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 Autumn"

검색결과 2,594건 처리시간 0.028초

바이바롤(${Bayvarol}^{(R)}$)의 꿀벌응애(Varroa jacobsoni)에 대한 효능 및 꿀벌에 대한 안전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fficacy of $Bayvarol^{(R)}$ against Mite(Varroa jacobsoni) and Safety of Bayvarol^{\circledR}$ in Honey Bees)

  • 김병기;강승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87-896
    • /
    • 1995
  •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Bayvarol^{(R)}$ strips(Bayer AG) against the mite Varroa jacobsoni and the safety of $Bayvarol^{(R)}$ strips in honey bees, a series of trials was carried out under field condition in autumn and spring.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varroacidal rate of $Bayvarol^{(R)}$ strips was 92.7% in autumn and 93.7% in spring. However the average varroacidal rats of treated control group was 73.8 % in autumn and 75.1 % in spring, and that of untreated control group was 12.1 % in autumn and 16.1 % in spring. 3. The average number of dead bees in $Bayvarol^{(R)}$ group was 13.0 in recommended dosage(RD), 12.3 in 2 times of RD and 14.0 in 4 times of 70 in autumn, and 19.7 in RD,17.0 in 2 times of RD and 19.0 in 4 times of RD in spring. However the average number of dead bees in treated control groups was 38.3 in RD, 62.7 in 2 times of RD and 60.3 in 4 times of RD in autumn and 18.0 in RD, 43.3 in 2 times of RD and 102 in 4 times of RD in spring and that of untreated control of group was 12.7 in autumn and 19.3 in spring. 3. The varroacidal effects and the number of dead bees of all groups were higher in spring than in autumn. 4. It was revealed that $Bayvarol^{(R)}$ were highly saft and effective varroacides for honey bees.

  • PDF

Relationships between Calving Season and the Incidence of Postpartum Disorders, Milk Yield,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 Jeong, Jae-Kwan;Kang, Hyun-Gu;Kim, Ill-Hw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251-257
    • /
    • 2018
  • We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ving season and the incidence of postpartum disorders, milk yield,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Data regarding cow parity, postpartum disorders, milk yield, and reproduction were collected from 1,478 lactations. The incidence of retained placenta was higher in spring- and summer-calving cows than in autumn- and winter-calving cows (P < 0.05). The incidence of septicemic metritis was highest in spring- and summer-calving cows, and was higher in autumn-calving cows than in winter-calving cows (P < 0.05). The incidence of metabolic disorders was higher in summer-calving cows than in autumn- and winter-calving cows (P < 0.01). The mean milk yield 1 and 2 months after calving was higher in spring-calving cows than in summer-calving cows (P < 0.05). The percentage of cows that had resumed cycling, defined by detection of a corpus luteum using ultrasonography 4 weeks after calving, was highest in autumn-calving cows, and was higher in summer- and winter-calving cows than in spring-calving cows (P < 0.05). The hazard of first insemination by 150 days after calving was higher in summer- and autumn-calving cows (hazard ratio [HR] = 1.19; P < 0.05) than in spring-calving cows. The hazard of pregnancy by 210 days after calving was also higher in summer-calving (HR = 1.24; P < 0.05) and autumn-calving (HR = 1.59; P < 0.0001) cows than in spring-calving cows. The probability of conception at the first insemination was higher (P < 0.0001) in autumn-calving (odds ratio [OR] = 1.96) and winter-calving (OR = 2.04) cows than in spring-calving cows. In conclusion, spring calving is associated with the worst, and autumn calving with the best, postpartum heal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whereas milk yield is higher in spring-calving cows than in summer-calving cows. Therefore, an effective strategy to support postpartum health and fertility should be instituted for spring-calving dairy cows kept in the Korean climate.

만추 방목기간의 연장이 이듬해 봄 목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on Grass Growth in Following Spring)

  • 조익환;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1-168
    • /
    • 2000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on grass growth in following spring, in order to improve the rate of self-sufficiency for roughage feed. Plant height, total biomass and litter production of herbage were increased when the grazing was finished early in late autumn. The proportions of clover and litter, and amounts of animal intake were decreased, with extended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But when the grazing was finished late in autumn,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 of herbage were increased, contents of acid detergent fiber (ADF, %), neutral detergent fiber (NDF, %) and crude ash (%) were decreased in pasture after grazing, therefore the content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herbage were improved. The early end grazing showed that plant height, total biomass and litter production of herbage in following spr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late end grazing. However, increased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nd grazing treatments (0.12-0.15 tonha), except for the final end grazing in late autumn (0.01 tonha). With extended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the contents of CP of herbage in following spring were increased, contents of ADF, were decreased, and RFV were improved. (Key words :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Plant height, Biomass, Amount of intake, Increased yield, Crude protein, TDN) rll\ulcorner c# qiil x i 9 ~ 1 a% *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Taegu Univ., Kyongsan, 71 2-714, Korea) * $4 4 qiil 34 qq(Co1lege of Liberal Arts & Sciences, Yonsei Univ., Wonju, 220-701, Korea) '* 8 * jL@%ft@ &@%(Faculty of Agriculture, Hokkaido Univ., Sapporo, 060 Japan)

