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and $\beta$-amylase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6초

Herpetosiphon geysericola 균주의 Amylase 생성 (Production of Amylases from Herpetosiphon geysericola)

  • 전영수;서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8-191
    • /
    • 1985
  • 퇴비 숙성초기에 고온성 cellulose 분해이용균으로 분리된 Herpetosiphon geysericola CUM 317균주는 전분분해 효소인 ${\alpha}-amylase,\;{\beta}-amylase$ 및 glucoamylase를 모두 생성한다. 이 균을 사용하여 그 배양조건을 달리하여 각 amylase의 생성관계를 서로 비교한바 50℃의 밀기울 고체배지나 $40^{\circ}C$의 액체배지상에서 ${\beta}-amylase$는 배양초기 10시간만에 최대의 생성력가를 보였는 반면,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는 30 내지 40시간 정도의 배양말기에 최대를 이루었다. Polypeptone을 함유한 액체배지에 탄소원의 첨가나 무기질소원의 첨가는 전반적으로 amylase들의 생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나 cellulose에 의해서 glucoamylase의 경우 150% 정도 증가되었다. 액체배지에 $CuSO_4$를 첨가해 줌으로서 ${\alpha}-amylase$만의 생성증가 효과를 얻었고 $CdSO_4$에 의하여 ${\beta}-amylase$만의 생성증가가 있었으며, 그리고 $CaCl_2$에 의하여 glucoamylase만의 증가효과가 있은 반면, 상대적으로 ${\beta}-amylase$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났다. 이들 amylase들의 최적 효소생성 pH는 7.5였으며, 최적온도는 ${\alpha}-amylase$와 glucoamylase의 경우 $40^{\circ}C$였고 ${\beta}-amylase$$30^{\circ}C$였다.

  • PDF

과요오드산 산화전분 변형에 의한 아밀라아제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Amylolytic Enzymes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61-564
    • /
    • 1998
  • The stabilizatio of amaylolytic enzyme such as $\beta$-amylase of barley, $\beta$-amylase of wheat, $\beta$-amylase of sweet potato, $\alpha$-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lpha$-amylase of Aspergillus sp. and $\alpha$-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was attained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The pH stability of modified enzyme was increased at pH 9 for $\beta$-amylase of sweet potato, pH 3~5 and 8~11 for $\beta$-amylase of barley, pH 2~3 and 7~12 for $\beta$-amylase of wheat and pH 6 for $\alpha$-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Thermal stability increased 17.6% for $\alpha$-amylase of Aspergillus sp. at 6$0^{\circ}C$ for 10min, 30% for $\alpha$-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t 10$0^{\circ}C$ for 5min and 4.5% for $\alpha$-amylase of sweet potato at 6$0^{\circ}C$ for 10min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enzymes.

  • PDF

떡노화에 대한 전분분해효소류의 효과 (Effect of Starch Degradation Enzymes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s)

  • 송재철;박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62-1269
    • /
    • 2003
  • 효소류의 떡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DSC 열특성의 검토에서 호화개시온도는 GP(glucoamylase+pullulanase)로 처리한 경우가 71.1$^{\circ}C$로 가장 낮고 그 다음이 $\beta$-amylase, $\alpha$-amylase 순이었다. 또 호화최대온도는 효소 처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서 대부분 낮은 편이었으며 그 중 GP처리한 것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떡의 용융 enthalpy는 GP, $\beta$-amylase, $\alpha$-amylase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GP의 용융 enthalpy값이 다른 경우보다 많이 낮게 나타났다. 재결정도는 GP의 값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vrami exponent(n)는 0.90 ∼ 1.20 범위에 있었으며 노화속도의 시간상수 1/k은 GP, $\beta$-amylase, $\alpha$-amylase, Control의 순이었다. 효소류를 첨가한 떡의 조직감은 대조구에 비해서 차이를 보였으며 종류별 효과는 GP, $\beta$-, $\alpha$-amylase의 순으로 나타났다. L* 값은 $\beta$-amylase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고 a* 값은 효소간 5% 수준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b* 값의 경우는 GP는 청색 방향으로, $\beta$-, $\alpha$-amylase는 반대인 황색 방향으로 변하였다. 효소 처리한 떡의 관능검사는 효소 처리한 것이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어 좋은 관능성을 보여주었다.

