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cat"

Search Result 2,11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ymphoplasmacytic Rhinitis in a Cat (림포형질세포성 비염에 이환된 고양이의 진단과 치료)

  • Kang, Min-Hee;Park, Hee-Myu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8 no.4
    • /
    • pp.438-441
    • /
    • 2011
  • A 7-year-old castrated, domestic shorthair cat was presented with a 2-year history of chronic nasal discharge and sneezing. Upon presentation, bilateral mucopurulent nasal discharge and stertorous respiration were marked.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 tachypnea. Oral examination was unremarkable and chest radiology was normal. Findings of nasal cytology and skull radiology were not specific and further imaging technique, endoscopic examination and histopathology was performed for a definite diagnosis. Fluid, and/or soft tissue opacity was found in bilateral nasal cavity, nasopharyngeal regions and right side tympanic bulla through the CT scan. No evidence of neoplasia was revealed. A rigid rhinoscopy, flexible bronchoscopy and otoscopy was used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lesions and tissue biopsy biopsy was performed for histopathology.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 nasal mass consisted mainly of large numbers of plasma cells and lymphocytes. And the final diagnosis was lymphoplasmacytic rhinitis based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Long term management with oral cyclosporine (5 mg/kg, BID) was safe and successful in this cat.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described clinical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 features of feline lymphoplasmacytic rhinitis and its clinical outcome using oral cyclosporine in Korea.

The Effect of Short-term Forest Therapy Camp on Youths with Internet Addiction Risk Group: Focused on the Biological, Neurocognitive and Psychosocial Aspects (인터넷중독 위험 청소년에 대한 단기 산림치유 효과: 생물학적, 신경인지적 및 심리-사회적 측면을 중심으로)

  • Chung, Ahn Soo;Choi, Sam Wook;Woo, Jong Min;Mok, Jung Yeon;Kim, Ki Weon;Park, Bum-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4
    • /
    • pp.657-667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FT)' from the biological, neurocognitive and psychosocial perspectives. Adolescents who were classified as potential internet addicts took part in a FT program for two (once or twice) or three day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State Anxiety Inventory (STAI) were measured. It was found that FT led to positive consequences, indicated by increased serum BDNF, improved CAT performance, reduced internet use desire, greater resilience, and better social relationship. In addition, FT was partially effective in alleviating state anxiety level, when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FT exposure lengths. Overall,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FT reduces symptoms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and promotes various qualities required for well-being.

Protective Effect of White-Skinned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against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신장 손상에 대한 white-skinned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추출물의 보호효과)