  • PDF

한국의 추계한발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Synoptic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Autumn Droughts in Korea)

  • 양진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69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에 있어서 추계한발의 출현빈도 분포특성과 한발시 지상기압장 및 500hPa면의 종관기후학적 특성을 평년과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의 추계 한발의 출현빈도 분포는 월별 지역적 강수변동률의 분포에 따라서 9월은 한반도의 남서부 및 중서부가 높고 동안이 낮아서 서고동저유형, 10월은 한발 출현빈도의 지역차가 작은 균등분포 유형을 나타내며, 11월은 내륙지방은 낮고 해안지방이 높아서, 월별로 상이하다. 지상 및 500hPa면의 기압 및 고도편차 분포에서 조추의 한발시 한반도 주변은 음의 편차역에 속하며, 500hPa면에 있어서 양의 편차역은 오호츠크해를 중심으로 해서 남동쪽으로 북태평양을 종단하여 발달함으로 이 지역에서의 저지고기압 및 기압능의 출현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동성 고기압 등 한발을 유발시키는 기압계가 한반도 주변에서 정체될 때 한발이 발생한다. 만추의 한발시에는 지상 및 500hPa면에 있어서 기압 및 고도분포가 한반도를 기준으로 서고동저형을 나타내어 한반도 주변은 대상풍의 풍속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에 있어서의 조추와 만추 한발시의 메커니즘이 상이함을 나타낸다.

  • PDF

청초(淸初) 학술계의 춘추학(春秋學)에 대한 이해와 평가 - 『사고제요(四庫提要)』 「경부(經部)·춘추류(春秋類)」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Spring Autumn-Hak by Academic Circle of the Early Qing Dynasty - Focused on 「Gyeongbu·Spring Autumn」,『Sagojeyo』)

  • 김동민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37-370
    • /
    • 2011
  • 청초의 학술계는 "사고제요"의 편찬이라는 사건을 계기로 한학(漢學) 중심의 학술사조가 새롭게 형성되었으며, 춘추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고제요"의 춘추관(春秋觀), 그 중에서도 특히 전통적인 춘추학(春秋學)의 전개 과정과 양상에 대한 "사고제요"의 이해와 평가를 살펴보았다. "사고제요"에서는 공양학(公羊學)과 곡량학(穀梁學), 그리고 송학(宋學) 계열 학자들의 "춘추"해석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했는데, 그것은 춘추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 사업의 성격을 띤다. "사고제요"에서는 "좌씨전"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도 그 단점을 과감하게 지적하고, 그것의 보완을 위해 "공양전"과 "곡량전"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을 요구한다. 심지어 주요 비판의 대상인 송대 춘추학 분야에 대해서도 학파적 편견을 최대한 배제한 채,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평가하려고 노력하였다. "사고제요"에서 이와 같은 세밀하고 객관적인 분석이 선행되었기 때문에 춘추학 분야는 "사고제요"의 편찬을 기점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었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고증과 의리 담론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은 청초 한학 중심의 학술계에서 발굴한 주요 성과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하추잠작 안정을 위한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Cocoon Crops in Summer and Autumn in Korea)