Aspergillus oryzae 의 alpha 및 beta-amylase 활성에 미치는 gibberellin 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gibberellin on alpha-and beta-amylase activities of Aspergillus oryzae)

  • 정기택;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8-74
    • /
    • 1968
  • Effects of gibberellin on alpha and beta-amylase activities of Aspergillus orygae var. microsporus have been studied.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growth of mycelium and dry weight of surface ped was accelerated by 0, 0001% gibberellin solution, spores of Aspergillus oryzae var. microsporus. were preveously soaked for three days. 2. Adding to culture media with 0, 0015% gibberellin, alpha-amylase was increased 50% much as beta-Amylase was as much as 50%.

  • PDF

보리와 밀 맥아 Amylases의 반응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ies on Amylases from Barley and Wheat Malt)

  • 김영휘;조정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31
    • /
    • 1991
  • 보리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의 대한 찹쌀과 멥쌀 전분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리와 밀의 발아 과정에서 ATP 함량은 발아 2일 후에 급격하게 증가하여 5일 후에는 감소하였으며, 건조 중량은 3일 후부터 감소하였다. 보리맥아와 밀 맥아의 ${\alpha}-amylase$$\;{\beta}-amylase$ 모두 6일째에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의 경우, 보리맥아에 존재하는 ${\alph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보리 맥아의 경우 멥쌀 전분에서 밀 맥아의 경우 멥쌀과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beta}-amylase$의 경우는 보리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 대해 친화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V_{max}$값은 밀 맥아의 효소가 찹쌀 전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질 효율성은 보리 맥아에서 추출한 ${\beta}-amylase$가 멥쌀 전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 PDF

Herpetosiphon geysericola 균주의 Amylase 부분정제 및 특성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mylases from Herpetosiphon geysericola)

  • 전영수;홍용기;서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8-135
    • /
    • 1987
  • 고온성 cellulose 분해이용세균인 Herpetosiphon geysericola CUM 317 균주가 생성하는 ${\alpha}-amylase$, ${\beta}-amylase$ 및 glucoamylase를 황산암모늄 염석,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CM-cellulose chromatography 방법으로 각각 부분정제하였다. 이들 ${\alpha}-amylase$, ${\beta}-amylase$ 및 glucoamylase의 감자 전분에 대한 Km치는 $2.31mg/m{\ell}$, $7.69mg/m{\ell}$$8.33mg/m{\ell}$였으며, 각 분자량은 84,000 dalton, 76,000 dalton 및 80,000 dalton의 크기로 나타났다.

  • PDF

주류 제조를 위한 효소 당화에 쌀의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Pre-treatment on Enzymatic Saccharification in the Brewing Process)

