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Pinen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4초

Study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New Zealand’s Tea Tree Essential Oil , Grapefruit Seed Extract and its major Component.

  • Han, Chang-Giu;Lee, Young-Woon;Zhoh, Choon-Koo;Kim, Byung-Hoo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9년도 IFSCC . ASCS 학술대회 발표 논문
    • /
    • pp.17-41
    • /
    • 1999
  • Manuka oil sometime named New Zealand's tea tree oil is soluble in oil and come from nature. The $\alpha$-pinene extracted from Manuka oil and R-limonene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 of extracted Citrex from Grapefruit were used to estim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antiseptic. Disk diffusion and broth dilution methods were used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Escherichia coli which is gram-negative bacteria and Staphylococcus aureus which is gram-positive bacteria were used as strai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for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is similar when the concentration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is 10${mu}ell$. However, Antimicrobial activity of Manuka oil for EscherEchta coli, Staphylococcus aureus is better than that of $\alpha$-pinene when the concentration of Manuka oil and $\alpha$-pinene is low. Antimicrobial activity of Citrex is superior to that of R-limonene. The proper ratio of Maunka oil and Citrex can Improve the antimicrobial activity. The proper ratio obtained from studies was 75% of Maunka oil and 25% Citrex for Escherichia coli, 25% of Maunka oil and 75% Citrex for Staphylococcus aureus.

  • PDF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잡초(雜草)중의 휘발성(揮發性) Terpene류(類)의 동정(同定) (An Identification of Volatile Terpenes in Allelopathic Weeds)

  • 전재철;한강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9-153
    • /
    • 1989
  •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4종(種)의 잡초(雜草) 중에 존재(存在)하는 휘발성(揮發性) terpene 물질(物質)을 GC 및 GC-MS로 동정(同定)하였다. 쑥에서는 26종(種)의 휘발성(揮發性) terpene 류(類)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였는데 이들은 monoterpene 16종(種)과 sesquiterpene 10종(種)이었다. 또한 토끼풀에서는 4종(種), 쇠비름과 냉이에서 각(各) 3종(種)이 확인(確認)되었다. 동정(同定)된 terpene 중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물질(物質)로는 쑥에서 ${\alpha}$-phellandrene, 1,8-cineole, limonene, ${\beta}$-pinene, borneol, selinene 및 caryophyllene, 토끼풀에서 ${\alpha}$-pinene과 ${\beta}$-caryophyllene, 그리고 냉이에서 ${\alpha}$-pinene 등이었고, 쇠비름 중에는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나타내는 휘발성(揮發性) terpene 류(類)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philippine piper betle leaves

  • Rimando, Agnes-M.;Han, Byung-Hoon;Park, Jeong-Hii;Magdalena-C. Cantori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93-97
    • /
    • 1986
  • Fourteen volatile components including eight allypyrocatechol analog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and ether soluble fraction of Philippine Piper bettle leaves (Piperaceae). The major constituents of Philippine Piper betle oil were chavibetol and chavibetol acetate. Capilary GC analysis of the oil showed chavibetol (53.1%), chavibetol acetate (15.5%), caryophyllene (3.79%), allypyrocatechol diacetate (0.71%), campene (0.48), chavibetol methylether (=methyl eugenol, 0.48%), eugenol (0/32%), $\alpha$-pinene(0.21%), $\beta$-pinene(0.21%), $\alpha$-limonene(0.14%), safrole (0.11%), 1.8-cineol(0.04%), and allylpyrocatechol monoacetate. The major component of the ether soluble fraction was allylpyrocatechol (2.38% of the leaves).

  • PDF

Direct Headspace Sampling 방법을 이용한 당근의 휘발성 Terpenoids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easuring Volatile Terpenoids in Carrots Using the Direct Headspace Sampling Method)