  • 이상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
    • /
    • 1974
  • 우리나라의 다회육 육잠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하추잠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각종 요인 및 동요인이 실용형질에 미치는 경향을 구명코저 실시한 수개시험중 사육시기별 잠작에 관한 시험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에서 3회육 이상의 다회육을 할 경우 사육시기별 잠작의 정도를 구명코저 연간 11기를 4개장소, 3개년에 걸처 실시하였고, 결과에서 하추잠작이 불량했던 원인을 알고저 실시한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에서는 우리나라 전형적인 양잠농가로 추정되는 19호에 대한 주재 관찰조사 및 실험분석을 통한 실제의 불작요인을 조사하였다. 동조사에서 지적된 불작요인을 개선할 경우의 효과를 알고저 실시한 육잠기술 지도효과에서는 춘추 연40개 농가에게 불작요인을 개선 지도하였을 때 얻어지는 지도효과를 지도전년, 지도당년, 지도후년, 육잠기술 상, 하위 농가 및 춘추별로 인근 춘추 연758농가를 대조로 비교분석 하였다. 이상에서 간제되는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 추이를 알고저 시기별로 채취한 상엽분말을 동일시기 인공사료육을 통해서 양부의 판정을 시도하였고 이상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 영양 및 온도조건이 하, 초추잠작에 있어서 누에 계량형질에 미치는 정도를 알고저 하잠시험에서는 치, 장잠별 엽질과 온도 등 4개요인을 하, 초추잠시기의 양부조건 2개수준(2$^4$), 초추잠시험에서는 하잠과 같은 4개요인에 변온 혹은 경엽구 1개수준을 추가한 3개수준(3$^4$)의 요인시험으로 실시했다. 이상에서 얻어진 시험들의 결과를 종합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육시기별 잠작에 관한 시험 1)잠작의 일반적 경향은 춘잠은 소잠이 빠를수곡 양호하였으며 추잠은 관행소잠시기를 정점으로 하여 그 시기로부터 빠르거나 늦어질수록 점차로 불량하나, 빠를수록 급격하게 불량하다. 2) 우리나라의 잠기별 잠작은 춘(1~4기), 추(7~10기), 만추(11기), 하(5기) 초추(6기)잠 순으로 불량하였다. 3) 잠작과 영역접배를 고려한 다회 보통육은 1, 3, 8, 10기 등 4회육이 적합하고 조상 4회육은 10기 대신에 11기 대치로 무난하다. 2.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 1) 양잠농가의 수견량을 지배한 치명적인 요인은 잠실 잠구의 소독불충분에 의한 병원축적이며 2) 이차적 요인은 사육온습도 관리불량, 배게치기, 적숙엽 선정기술 불량 및 결상총과소 등이며 잠작과 경영구 요소는 관련이 없는것 같다. 3) 견층비율에는 뽕의 엽질이 가장 크게 영향되고, 다음으로 통원누적으로 인한 누에의 건강도에 영향한 것 같다. 3. 육잠기술 지도효과 1) 지도농가의 상자당 수견량 춘잠기 32.3kg, 추잠기 25.8kg으로서 대조 농가보다 각각 20%, 35%가 증수되어 연평균 29.0kg으로서 26%의 증수를 실증하였다. 2) 지도농가의 3등견 이상의 고치는 춘잠기 77.1%, 추잠기 83.7%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14.3%, 11.3%가 많았다. 3) 지도농가의 지도후년도의 상자당 수견중은 춘잠기 31.2kg, 추잠기 26.9kg, 연평균 28.9kg으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3%. 16%, 8%가 증수되였으므로 이는 기술지도의 잔류효과로 인정하였다. 4) 기술수준에 따른 잔류효과는 기술수준 상위농가는 0% 하위농가는 19%이었다. 4.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추이 1) 장잠기 상엽을 주재로 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하>추≒> 초추의 순으로 우수했다. 2) 치잠기 상엽을 주재로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 추, 하, 초추 순위의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하추잠작 흉작 요인시험 1) 초추잠 (1) 치잠기의 고온은 생존율과 수견량을 크게 감소케 한 요인이 었으며, (2) 장잠기의 온도는 고온순으로 생존율, 수견량 및 견질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장잠기의 적온유대가 양과 질의 양면에서 중요함이 인정되었다. (3) 치잠기 연엽과 경엽은 단견중을 다소 가볍게 하고 경과일수를 크게 연장케 하였으나 생존률, 수견량 및 견층중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장잠기의 경엽은 수량과 특히 견질을 크게 저해 하였으나 연엽, 경엽 모두 생존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장잠기 온도를 변온으로 하였을 경우 치잠기 온도도 변온으로 한 것이 유리한 경향을 보였는바 평강한 문제는 금후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2)하 잠 (1) 치잠기의 고온은 수견량과 단견중을 크게 감소케하였으며 다음으로 생존율을 저해하였다. (2) 장잠기의 고온은 수견량, 생존율 및 견질을 크게 저해하였다.

  • PDF

생태형이 다른 대두품종의 생육 및 건물축적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Different Ecotypes of Soybeans (Glycine max. L.))

