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Dynamic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umer Sentiment and Auction Bid Price Ratio

주택소비심리와 경매 매각가율 간의 동적 선후행성 분석

  • 유한수 (극동대학교 경영호텔대학)
  • Received : 2024.10.07
  • Accepted : 2024.11.20
  • Published : 2025.03.31

Abstract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Consumer Sentiment Index (CSI) and the auction bid price ratio, focusing on the trend component of housing CSI.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e trend component is extracted using an unobserved component model to smooth monthly fluctuation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nounced housing CSI unilaterally Granger-causes the auction bid price ratio, though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reveals an inconsistent directional impact over time. Second, the trend component of housing CSI also unilaterally Granger-causes the auction bid price ratio, with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ing a clear and consistent increase in the bid price ratio as the trend component rises. These results indicate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end component of housing CSI and the auction bid price ratio,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analyzing bid price trends and developing auction investment strategies.

본 연구에서는 주택소비심리지수와 경매 매각가율 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공표된 주택소비심리지수'와 '경매 매각가율' 간의 관계에 대해서만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는데,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차별되는 연구 방법으로서, 비관측요소 모형에 의해 추정된 '주택소비심리지수 추세요소'와 '경매 매각가율' 간의 관계, 그리고 '주택소비심리지수 비추세요소'와 '경매 매각가율'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공표된 주택소비심리지수'와 '경매 매각가율' 간의 관계 분석에서는 '공표된 주택소비심리지수'가 '경매 매각가율'을 일방향으로 Granger 인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함수 분석 결과를 보면, '공표된 주택소비심리지수' 충격에 대해 '경매 매각가율'이 첫째 달부터 정의 반응을 보였으며, 그 이후 반응의 부호가 일정하지 않은 행태를 보였다. 선행연구들에서 수행되지 않았던 측면인 '주택소비심리지수 추세요소'와 '경매 매각가율' 간의 관계 분석에서는 추세요소가 경매 매각가율을 일방향으로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반응함수 분석에서는 첫째 달부터 정의 반응을 보이며, 계속 일관된 정의 반응을 보여 '주택소비심리지수 추세'가 상승하면, '경매 매각가율'이 상승하는 관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관되게 보였다. 이와 같이 연구 결과는 '주택소비심리지수 추세'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것이 경매 매각가율 분석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택소비심리지수를 분석하는 것이 경매시장 분석, 경매 투자 전략 수립, 경매시장 참여자들의 거래행위 분석 등에 필요하다는 의미를 갖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4년도 극동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FEU2024R14).

References

  1. 김구회・김기홍・이주형(2016),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의 주택 하위시장 및 경매시장과의 영향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시장을 대상으로", 「GRI연구논총」, 18(1): 147~167.
  2. 김도균・정재호(2021), "서울시 아파트 매매시장과 경매시장 및 공매시장의 상호관계 연구", 「부동산학보」, 85: 84~99.
  3. 김시연・방효진・유선종(2013), "주택매매가격지수와 소비자심리지수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15(1): 175~210.
  4. 유한수(2018),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와 주택 거래량 간의 관계: 본질적 요소와 일시적 요소를 중심으로", 「부동산정책연구」, 19(2): 21~36.
  5. 유한수(2023), "KRX건설 주가지수와 기업경기실사지수 간의 선행-후행 관계", 「LHI Journal」, 14(4): 39~46.
  6. 이동주(2024), "부동산 경매낙찰가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변수와 심리지수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국립목포대학교.
  7. 임재만・임미화(2017), "주택시장 뉴스, 소비심리, 가격, 거래량의 관계", 「주택연구」, 25(3): 5~24.
  8. 임진영・유선종・신보연・신은정(2022), "주택소비자 심리지수와 매매수급동향이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부동산도시연구」, 15(1): 91~108.
  9. 전해정(2013), "주택매매가격과 경매낙찰가율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7): 111~118.
  10. 전해정(2018), "소비심리와 주택매매가격이 경매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환경학회」, 16(3): 49~60.
  11. 정가연・유선종(2010), "부동산 경매시장의 아파트 낙찰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8(3): 29~50.
  12. 정대석(2019a), "부동산 경매시장 지표간의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2): 535~545.
  13. 정대석(2019b), "수도권 주택매매와 경매 거래량의 상관성 및 영향 요인 연구", 「GRI 연구논총」, 21(4): 63~84.
  14. 정병섭・임재만(2017), "주택 소비자 심리지수와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과의 실증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7년 상반기 학술대회 논문집」, 109~123.
  15. 정의철(2010), "소비자 심리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매매가격을 중심으로", 「부동산학연구」, 16(3): 5~20.
  16. 정진오・정재호(2023), "부동산정책이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세정책과 금융정책 중심으로", 「LHI Journal」, 14(3): 55~75.
  17. 최윤영・김지현・조경철(2017), "SVAR모형을 이용한 대출금리, 주택소비심리, 주택시장 간의 파급효과 분석", 「국토연구」, 95: 3~20.
  18. Fama, E. and K. French (1988), "Permanent and Temporary Components of Stock Pric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6(2): 246~273.
  19.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정책연구센터", 2024.7.1 읽음. http://kremap.krihs.re.kr.
  20. 대한민국법원, "법원경매정보", 2024.7.1 읽음. http://www.courtauction.go.kr.