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pha$+$\beta$상

Search Result 24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timutagenic Effects and Compounds Identified from Hexane Fraction of Persimmon Leaves (감잎 핵산획분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돌연변이 물질의 GC-MS를 이용한 동정)

  • Moon, Suk-Hee;Kim, Jeong-Ok;Rhee, Sook-Hee;Park, Kun-Young;Kim, Kwang-Hyuk;Rhew, Tae-H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2 no.3
    • /
    • pp.307-312
    • /
    • 1993
  • Methanol extract of dried persimmon leaves was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aqueous tractions. Hexane, butanol, and aqueous fractions had high yields of extracts. Hexane fraction among these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rate on the mutagenicities of aflatoxin (AFB$_1$), dimethyl-amino-bi-phenyl (DMAB),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and 4-nitroquinoline-1-oxide (4-NQO)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Hexane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eight 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he fraction 5 on TLC exhibited the highest antimutagenic activity on AFB$_1$, DMAB, and MNNC. 1'-oxocannabinol, 3B-acetoxy-17-methyl-5a-18 (13-17) abeoardrost-13-one, 4-methoxy-2'6'-dinitro-3, 5-di-t-butylbiphenyl, 8, 9-dihydro-5, 6-dimethoxy-dibenz [c, h]isoquino [2, 1, 8-1 ma]carbazole-11, 16-dione were tentatively identified from this antimutagenic fraction by GC-MS.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Antioxidants in Korean Pomegranate Husk (Granati pericarpium) Cultivated in Different Site (HPLC에 의한 산지별 한국산 석류과피 중 항산화화합물의 함량분석)

  • Kwak, Hye-Min;Jeong, Hyun-Hee;Song, Bang-Ho;Kim, Jong-Guk;Lee, Jin-Man;Hur, Jong-Moon;Song, Kyung-Sik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8 no.4
    • /
    • pp.431-434
    • /
    • 2005
  • The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for major antioxidants, ellagic acid and punicalagin, in pomegranate husk (Granati pericarpium) were established by HPLC. The optimal HPLC conditions were as follows: Column; Agilent Zorbax Eclipse XDB-C18 ($4.6{\times}150mm,\;5{\mu}m$), mobile phase; 1% formic acid in water (A) and 1% formic acid in MeCN (B) (gradient elution of 5% to 100% B for 50 min), flow rate; 0.8 ml/min., detection; UV 254 nm. The optimal pre-treatment conditions for HPLC analysis were as follows: 5 g of pomegranate husk in 100 ml of 95% EtOH, refluxed for 3 h. Under these analytical conditions, punicalagin and ellagic acid contents in Korean pomegranates husks which were cultivated in five different sites were determined. As results, the ellagic acid and punicalagin (as a mixture of ${\alpha-\;and\;{\beta}-anomer$)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Haepyung pomegranate husk $(15.27{\mu}g/mg)$ and Jangsung pomegranate husk $(16.21{\mu}g/mg)$, respectively.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Queso Blanco Cheese (퀘소블랑코 치즈의 감마선 조사 처리 효과)

  • Jeong, Seok-Geun;Noh, Young-Bae;Shin, Ji-Hye;Han, Gi-Sung;Chae, Hyun-Seok;Yoo, Young-Mo;Ahn, Jong-Nam;Lee, Ju-Woon;Jo, Cheor-Un;Lee, Wan-Kyu;Ham, Jun-Sang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25 no.1
    • /
    • pp.15-20
    • /
    • 2007
  •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chemical, microbiological, and immunological changes of Queso Blanco cheese were investigated. Although Queso Blanco cheese was made by heat pasteurization at 85$^{\circ}$C and addition of acid without lactic starter culture, total bacterial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of control cheese were 7.65${\pm}$0.04 and 7.64${\pm}$0.02 log CFU/mL, respectively. It was thought that this microbial growth was due to the incomplete inactivation of raw milk by the heat treatment, resulting into growth during the pressing and the drying process.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hat if heat- and acid-resistant hazard microbes are present in raw milk, they can grow during the processes.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of the irradiated cheese were 5.45${\pm}$0.02 log CFU/mL at 1kGy, 2.12${\pm}$0.12 log CFU/mL at 2kGy, and not detected at 3kGy or higher doses. The reduction of antigenicity by gamma irradiation was not found. It might be caused by the fact that most whey proteins of milk, a major antigen in milk, were already denaturated by heat process and removed during the draining.