  • 박용;류장발;박상규;박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36-540
    • /
    • 1997
  • 고품질 당근을 육성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당근의 휘발성 terpenoids를 GC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여러가지 휘발성 terpenoids 표준물질을 DHS(direct headspace sampling)방법으로 검출한 결과 ${\alpha}-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alpha}-terpinene$, limonene, ${\gamma}-terpinene$, terpinolene 의 7가지 성분이 명확히 분리되었으나, ${\alpha}-phellandrene$${\beta}-myrcene$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았다. 또한 terpinen-4-ol, bornyl acetate, ${\alpha}-bisbolol$ 등 비등점이 높은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7가지 terpenoids 성분의 표준곡선은 결정계수$(r^2)$가 전부 0.99 이상으로서 고도로 유의한 표준곡선이었다. DHS 방법을 통한 본실험의 재현성을 측정한 결과, ${\alpha}-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limonene, ${\gamma}-terpinene$, terpinolene, total terpenoids의 변이 계수(C.V.)가 각각 6.8, 6.8, 8.4, 7.1, 3.8, 10.1, 7.1%로 $3.8{\sim}10.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세계적으로 많이 재배되는 당근 65품종에 대한 ${\alpha}-pinene$, ${\beta}-pinene$, ${\beta}-myrcene$, ${\alpha}-terpinene$, limonene, ${\gamma}-terpinene$, terpinolene, total terpenoids를 측정한 결과, 각각 $0.28{\sim}2.48\;ppm$, $0.35{\sim}1.87\;ppm$, $0.56{\sim}1.51\;ppm$, 0 ppm, $0.59{\sim}1.84\;ppm$, $0.87{\sim}3.33\;ppm$, $5.15{\sim}35.81\;ppm$, $9.07{\sim}42.30\;ppm$으로서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Total terpenoids 의 경우 65품종 중 5품종(7.7%)이 10 ppm미만이고, 15품종(23.1%)이 $10{\sim}11.99\;ppm$, 14품종(21.5%)이 $12{\sim}13.99\;ppm$, 9품종(13.8%)이 $14{\sim}15.99\;ppm$, 10품종(15.4%)이 $16{\sim}17.99\;ppm$, 4품종(6.2%)이 $18{\sim}19.99\;ppm$, 5품종(7.7%)이 $20{\sim}29.99\;ppm$, 3품종(4.6%)이 30 ppm 이상이었다. 전반적으로 일본에서 육성된 품종이 구미에서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는 품종들에 비해 total terpenoids 함량이 낮은 편이었다.

  • PDF

소나무, 해송(海松) 및 리기다소나무에 있어서 건전엽(健全葉)과 솔잎혹파리 피해엽(被害葉)의 생화학적(生化學的) 물질비교(物質比較) (Biochemical Substances from Normal Needles and Infested Needles Attacked by Thecodiplosis japonensis in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and Pinus rigida)

  • 한상억;이돈구;전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9-55
    • /
    • 1980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에 대(對)한 솔잎혹파리 피해엽(被害葉)과 건전엽(健全葉)에서 monoterpene조성, phenoanl물질(物質), 생장(生長) 물질(物質), 전질소함량등을 비교(比較)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onoterpene성분중(成分中) 소나무에 많이 나타난 성분(成分)은 ${\beta}$-phellandrene, ${\alpha}$-pinene이며, 리기다소나무에 많이 나타난 성분(成分)은 ${\beta}$-pinene, ${\alpha}$-pinene 이었다. 그리고 저항성수종인 리기다소나무의 솔잎혹파리 피해엽(被害葉)은 건전엽(健全葉)에 비(比)하여 ${\alpha}$-pinene, ${\beta}$-pinene과 myrcene의 성분함량(成分含量)이 많았고, camphene, limonene과 ${\beta}$-phellandrene은 적었다. 2. 저항성 수종인 리기다소나무에서는 감수성수종인 소나무에서 나타나지 않은 Phenol물질(物質)인 salicylic acid와 하나의 미지물(未知物)이 더 검출되었다. 3. IAA의 선구물질인 tryptophan이 충영부위와 유충(幼虫)에서 모두 검출되므로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에 생장물질(生長物質)이 관여한다는 것을 보였다. 4. 침엽(針葉)의 단위무게당 질소함량은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간에 또한 피해엽(被害葉)과 건전엽간(健全葉間)에 모두 유의차가 없었다.

  • PDF

SPME법에 의한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잎과 열매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and Frui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by Headspace SPME)

  • 조민구;김휘;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0-45
    • /
    • 2003
  • 산초나무는 잎에서 총 52개, 열매에서 48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4개 지역에서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E)-2-hexenal, ${\alpha}-pinene$, (Z)-ocimene+limonene, estragole, germacrene-d 이였으며, 열매에서는 estragole이였다.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성분은 잎에서만 검출되었고, undecanone 성분은 열매에서만 나타났다. 지역간 큰 차이를 보인 잎의 정유성분은 hexanal, azulene이었고, 열매에서는 (Z)-ocimene+limonene이였다. 초피나무 잎에서 총 30개, 열매에서 27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백양사와 내장사지역의 성분이 ${\alpha}-pinene,\;{\beta}-phellandrene$, 1,8-cineole, citronellal이였고, 통도사 지역은 (Z)-3-hexenol, (E)-2-hexenal, ${\alpha}-pinene$, myrcene이 주요성분 이였다. 백양사와 내장사에서 채취한 열매의 공통 성분은 myrc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이였고, 통도사에서는 ${\beta}-phellandr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이 주성분이였다.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배출되는 주요 테르펜의 배출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to Source Profile of the Major Terpenes from Pine Tree and Korean Pine Tree)

