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원격대학 제 측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미래지향적인 모습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원격대학 평가지표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첫째,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개념적 평가틀을 먼저 제시하였다. 둘째, 원격대학 문제점 현황 분석을 통해 도출한 지표 개발의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해외 원격대학 지표 사례 및 원격교육 질 관리 준거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평가 지표의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셋째, 개발한 평가지표안의 타당화를 위하여 전문가의 자문, 원격대학의 검토 및 교육부 KERIS 원격대학 관계자로 구성된 Task Force 회의 등을 통한 피드백 과정을 거쳐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모든 과정의 결과물들을 분석 종합하여 평가지표의 최종안을 확정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 4개 개발 원칙과 6개의 평가 영역, 16개의 평가 부문, 그리고 94개 평가지표와 배점이 확정되었다. 네가지 원칙은 '교수-학습의 질', '효율성', '비리방지', '특성화'으로, 여섯 개의 평가영역은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1)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로 구체화하였다. 설정된 원칙에 의거하여 수업 영역이 31%(155점)로 가장 높은 배점이 책정되었으며, 다음으로 인적자원 20%(100점), 경영과 행정 16%(80점), 물적자원 15%(73점), 교육계획 9%(45점), 교육성과 9%(41점)로 책정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평가지표의 활용방안 및 발전 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