  • PDF

Nutrition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식용피의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 Lee, Yun-Sang;Yoon, Hyang-Sik;Lee, Sang-Yeong;Lee, Joung-Kwan;Park, Chul-Soo;Se, Woo-Duck;Kim, So-Young;Woo, Sun-Hee;Song, In-Gyu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5 no.3
    • /
    • pp.644-649
    • /
    • 2012
  • The edible barnyard millets(Echinochloa spp.) which have essentially vanished in the farmhouses environment and in agricultural germplasm were evaluated with the aim of restoration as a crop. The proximate components and mineral elements of milled millet were nutritionally similar or better than brown rice, and the vitamin contents of $B_1$ and $B_2$ exceeded those of rice by 1.3 times and 2.3 times, respectively. ${\beta}$-Carotene which is absent from brown rice was detected at levels ranging from 15~31 ${\mu}g$ in millet samples. Nine essential amino acids, including histidine and arginine and eight non-essential amino acids, such as aspartic acid were detected. The sum of all amino acids was determined to be IEC518>525>510 in the range of 69~106 mg/g.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via their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revealed values ranging from 3.4~8.2%, with the total polyphenol component being 51.1~69.4 mg/g and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bility determined as 8.3~10.9%. In terms of agronom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barnyard millet, three millet varieties(IEC510, 518, and 525) were suitable as edible crops. IEC525 was selected as optimum variety for cultivation on the basis of nutritional ingredients,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nd yield.

A Study on the Variation of Rn-222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at Busan-Geumjeong area (부산 금정구지역의 지하수에 포함된 라돈농도 변화 연구)

  • Cho, Jungg-Sook;Lee, Hyo-Min;Kim, Sun-Woong;Kim, Jin-Seop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37 no.3
    • /
    • pp.149-158
    • /
    • 2012
  • In this paper, we measured the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using low-level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LSC), an instrument for analyzing the alpha and beta radionuclides at its 10 sites around the Kumjung-Gu, north-western of Busan. Optimization of Pulse Shape Analyzer (PSA) to determinate the highest value of figure of merit (FM) was decided using Quantulus 1200 LSC with radium-226 source, the optimal PSA level was shown in the range of 100 to 110. The results show that the Minimum Detectable Activity (MDA) of radon concentrations is 0.61 $Bq{\cdot}L^{-1}$ for 20 minutes in PSA level. We find that the average rado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is high in granitic rock area and low in volcanic rock area. (Biotite granite : 191.39 $Bq{\cdot}L^{-1}$, Micro graphic granite : 141.88 $Bq{\cdot}L^{-1}$, Adamellite : 92.94 $Bq{\cdot}L^{-1}$, Andesite (volcanic) : 35.35 $Bq{\cdot}L^{-1}$). No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pattern is observed from the long-term variation analysis from 10 selected sites. We have not seen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radon concentration to groundwater temperature, atmospheric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and rainfall. The concentration variation is probably caused by more complex factors and processes.

CLINICAL STUDY OF POLYPOID VOCAL CORDS (REINKE'S EDEMA) (폴립양 성대의 임상적 고찰)