  • 안진옥;정장호;이승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7-283
    • /
    • 2017
  • 전통 양조법을 활용하여 인공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단맛이 보완된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문헌에 기록된 주류 제조 시 쌀의 전처리 8가지 방법 즉, 죽, 범벅, 설기떡, 구멍떡, 물송편, 인절미, 개떡, 고두밥과 누룩에 존재하는 당화효소인 ${\alpha}$-, ${\beta}$-glucoamylase에 의한 당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alpha}$-amylase에 의해 생성된 maltose의 경우 반응 초기에는 개떡 > 설기떡 > 범벅 > 물송편 > 죽 > 인절미 > 구멍떡 > 고두밥의 순이었으나 48시간 후에는 인절미 > 범벅 = 고두밥 > 구멍떡 > 개떡 = 물송편 > 설기떡 > 죽의 순서로 생성양의 차이를 보였다. ${\beta}$-amylase 처리구의 maltose 생성은 ${\alpha}$-amylase 처리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glucoamylase는 고두밥에서 약 10 mg/ml의 glucose가 생성되어 maltose의 생성과는 달리 8가지 전처리 방법 중 최대의 glucose 생성을 보였다.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 병행 처리한 경우는 ${\alpha}$-와 ${\beta}$-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생긴 말단에 glucoamylase가 작용하여 glucose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술덧의 당 함량 변화를 보면 쌀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최종 잔당 함량에 차이를 보여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멥쌀로도 단맛이 보완된 술을 제조할 수 있는 배합비와 제조공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발아조건별 당화용 엿기름의 분해효소 활성도 (Activities of Hydrolytic Enzymes in Barley Malts Prepared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 목철균;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24-329
    • /
    • 1999
  • 엿기름의 적정 제조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아조건를 달리하여 제조한 엿기름의 ${\beta}-glucanase$, ${\alpha}-amylase$${\beta}-amylase$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보리는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beta}-glucanase$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세포벽의 주요 구성다당류인 ${\beta}-glucan$이 분해되어 감소하였다. ${\beta}-Glucanase$ 활성은 $15^{\circ}C$의 발아온도에 비해 $18^{\circ}C$$21^{\circ}C$에서 발아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발아 6일경에는 최고값에 달하였다. 6조보리인 올보리의 ${\beta}-glucanase$ 활성이 2조보리인 진양보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올보리의 ${\alpha}-amylase$ 활성 역시 진양보리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6일간의 발아일수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발아보리의 ${\alpha}-amylase$ 활성은 발아온도 $15^{\circ}C$에서 가장 낮았고 $18^{\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1^{\circ}C$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beta}-Amylase$는 원맥에서 상당한 활성이 있었으며 발아과정중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5^{\circ}C$에 비해 $18^{\circ}C$$21^{\circ}C$에서 발아일수에 따른 ${\beta}-amylase$ 활성의 증가폭이 컸으며 발아 5일 이후부터는 효소활성도에 있어서 크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엿기름의 당화력(diastatic power)은 올보리가 진양보리에 비해 $1.4{\sim}1.9$배 정도 높았으며 $18^{\circ}C$에서 $5{\sim}6$일의 발아가 당화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발아조건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alpha$-Amylase 저해제 생산 방선균의 선별과 분류 및 $\alpha$-Amylase저해제의 분리와 Kinetics 연구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of Actinomycetes Producing $\alpha$-Amylase Inhibitors and the Isolation, their Kinetic Studies of $\alpha$-Amylase Inhibitors)

  • 김제학;김정우;김하원;심미자;최응칠;김병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3-232
    • /
    • 1985
  • 한국의 토양에서 분리한 균 중 bacterial $\alpha$-amylase에 저해효과가 있는 균주를 분리하여 DMC-47 균주라 명명하였고, 이 균주는 Streptomyces 속의 균임을 확인하였다. 이 균주를 옥수수 전분 배지에서 진탕 배양한 결과 4일후에 최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균주가 생성한 저해물질은 bacterial $\alpha$-amylase, pancreatic $\alpha$-amylase, salivary $\alpha$-amylase, glucoamylase에 저해효과를 보였고, $\beta$-amylase 에는 저해효과가 없었다.

  • PDF

팥 침출액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효소처리의 영향 (Effects of Enzym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Red Bean Percolate)

  • 황철승;정도영;김용석;나종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9-193
    • /
    • 2005
  • 팥 1차, 2차 및 3차 침출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0.82, 1.44 및 1.52mg/g으로서 침출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팥 침출액에 ${\alpha}-amylase$ 처리시 ${\circ}Brix$$1.0{\circ}Brix$ 정도 증가하였으며, ${\circ}Brix$의 증가는 효소처리보다 침출 횟수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침출액의 pH는 효소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3차 침출액에 ${\alpha}-$${\beta}-amylase$를 동시 처리한 경우 pH 4.7로서 대조구(pH 6.2)보다 많이 낮아졌다. 색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해 침출액의 L값이 감소하고 a와 b 값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육안으로 충분히 관찰할 수 있었다. 팥의 3차 침출액을 사용하여 음료 시제품을 제조한 결과 관능적인 면에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