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탈수시 시간과 치아 영역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재료 및 방법: 총 환자 수는 32명으로, 참가자의 나이는 20대(만 20~ 29세), 상악 우측 중절치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치아전체 평균 및 치아 영역별(절단연:I, 중심부:M, 치경부:C) 색상을 평가하기 위해 Vita Easyshade Advance 4.0 분광광도계(VITA Zahnfabrik, 독일)를 사용했습니다. 탈수 중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분 간격으로 10분 동안 CIELab(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색상좌표를 측정하였습니다. L*, C, H°, a*, b* 및 색차(ΔE00)를 분산분석(ANOVA)을 통해 비교했습니다. 결과: 치아전체 평균색상의 L*, C, H°, b* 색상좌표(표 1)와 절단연 부위의 L*, C, b* 색상좌표(표 2)는 각각 기준선에서 10분 후까지 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치아전체 평균색상의 ΔE00는 10분 동안 증가했지만 5분 이후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어 탈수 5분만으로 인지 가능한 차이를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결론: 이 연구 결과는 치아 탈수시 법랑질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탈수 후 5분 이내에 치아전체 평균색상에 눈에 띄는 변화가 발생하여 색상 측정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치아색상 측정 절차는 가능한 한 빨리 치아를 탈수시키기 전에 실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