  • 정광윤;최종욱;유홍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32-32
    • /
    • 1991
  • 성대의 점막하 조직의 부종을 특징으로 하는 폴립양 성대는 음성의 남용 및 상기도에 대한 다양한 자극 요인들에 의하여 발생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부종의 기전 및 병태에 대하여도 혈괴의 유리화 현상(hyalinization), 또는 단순한 혈관의 투과력 증대 등의 논란이 많은 실정에 있어 치료방법 역시 학자에 따라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폴립양 성대의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최근 5년간 본 교실에서 경험한 폴립양 성대 34례(남자 18예, 여자 16예, 평균연령 53.7세)에 대한 임상 소견 및 저자들의 치료 성적을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별로는 총 34예중 양측 23예(67.6%), 편측 11예(32.4%)이었다. 2. 동반질환으로 성대에 타 질환이 있었던 예가 9예(후두용 5예, 과각화증 3예, 성대마비 1예 ; 26.5%), 수면무호흡증 5예(14.7 %)이었으며 전신질환이 있었던 예가 4예(기관지 천식 2예, 폐결핵 2예 ; 11.8%)이었다. 3. 유발요인으로는 음성남용 7예(20.6%), 상기도감염 3예(8.8%), 흡연 26 예 (76.5%)이었다. 4. 공기역학검사 및 청각심리검사가 가능하였던 14예에서 최대발성지속시간이 정상이하이었던 예가 10예(71.4%), 발성율이 정상이상이었던 예가 9예 (64.3%)이었으며, 애성의 특징도 조호성(rough)이 10예(71.4%)로 가장 많았다. 5. 총 34예를 sucking technique를 적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였는데 음성이 호전된 경우는 32예(정상 15예, 호전 17예 : 94.1%)이었으며 호전되는데 걸린 평균 기간은 2.8개월이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폴립양 성대는 국소 또는 전신적으로 동반질환이 많고 흡연 등의 만성 자극 요인이 있으며 술후 음성 호전에 걸리는 기간이 길어 보다 복합적인 측면에서 치료에 임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ith such configuration.trap with 2.88[eV] deep of injected space charge from the chathode in the crystaline regions. The origin of ${\alpha}$$_2$ peak was regarded as the detrapping process of ions trapped with 0.9[eV] deep originated from impurity-ion remained in the specimen during production process of the material, in the crystalline regions. The origin of ${\beta}$ peak was concluded to be due to the depolarization process of "C=0"dipole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0.75[eV] in the amorphous regions. The origin of ${\gamma}$ peak was responsible to the process combined with the depolarization of "CH$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 PDF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Metallothionein Gene Sequence of an Indigenous Species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in Korea (한국 고유종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산골조개) 의 metallothionein 유전자를 기초로 한 분자계통 분류학적 연구)

  • Baek, Moon-Ki;Lee, Jun-Seo;Kang, Se-Won;Lee, Jae-Bong;Kang, Hyun-Jung;Jo, Yong-Hun;Noh, Mi-Young;Han, Yeon-Soo;Choi, Sang-Haeng;Chae, Sung-Hwa;Park, Hong-Seog;Lee, Jun-Sang;Lee, Yo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5 no.2
    • /
    • pp.153-160
    • /
    • 2009
  •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is a freshwater snail and lives in spring water near mountain areas. Interestingly, this snail has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medicinal food, and thus has been used as folk remedies for healing broken bones. Recently, alpha classification on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through redescription has been conducted. However, not much attention has been made in beta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beta classification based on metallothionein (MT) genes found from various organisms. To this end, the complete cDNA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the Expressed Sequence Tag (EST) sequencing project of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The coding region (315 bp) encoded an amino acid sequence of 105 residues. The combined results from BLAST analyses,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nd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Pc-MT gene indicate that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has similarity to freshwater bivalve such as Dreissena polymorpha (zebra mussel), Unio tumidus (swollen river mussel) and Crassostrea ariakensis (suminoe oyster).