  • 지동영;김소영;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15-525
    • /
    • 2002
  •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mission rate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from pine trees. In addition, the influences of meteological variables on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A vegetation enclosure chamber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of Tedlar bag and acril. Sorbent tubes made up of Tenax TA and Carbotrap were used to collect biogenic VOCs emitted from each individual tree. Analysis of BVOCs was performed using a GC-FID system. The fundamental analytical parameters including linearity, retention time, recovery efficiency, and breakthrough volume were examined and verified for the determination of monoterpene emission rates. Total averag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is found to be $\alpha$-pinene (16.5), $\beta$-pinene (4.61) from pine trees, and $\alpha$-pinene (42.4), $\beta$-pinene (18.7 ng(gdw)$^{-1}$ hr$^{-1}$ ) from Korean pine trees. On the basis of our study, $\alpha$-pinene was found to be the major monoterpene emitted from both pine and Korean pine trees which were accompanied by $\beta$-pinene, camphene, and limonene. In ambient air, variable monoterpene compositions of emissions from pine trees were similar to Korean pine trees. Emission rates of monoterpene from each tree were found to depend on such parameters as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Comparison of Aromatic and Natural VOC Concentrations in the Ambient Air

  • Kim, Jo-Chun;Kim, Ki-Joon;Woo, Young-Sun;Han, Jin-Suk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ean Environment
    • /
    • pp.55-58
    • /
    • 2003
  • The ambient concentrations of benzene, toluene, and $\alpha$-/$\beta$-pinene were measured from July, 2002 to August, 2002 at the Gumsung mountain site in Jeonnam province. The mean concentration of benzene for this study was $62.6{\pm}43.9$ pptv (Min. 20.4 ~ Max. 151.2 pptv) , and that of toluene was 619.8 ${\pm}$ 330.2pptv (264.8~1, 386pptv). It was observ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alpha$ -pinene and $\beta$ -pinene were $169.0{\pm}97.7$ pptv (72.9~396.1pptv) and $11.2{\pm}27.9$pptv (7.5 ~95.9 pptv) , respectively. The ambient concentrations of aromatic and natural VOCs were found at the pptv level. In this study, the toluenelbenzene ratios were $13.9{\pm}11.2$ , but they we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found in the domestic study and approximately 5 times greater than the values in the foreign study. The $\beta$ -/ $\alpha$ -pinene ratios ranged between 0.05 and 0.55, and this range was found to be similar in the foreign study.

  • PDF

순수 로즈마리 정유제품의 생산국별 향기성분과 항산화 활력 (Aroma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e Rosemary Essential Oil Goods Produced in Different Countries)

  • 우진호;목민균;한고운;이상용;박권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96-700
    • /
    • 2010
  • 국내외에서 유통되고 있는 로즈마리 정유 31점을 수집하여 GC통한 유효성분분석과 항산화 활력시험을 실시하였다. 주요 성분은 ${\alpha}$-pinene, camphene, ${\beta}$-pinene, 1.8-cineol, verbenone 및 borneol 등이 동정되었다. 주요성분에 따라 생산국별로 함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프랑스 원산 정유의 품질이 우수하였고, 국내에서 재배하여 추출한 정유가 ${\alpha}$-pinene과 camphene의 함량이 높았다. ISO가 제시한 9가지 성분의 함량을 충족하는 제품은 총 31점 중 5점(16%)으로 낮았다. 전자공여능(EDA)은 4.8-96.0%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60%이상의 항산화능 활력을 갖는 정유는 13%였다. 특정 성분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력정도의 차이는 일치하지 않았으며, 스위스 원산의 정유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력을 보였다.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품종(品種) 육성(育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2.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의 계절적변화(季節的變化) (Breeding of Varieties of Pines Resistant to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I) -Seasonal Variation of Needle Monoterpene Composition in Resistant Pinus thunbergii.-)

  • 김정석;홍성호;류장발;최철;김종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0
    • /
    • 1976
  • 솔잎혹파리 내충성(耐蟲性) Pinus thunbergii의 선발목(選拔木) 7~15개체(個體)와 피해목(被害木) 8~15개체(個體)에 대(對)하여 침엽내(針葉內) monoterpenes 조성(組成)을 1월(月)과 6월(月)에 각각(各各) 조사(調査)하고, 그리고 솔잎혹파리의 산란(産卵) 선택성(選擇性)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월중(月中)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成分)은 myrc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alpha}$-pinene, camphene과 ${\beta}$-pinene이다. 그리고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증가(增加)하는 성분은 ${\alpha}$-pinene, camphene, limonene, ${\beta}$-phellandrene과 terpinolene이고, 감소(減少)하는 성분(成分)은 ${\beta}$-pinene과 myrcene이다. 2. 6월(月)에 선발목(選拔木)이 피해목(被害木)보다 limonene은 6.8%가 증가(增加)하고, ${\beta}$-pinene은 9.2%가 감소(減少)한다. 3. 선발목(選拔木)에도 피해목(被害木)에서와 같이 상당(相當)한 수(數)의 산란(産卵)을 하나 충영형성율(蟲癭形成率)은 대단(大端)히 저하(低下)한다. 이상(以上)을 요약(要約) 결론(結論)하면 본(本) 연구(硏究)로 Pinus thunbergii 침엽내(針葉內)의 monoterpene 중(中) limonene과 ${\beta}$-pinene의 양성분(兩成分)은 계절(季節)에 관계(關係)없이 내충성(耐蟲性) 검정(檢定)에 유효(有效)하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