  • Jang, Hye-Won;Bachri, Moch. Saiful;Moon, Kyung-Ok;Park, Jong-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0 no.2
    • /
    • pp.161-168
    • /
    • 2010
  • White-skinned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diabetes treatment and management in many countries. In this experiment, methanol extract of white-skinned sweet potato (WSPMe) at a dose of 100 or 200 mg/kg body weight was tested to evaluate its effect on renal damag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Its efficacy was compared with that of insulin secretogogue, glimepiride ($50\;{\mu}g/kg$ body weight). Experimental diabetes was induced by a single dose of STZ (45 mg/kg, i.p.) injection. The WSPMe and glimepiride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14 days and the effects on glucose, renal markers including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lipid peroxide (LPO) level, antioxidant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S-transferase (GST) activities in kidney were studied. An increase in BUN, creatinine, LDH, glucose, LPO levels and decrease in SOD, CAT, GPx and GST features were observed in diabetic control rats. Administration of WSPMe at a dose of 200 mg/kg body weight caus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lood glucose, LPO level, renal markers, lipid peroxidation markers and increased antioxidant levels in diabetic kidney. In conclusion, the WSPMe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oxidative stress, thus confirming the ethnopharmacological use of I. batatas L. in protecting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evaluate for precision spatiotemporal hydrological analysis(streamflow and available water resources) during drought in small and medium-sized river basins (중소하천 가뭄시 정밀 시공간 수문량(하천유출량 및 수자원가용량) 평가 기술 개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Kim, D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4-124
    • /
    • 2022
  • 가뭄시 유역 수문량은 하천수/지하수 취·배수, 하·폐수방류량, 용수재이용 등 복잡한 물이용체계에 따른 영향이 크지만 기존 가뭄시 수문량 평가는 이러한 복잡한 물이용체계를 고려하지 않아 정도 높은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가뭄시 유력 내 상세물이용체계 및 수문환경특성 인자들의 상호작용 규명을 통한 정도 높은 수문량 평가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대하천 주변 광역상수도 공급지역은 가뭄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물이용이 가능하나, 중소하천을 수원으로 하는 하천의 상류지역은 가뭄시 물공급 안정성이 취약하다. 따라서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가뭄시 물 공급시설의 효율적 운영, 물부족 위험도 평가, 가용수자원의 최적이용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수문량(하천유출량 및 수자원가용량) 예측이 필요하다. 가뭄에 따른 중소하천유역의 수문학적 유출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해석 모형으로는 국내의 복잡한 유역 수문환경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CAT (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김현준 등, 2012)을 이용하였다. CAT은 기후변화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역의 수문환경특성 변동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모형이다. CAT은 인위적인 물이용체계 즉, 광역급수, 용수재이용, 지하수 취수, 하천수 취·배수 등을 분석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므로 가뭄시 상세물이용체계에 따른 시·공간적 수문환경특성 분석 및 수문량 평가를 위한 최적의 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유역의 수문량 예측기술 실용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낙동강, 금강, 영산/섬진강 중권역을 대상으로 정밀 시공간 수문량을 평가하였다. 각 권역별 보정지점을 기준으로 관측유량 자료와 모의자료의 1:1비교를 통해 수문량 예측정확도를 산정하였으며, 모형효율(Nash Sutcliffe Efficiency, NSE) 및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의 권역별 평균은 NSE 72%, R2 79%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지점에서 70% 이상을 나타내어 환경부 및 지자체의 가뭄시 물관리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실용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Catalase 첨가배양이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 한만희;이경본;천행수;박병권;이규승;서길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Conference
    • /
    • 2002.11a
    • /
    • pp.82-82
    • /
    • 2002
  • Catalase(CAT)는 주요한 활성산소(ROS)의 일종인 과산화수소($H_2O$$_2$)가 Hydroxyl 유리기 생성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H_2O$$_2$$H_2O$$O_2$로 대사시켜 주는 효소계 항산화제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AT가 5% $O_2$및 20% $O_2$조건하에서 1-세포기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란을 10% PFF, 0.1mg/ml cysteine, 10IU/m1 PMSG, 10IU/m1 hCG 및 10ng/m1 EGF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서 22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고, 성선자극호르몬이 배제된 배양액에서 추가로 22시간을 배양하여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체외성숙이 유기된 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2.5mM caffeine과 0.1% BSA가 첨가된 mTBM 배양액에 정자를 1.25 $\times$ $10^{5}$cells/ml의 농도로 5-6시 동안 공동배양을 실시하여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수정후 1-세포기의 수정란을 0.4mg/ml BSA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1,000uni1 첨가하여 30 embryos/ 50u1 소적으로하여 38.8$^{\circ}C$, 5% $CO_2$및 5%$CO_2$, 5% $O_2$90% $N_2$조건하의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 6.03 Packag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배양 48시간에 난할률을 조사하였을 때,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에 있어서는 각각 22.7$\pm$2.7, 22.1$\pm$3.9, 18.7$\pm$4.9, 및 15.1$\pm$2.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산소농도에 따른 배반포형성률은 5% $O_2$ 조건(22.1$\pm$2.4%)이 20% $O_2$조건(17.2$\pm$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각각 44.4$\pm$4.0, 43.3$\pm$36, 25.4$\pm$2.4 및 13.4$\pm$1.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세포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을 배양할 때, CAT의 첨가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proving techniques for watershed water cycle to adapt climate change - Lam Takhong reservoir in Thailand (기후변화 적응 유역 물순환 개선기술 개발 및 적용 - Lam Takhong Reservoir (Thailand))

  • Jang, Cheol Hee;Kim, Hyeon Jun;Cho, Jae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5-395
    • /
    • 2018
  •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변화에 따라 강우량 및 증발산량 등과 같은 물순환계 구성요소가 변화하면 유역에서의 물순환계가 영향을 받게 된다. 이렇게 변화된 유역의 물순환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물순환 개선 기술을 통한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물순환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유역 물순환 개선 기술은 기후변화가 진행 중에 있거나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강우-유출수를 지연, 저류, 침투시켜 지속가능한 물순환체계를 유지 회복하도록 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기후변화 대비 수자원 적응기술 개발 연구단(CCAW, Climate Change Adaptation for Water resources)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유역 건전성 및 취약성을 평가 하고 취약한 유역에 대한 물순환 개선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특히, 수년간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되고 사업화에 성공한바 있는 유역 물순환 평가 모형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을 수정 개선하여 수요자 중심의 활발한 현장 적용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유역 물순환 개선 및 평가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대상유역으로 태국의 Lam Takhong 저수지 유역을 선정하였다. Lam Takhong 저수지 유역은 유역면적은 $1,423km^2$이며 저류량은 약 $440{\times}106m^3$이다. 입력자료인 DEM, Land Cover 자료는 USGS Hydro1K (https://earthexplorer.usgs.gov/), 하천망 및 유역경계 자료는 USGS HydroSHEDS (https://hydrosheds.cr.usgs.gov/dataavail.php), 기상 및 관측 유입량, 저수지 제원 등의 자료는 APEC 기후센터의 협조를 받아 1976년부터 2016년까지의 일단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의결과는 저수지 월별 관측 유입량과 상류 유역의 모의 유출량을 이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Lam Takhong 저수지 상류 유역은 APEC 기후센터에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저수지 유입량 분석을 수행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SWAT 모의결과와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월별 관측 유입량과 저수지 상류 유역 모의 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CAT의 경우 결정계수(R2) 값이 0.86, SWAT은 0.76으로 나타나 CAT의 적용 결과가 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결과는 매개변수 최적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결과이며 SWAT 모형과의 결과 비교를 위하여 매개변수는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향후 매개변수 최적화 모듈을 통해 검 보정 단계를 거친다면 정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