  • 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4-181
    • /
    • 1988
  • 하대두형 및 추대두형 콩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 했을 때 생육상의 차를 구명하고, 또한 건물축적양상 비교하기 위하여 1987년 천안시 안서동에 위치한 단국대 농대 실습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극조반(4월 15일파종)나 그후 파종(5월 15일 및 6월 15일)에서 하ㆍ추대두형품종간 출현율의 차가 관찰되지 않아 포장에서 저온발아성의 차를 검정한다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었고, 또한 하ㆍ추대두형간 개화일수단축정도의 차도 없었으나, 하대두형인 DN82029-3이나 ES18085-1의 조ㆍ만파기 생육일수의 차가 추대두형인 장엽콩이나 팔달콩에 비하여 크지 않아, 생육후기 고온에 의한 결실일수가 촉진되어 만파에서 추대두형에 비하여 몇가지 수량구성요소의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대두형은 추대두형에 비하여 만파에서 도장정도가 심함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이이나 추대두형인 단엽콩 및 장엽콩은 개화시 이후에도 경엽신장이 큰 폭으로 증가된 바, 개화시 이후 3품종 모두 경장이 17∼32cm가 신장되었으며, 엽면적지수도 개화시 이후 0.83∼1.53의 증가를 보여 엽의 신장이 큰 폭임을 나타내 주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은 단엽콩이나 장엽콩에 비하여 49일이나 빨리 최고건물중을 나타냈으나, 절대량은 추대두형의 최고건물중의 약 50% 수준이어서 5월 15일 파종시 일장둔감형인 하대두형은 충분한 영양생장을 이루지 못한 가운데 생식생장기 간으로 접어들어 건물축적량이 크게 낮아지게 되고, 이것이 낮은 수량의 원인으로 보인다.

  • PDF

가압비장임파여포배중심(家鴨脾臟淋巴濾胞胚中心) 및 혈액내(血液內) 임파구(淋巴球)의 계절적(季節的)인 소장(消長)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ASONAL CHANGES OF GERMINAL CENTERS OF SPLENIC LYMPH NODULES AND OF BLOOD LYMPHOCYTES OF DUCKS)

  • 김용필;이현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4-60
    • /
    • 1961
  •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seasonal changes of germinal centers of splenic lymph nodules and of blood lymphocytes of ducks, the spleens of 8 ducks from a flock were observed histologically every season; 2 cases in spring (March and April), 2 in summer (July and August), 2 in autumn (October and November) and 2 in winter (December and January). Blood cells of 8 ducks from the same flock also were counted during the summer (from July to August) and autumn (from October to Novembe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seasonal changes in the germinal centers of lymph nodules, that is, the germinal centers were formed in spring and disappeared in autumn. In summer these were at the stage of transition from formation in spring to disappearance in autumn. In winter, on tile other hand. the process was reversed from the stage of disappearance in autumn to the stage of formation in spring. 2. The germinal center of splenic lymph nodule was encapsulated with a fibrous capsule which disappeared concommitantly with its germinal center. 3. The percentage and absolute value of lymphocytes in autumn were higher than those in summer, the fact that seemed to be not in agreement with Flemming's view that the lymphocytic clear germinal center may be functionally at the stage of lymphocyte formation, but in agreement with Maximow's view that the large lymphocytic clear germinal center is functionally at the stage of resting and medium-sized lymphocytic germinal center may be functionally at the stage of lympocyte formatiom.

  • PDF

Movement Ranges and Routes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Summer and Autumn from Acoustic Telemetry

  • Kang Kyoung-Mi;Shin Hyeon-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91-96
    • /
    • 2006
  • The movement range and diurnal behavior of 17 wild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were monitored within the marine ranching area of Tongyeong from 27 July to 7 November, 2005 using acoustic telemetry. Coded transmitters were surgically implanted into the abdomen of fish. Two of ten fish released in summer moved about 2 km away from the capture point for 1 day. The others stayed within a 500-m radius of the release point for 1 week after release. The seven fish released in autumn stayed within 500 m of the release point. Most fish were more active and had a greater range of horizontal diurnal movement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Additionally, the range of horizontal diurnal variation was greater in summer than in autumn. While fish released in summer were more vertically active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those released in autumn preferred to move vertically during the day.

Effect of Sow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Yield of Rapeseed in Autumn Sowing

  • Kwon Byung-Sun;Choi Seung-Sun;Lim Jung-Mook;Choi Gab-Lim;Kim Sang-Kon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258-262
    • /
    • 2005
  • In autumn,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Yudal variety for autumn sowing,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was grown under three different planting dates and five different plant densities.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m^2$, number of branches and pod length were highest at the plots with Sep. 30 of planting date and 30/20 cm drilling of plant density. Yield of seed, oil and 1,000 grains weight were highest at the Sep.30 of planting date and 30/20 cm drilling of plant density.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at optimum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seemed to be Sep.30 of planting date and 30/20cm plant density in autumn sow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