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망가진 여인들"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비체를 통해 드러난 전쟁과 폭력의 허구 -린 노티지의 『망가진 여인들』에 나타난 비체의 힘 (Exposing the Falsehood of War and Violence: Power of the Abject in Lynn Nottage's Ruined)

  • 최석훈
    • 영어영문학
    • /
    • 제60권2호
    • /
    • pp.365-389
    • /
    • 2014
  • The essa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ldiers and the oppressed women in Lynn Nottage's Ruined (2009) in terms of Julia Kristeva's abject to show how the abjected Congolese women expose the falsehood of the order and identity that the military forces try to construct and maintain by war and violence. According to Kristeva, the abject is something that is rejected for the repulsion and horror it arouses but constantly draws the subject to it at the same time. Physically impaired and socially stigmatized, sexually abused Congolese women find a shelter in Mama Nadi's bar, the only place where they can continue their lives as the abject since the place, like the women themselves, lies outside the symbolic order occupied and corrupted by the men of DRC. Although the men involved in the armed conflict have abjected the women in pursuit of their own system and order, the women are not simply the objects of abuse and oppression. The men have to rely on Mama Nadi and her women not only to reaffirm their identity and power by suppressing them but also to fulfill their biological needs. In addition, the women's resistance against the soldiers demonstrates their power to challenge the men's symbolic order and expose its frailty. Apropos of the abject's resistance, various artistic genres such as poetry, music and dance appear in the play as an escape from the grim reality and a means of challenging and transcending the symbolic order. Bringing all these artistic elements together into a powerful piece of theatre-often considered as an 'abject' genre nowadays, Nottage demonstrates both the power of theatre as well as the tenacious Congolese women.

망가진 시선으로부터 확장된 추상까지 (From Broken Visions to Expanded Abstractions)

  • 막스 하틀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697-712
    • /
    • 2017
  • 최근 영화적 제작에서 필름과 애니메이션은 입체시각과 3D 댑스를 관객들을 위해 만들고 있다. 소비자 입장의 VR 기술의 성숙은 동시에 미디어 제작 추세를 3D 공간, 컴퓨터 게임에서 포르노 비디오 그리고 아카데미에 노미네이트된 VR 단편 'Pearl'에 이르기까지 박차를 가한다. 이 모든 작업들이 양안시차의 정도에 반응하는 우리의 눈이 뇌의 좌우반구에 영향을 받아 입체시를 이루는 입체 퓨전과 연관이 있다. 이는 인간의 정상 시각을 모방한 것이다. 하지만 실험적 작업에서는 3D 공간 제작이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본인의 추상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본인은 2D의 평평함과 장소의 혼돈성을 즐겨 사용한다. 이러한 점이 본인이 추상적 시각을 추구하는 부분이다. 내 앞에 있는 것과 무엇이 뒤에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없어서, 감상에서 요구되는 효과를 강화한다. 2015년에 큐레이터인 제프리 쇼(Jeffrey Shaw)가 나에게 아니마 믹스 비엔날레(2015~2016)를 위한 입체시각 작품 제작을 요구했다. 이것이 나로 하여금 어떻게 3차원에서 초결정적 공간보다 입체경이 장소적 시각의 혼돈을 성취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호기심이 일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연달아서, 어떻게 추상과 실험 움직임 이미지 실행이 입체경으로부터 새로운 시각과 네러티브 기회를 여는 해택을 얻을 수 있는가, 만약 유기적인 융합을 넘어서는 방법으로 사용된다면 말이다. 주목할 만한 작업은 전통성 내의 전형적인 예, 양안시에 대한 확장된 접근이 본 논문에서 논의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본인이 아니마믹스 비엔날레를 위해 작업한 반복 입체시 애니메이션 III=III의 간략한 소개와 예술가들이 관심가질 만한 기술, 즉 입체시와 관련된 더욱 실험적이고 확장된 작업방법에 대해 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