpha}-tocotrienol$ and ${\delta}-tocotrienol$의 경우 $80^{\circ}C$ 범위에서 산화촉진효과가 관찰되었다. $40^{\circ}C$ 범위에서는 주로 cis/trans-hydroperoxide가 많이 생성되었고 $80^{\circ}C$ 범위에서는 trans/trans-hydroperoxide가 많이 생성되었다. $80^{\circ}C$ 범위의 hydroperoxide 생성량간의 오차가 심한 구간을 제외한 $40^{\circ}C/10%,\;O_2$에서부터 $60^{\circ}C/20%,\;O_2$까지의 산화구간에서 cis/trans-: trans/trans-hydroperoxides의 비율은 ${\alpha}-T>{\alpha}-T_3>{\gamma}-T>{\beta}-T>{\gamma}-T_3>{\delta}-T>{\delta}-T_3$의 순으로 고찰되어, 토코페롤류 중 ${\alpha}-tocopherol$이 가장 낮은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나무로부터 분리한 linoleic acid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 연구 (Linoleic Acid from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Displaying Potent α- Glucosidase Inhibition)

  • 정선인;강수태;최철용;오경열;조정근;;박기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80-683
    • /
    • 2009
  • 당가수분해효소 저해제는 2형 당뇨병, 암, 바이러스 감염제 개발의 주요 타켓화합물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대나무 잎에서 ${\alpha}$-glucosidase 저해제를 탐색하였다. 대나무 잎을 메탄올 용매로 추출하고, 이들을 핵산, 클로로포름, 부탄올로 용매분획 하였다. 용매 분획된 각 추출물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검정시험에서 핵산 분획층에서 강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IC50 33.5 ${\mu}$g/ml)을 관찰하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준 핵산 분획층의 활성물질은 linoleic acid로 구조동정 되었다. 분리된 linoleic acid는 IC50이 12.4 ${\mu}$M로 높은 ${\alpha}$- 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저해활성 메커니즘 연구에서 linoleic acid는 비경쟁적 저해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대나무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첫 번째 연구 결과이다.

Linoleic acid 산화생성물(酸化生成物)의 DNA손상작용에 있어서의 활성산소종(活性酸素種)의 역할 (The Role of Active Oxygen on DNA Damage by Linoleic Acid Peroxidation Products)

  • 김선봉;강진훈;이용우;김인수;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1-316
    • /
    • 1987
  • 지질산화에 의한 DNA손상작용기구를 구명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와 DNA의 반응계에 각종(各種)의 활성산소소거제(活性酸素消去劑)를 첨가하여 $37^{\circ}C$에서 반응시키고 linoleic acid산화에 의하여 생성하는 활성산소종(活性酸素種)의 DNA손상작용을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첨가한 활성산소소거제중(活性酸素消去劑中) ${\alpha}-tocopherol$과 SOD가 DNA손상을 크게 억제하여 linoleic acid산화에 의한 DNA손상작용에는 일중항산소와 superoxide anion이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에서도 일중항산소가 더욱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산(水酸) radical과 과산화수소는 DNA손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linoleic acid와 DNA가 공존(共存)하는 경우에만 DNA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성산소소거제(活性酸消去劑)를 첨가한 반응계에서 linoleic acid만의 대조구에 비하여 POV와 공액diene의 증가를 크게 억제하였으며 그중에서도 SOD와 ${\alpha}$-tocopherol의 항산화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지질산화과정에서의 활성산소종(活性酸素種)의 관여는 각각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Fatty Acid를 Ligand로한 Cyclodextrin Adsorbent의 제조와 $\alpha$-, $\beta$-, ${\gamma}$-Cyclodextrin의 분획 (Formation of Cyclodextrin Adsorbent Using Fatty Acid as a Ligand and Fractionation of $\alpha$-, $\beta$- and ${\gamma}$-cyclodextrins)

  • 정승환;박동찬이용현
    • KSBB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491-498
    • /
    • 1995
  • Cyclodextrin의 고순도 분획, 정제를 위한 CD adsorbent의 제조에 척합한 matnx를 선별하기 위하여 capric acid를 ligand로 각종 이온교환수지를 비교 검토한 결과 DEAE Cellulose가 가장 적합함을 알았다. DEAE Cellulose와 capric acid간의 결합 안정성은 온도, ionic strength의 변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ethanol 농도의 변화에는 안정하였다. CD adsorbent의 흡착량, 탈착량, 그리고 ${\alpha}$-, ${\beta}$- 및 ${\gamma}$-CD 의 용출양상을 규명하였다. 탄소쇄가 다른 각종 포화, 불포화 fatty acid를 ligand로 하여 specific adsorbent를 제조하였으며, ${\alpha}$-, ${\beta}$- 및 ${\gamma}$-CD의 회수율과 분리능을 비교 검토 하였다. 그 결과 steanc a acid는 ${\alpha}$-CD 그리고 linoleic acid는 ${\beta}$-CD에 대하여 높은 회수율과 선택성을 보였으며, 선택성은 fatty acid의 탄소쇄 길이와 이중결합 유무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Stearic acid와 linoleic acid CD adsorbents를 이용하여 CD 혼합물로부터${\alpha}$-, ${\beta}$- 및 ${\gamma}$-CD의 분획양상을 검토하였다.