  • PDF

Determination of Heterocyclic Amines in Roasted Fish and Shellfish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가열 조리된 어패류에서의 heterocyclic amines 함량 분석)

  • Lee, Jae-Hwan;Back, Yoo-Mi;Lee, Kwang-Geun;Shin, Han-Seung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1 no.3
    • /
    • pp.326-333
    • /
    • 2009
  • Heterocyclic aromatic amines (HCAs) are mutagenic and carcinogenic substances that are formed during the heating of protein-rich foods. HCAs are generally found at low amounts in a complex matrix, which requires sophisticated analysis. In this study, HCAs were extracted from lyophilized fish and shellfish samples using solid-phase extraction (SPE) and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LC-ESI-MS). The HCA recoveries in the fish and shellfish ranged from 15.7 to 74.7% with standard deviations from 0.2 to 7.63%. And HCA concentrations ranged from 0.8 to 1,117.7 $ng/g^{-1}$ in cooked food samples. 1-methyl-9H-pyrido[3,4-b]indole (Harman), 9H-pyrido[3,4-b]indole (Norharman), and 2-amino-1-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 (PhIP) were the most abundant HCAs formed in the muscle of fried mackerel, at levels of 1,117.7, 926.6, and 133.7 ng/g, respectively. 3-amino-1-methyl-5H-pyrido[4,3-b]indole (Trp-P-2), 2-aminodipiryrido[1,2-a:3,2-d]imidazole(Glu-P-2), 2-amino-9H-pyrido[2,3-b]indole(A${\alpha}$C), 2-amino-3methyl-9H-pyrido [1,2-a:3,2-d]imidazole(MeA${\alpha}$C), 2-amino-3,4,7,8-tetramethylimidazo[4,5-f]quinoxaline (TriMeIQx), 2-amino-3,7,8-trimethylimidazo [4,5-f]quinoxaline(7,8-DiMeIQx), and 2-amino-3,8-dimethylimidazo[4,5-f]quinoxaline (MeIQx) were only detected by small quantities ranged from 1.5 to 98.6 ng/g. Overall,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HCA levels in fish and shellfish products consumed in Korea.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Exolytic GH50A β-Agarase and GH117A α-NABH Involved in Agarose Saccharification of Cellvibrio sp. KY-GH-1 and Possible Application to Mass Production of NA2 and L-AHG (Cellvibrio sp. KY-GH-1의 아가로오스 당화 관련 엑소형 GH50A β-아가레이즈와 GH117A α-NABH의 특성 및 NA2와 L-AHG 양산에의 적용 가능성)

  • Jang, Won Young;Lee, Hee Kyoung;Kim, Young H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1 no.3
    • /
    • pp.356-365
    • /
    • 2021
  • Recently, we sequenced the entire genome of a freshwater agar-degrading bacterium Cellvibrio sp. KY-GH-1 (KCTC13629BP) to explore genetic information encoding agarases that hydrolyze agarose into monomers 3,6-anhydro-L-galactose (L-AHG) and D-galactose. The KY-GH-1 strain appeared to possess nine β-agarase genes and two α-neoagarobiose hydrolase (α-NABH) genes in a 77-kb agarase gene cluster. Based on these genetic information, the KY-GH-1 strain-caused agarose degradation into L-AHG and D-galactose was predicted to be initiated by both endolytic GH16 and GH86 β-agarases to generate NAOS (NA4/NA6/NA8), and further processed by exolytic GH50 β-agarases to generate NA2, and then terminated by GH117 α-NABHs which degrade NA2 into L-AHG and D-galactose. More recently, by employing E. coli expression system with pET-30a vector we obtained three recombinant His-tagged GH50 family β-agarases (GH50A, GH50B, and GH50C) derived from Cellvibrio sp. KY-GH-1 to compare their enzymatic properties. GH50A β-agarase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exolytic β-agarase activity among the three GH50 isozymes, catalyzing efficient NA2 production from the substrate (agarose, NAOS or AOS). Additionally, we determined that GH117A α-NABH, but not GH117B α-NABH, could potently degrade NA2 into L-AHG and D-galactose. Sequentially, we examined the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GH50A β-agarase and GH117A α-NABH, and assessed their efficiency for NA2 production from agarose and for production of L-AHG and D-galactose from NA2, respectively.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benefits of recombinant GH50A β-agarase and GH117A α-NABH originated from Cellvibrio sp. KY-GH-1, which may be useful for the enzymatic hydrolysis of agarose for mass production of L-AHG and D-galact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