  • PDF

수용성계의 Linoleic Acid와 LDL에 대한 한국산 홍삼의 산화방지효과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Aqueous Linoleic Acid and LDL)

  • 이종원;이성계;도재호;성현순;이형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283-288
    • /
    • 1997
  • 1% linoleic acid를 함유하는 수용성 완충용액과 LDL(low-density lipoprotein, 1 mg protein/ml)을 함유하는 수용성 완충용액 각각에 $H_2O_2$$FeCl_2$를 가하여 유발된 산화과정 중 한국산 홍삼 extract(red ginseng extract; RGE)에 대한 산화방지활성을 비교물질로 ${\alpha}-tocopherol$을 사용하여, HPLC를 이용한 MDA(malondialdehyde) 정량법과 fluorometry를 이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LDL(0.25 mg protein/ml)에서 생성된 conjugated diene도 spectrometry로 측정하였다. Linoleic acid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MDA 생성량으로 비교한 산화방지효과에 있어서 1000 ppm RGE의 첨가로 71.8%의 우수한 산화저해율이 나타났으며, 이때 비교물질로 사용한 100 ppm ${\alpha}-tocopherol$의 경우에는 76.1%이었다. LDL(1 mg/ml)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RGE 200 ppm 첨가시 가장 우수한 항산화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때의 산화저해율은 25.2%이었고, 100 ppm ${\alpha}-tocopherol$의 경우는 21.2%이었다. 또한 LDL(0.25 mg protein/ml)을 기질로 사용하여 생성된 c-diene을 측정한 경우에도 50 ppm RGE의 첨가로 44.2% 저해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고형상의 모델시스템에 있어서 리놀레산의 산화에 미치는 리폭시게나아제, 카로틴, 토코페롤 및 수분활성의 영향 (Effect of Lipoxygenase,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and Water Activity 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in Starch-Solid Model System)

  • 김혜경;최홍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8
    • /
    • 1992
  • 고형상의 모델시스템에서 리놀레산의 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인자들 즉 리폭시게나아제, 수분활성도, ${\beta}$-카로틴, ${\alpha}$-토코페롤등에 대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리폭시게나아제에 의한 리놀레산의 산화반응은 aw 0.72에서 aw 0.25에 보다 잘 일어났다. 그러나 이 시스템에 ${\beta}$-카로틴이나 ${\alpha}$-토코페롤을 반응시키게 되면 리놀레산의 산화를 크게 저해하였으며 ${\beta}$-카로틴보다는 ${\alpha}$-토코페롤이 지질과 산화 과정에서 항산화작용이 더 컸다. 즉, 유사한 조건에서 ${\beta}$-카로틴은 24시간의 유도기간을 보여 준 반면 ${\alpha}$-토코페롤은 72시간까지도 유도기간이 지속되었다. ${\beta}$-카로틴의 항산화작용은 수분활성도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수분활성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작용이 뛰어났고 또한 ${\beta}$-카로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CDA 생성이 적었다.

  • PDF

지질산화생성물의 DNA손상작용 및 그 억제기구 (DNA Damage of Lipid Oxidation Products and Its Inhibition Mechanism)

  • 김선봉;강진훈;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9-430
    • /
    • 1987
  • 지질산화생성물에 의한 DNA손상작용 및 그 억제 기구를 밟히기 위하여 linoleic acid와 plasmid DNA와의 모델계를 통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하여 DNA가 손상되었으며, 그 정도는 linoleic acid의 양이 많을 수록 크게 나타났다. 2.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한 DNA손상작용은 POV 100 mea/kg이하인 산화초기에서도 빠르게 진행되었다. 산화초기의 DNA손상작용에는 활성산소 종의 관여가 크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일중항 산소와 superoxide anion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지질 2차반응생성물인 malonaldehyde와 hexanal의 DNA손상작용은 linoleic acid경우와는 달리 활성산소종과는 무관하였으며 DNA와 와의 복합체형성에 의하였다. 4. Linoleic acid hydroperoxide의 DNA 손상작용은 linoleic acid의 초기신화에 의한 DNA손상작용 보다 크게 나타났고, 활성산소종의 영향은 없었다. 5. 지진산화생성물에 의한 DNA손상 작용은 천연 항산화성분(마늘 및 생강추출물) 및 활성산소소거제($\alpha-tocopherol 및 superoxide dismutase$의 첨가에 의하여 크게 억제되었다. 특히 . 마늘 및 생강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비롯하여 공액 diene 및 POV의 증가 또한 크게 억제하였다.

  • PDF

쥐에서 n3계 불포화지방산 식이의 혈장지질 저하효과와 과산화물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Lowering Effect and Peroxidation Level In Rats)

  • Choi, Joo S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6호
    • /
    • pp.408-417
    • /
    • 1990
  •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체중 약 450kg) 48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종류가 다른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실험식이를 6주간 투여하였다. 이때 지방을 15%(W/W)로, 불포화지방산인 n6 linoleic acid의 급원으로는 옥수수기름, n3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는 들기름, n3 EPA와 DHA의 급원으로는 생선유를 투여하되, 포화지방산과 monoenoic acid의 총량을 거의 같게 공급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영향만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유를 투여한 군의 cholesterol과 HDL-chol양은 옥수수기름과 들기름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의 혈장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능력은 n3 EPA+n3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어유와 들기름군이 n6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옥수수기름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더 컸다. Lipoprotein의 상대적인 함량은 식이 불포화지방산의 종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혈장과 적혈구 및 간의 토로페롤 수준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과산화산물 활성은 지방산의 불포화도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며 SOD활성의 증가로 인해 간조직의 과산화물의 수준이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